항목
-
문장(C언어의) STM, statementC문장은 일련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하여 함수의 본체 부분에 놓인다. 계산과 논리연산은 식 중에서 행해지는데, 이와 같은 식은 문장으로서, 또는 반복문이나 조건문에 있어서의 조건식으로서 쓰인다. 복합문은 몇 개의 단순한 문장이 한 덩어리로 된 것으로서 { }로 싸여져 하나의 유닛으로서 다루어진다. 선언문을...
- 분야 :
- 프로그램 언어
-
목적어 目的語전환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한정어나 보어는 그럴 수 없는 통사적 기준에 따라 설명하게 된다. 목적어를 요구하는 동사를 타동사라고 하는데, 타동사를 가진 문장은 그 핵심이 두 개의 명사항과 하나의 동사로 되어 있다는 데 있다. “고양이가 쥐를 잡았다.”라는 문장의 통사구조(統辭構造)에 있어서 주어는 체언구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문장 형태 sentential form컴파일러의 성형언어에서 문법 G=(N, T, P, S)의 문장 형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단, N은 비단말 기호의 유한 집합, T는 단말기호의 유한집합, P는 생성의 유한집합, S는 생성의 출발기호를 나타낸다). ① 출발 기호 S는 문장형태이다. ② αβγ가 문장형태이고 β→δ인 생성 p가 존재하면 αδγ도 문장형태이다. 예...
- 분야 :
- 프로그래밍
-
이숙함 차옥(次公), 李淑瑊부제학에 임명되었다. 1485년에는 서거정(徐居正) 등과 함께 『동국통감』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1488년에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이듬해 수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이어 1490년에 성균관대사성·충청도관찰사를 거쳐 1498년에 이조참의에 이르렀다. 글씨를 잘 썼다. 대제학에 증직되었고,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성균관대사성, 충청도관찰사, 이조참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글의 최소 단위는 뭘까요?어려웠어요. 쌀만 있고 떡은 없는데 떡볶이를 만들려는 상황 같았지요. 떡볶이 속 떡처럼 글에서 기본이 되는 재료는 뭘까요? 생각의 덩어리는 하나의 문장 문장은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글의 최소 단위예요. 문장을 이루지 못한 것은 아직 글이라고 볼 수 없지요. 문장의 형태는 아주 다양해요. ‘무엇이...
- 분야 :
- 문법
- 교과단원 :
- 초등 1학년 1학기 〈글자를 만들어요〉, 초등 1학년 2학기 〈바르고 정확하게〉
-
신완 공헌(公獻), 申琓1703년 영의정에 오르고 평천군(平川君)에 봉하여졌다. 그 뒤 1706년 유생 임부(林簿)로부터 앞서 1701년 세자에 대한 모해설이 있었을 때 추국(推鞫: 임금의 명에 의해 국문함.)에 참여하여 사건규명을 잘못하였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당하였다.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저서로 『경암집(絅庵集)』이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46년(인조 24)
- 사망 :
- 1707년(숙종 33)
- 경력 :
- 대사간, 우의정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경암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평산(平山)
-
가난한 삶 속의 진실, 더블린 사람들 Dubliners작품 소개 제임스 조이스의 첫 소설집 《더블린 사람들》은 《젊은 예술가의 초상》, 《율리시스》와 함께 '더블린 삼부작'으로 불리는 작품집으로, 아일랜드의 수도 더블린에서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15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중산층 서민들의 음울하고 불행한 삶을 통해 20세기 초 더블린의 실상을 보여...
- 분류 :
- 단편소설
- 창작/발표시기 :
- 1914년
- 국가 :
- 아일랜드
- 간행/발행 :
- Grant Richards Ltd.,
- 작가 :
-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
-
신응시 군망(君望), 辛應時막힘이 없었으며, 지방수령으로 재직시에는 풍속을 바로잡고 교육을 진흥시켰으며, 사사로운 일에는 청렴하여 집안에 가재도구가 거의 없었다. 성혼(成渾)·이이(李珥)와 특히 교분이 두터웠다. 저서로는 『백록유고(白麓遺稿)』가 남아 있으며, 배천의 문회서원(文會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32년(중종 27)
- 사망 :
- 1585년(선조 18)
- 경력 :
- 연안부사, 예조참의, 병조참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영월(寧越)
-
제어 문장 control statement[1] 주어진 조건의 결과값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수행 순서를 제어하거나 문장들의 수행 횟수를 조정하는 문장. 예를 들면 IF, WHILE, FOR 문장. [2] 프로그램의 흐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문장. 특별한 전달을 유발하거나 어떤 상술된 상황에 의한 전달을 실행시킨다. [3] 처리기에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명령어...
- 분야 :
- 프로그래밍
-
김말 간지(幹之), 金末당시 후진의 교육과 경학의 발전에 공로가 컸으므로 김구(金鉤)·김반과 더불어 ‘삼김(三金)’ 또는 ‘경학삼김(經學三金)’ 혹은 ‘관중삼김(館中三金)’이라 일컬었다. 성질이 굳고 정확하며 몸가짐이 방정하였다. 당시 조정의 많은 유사(儒士)들이 김말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시호는 문장(文長)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83년(우왕 9)
- 사망 :
- 1464년(세조 10)
- 경력 :
- 판중추원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의성(義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