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죽유성하는 독특한 방법이 알려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유성법들은 각지에 전파되고 전승되어오는 가운데 점점 진보하여 유피의 생산이 증대되고, 복식(服飾)·무구(武具) 등과 그 밖의 각종 가구나 장식품 등에 널리 이용되게 되었다. 유피의 원료, 곧 원피(原皮)는 주로 소·말·돼지·양·산양 등 포유동물의 가죽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팔두령 八頭鈴한다. 이것으로 보아, 미누신스크(Minusinsk)·스키타이(Scythai)·오르도스(Ordos)문화에 흔히 보이는 방울과 새〔鳥〕로 이루어진 청동의구들과 같은 무구(巫具)의 하나로 여기게 되는 것이다. 결국 크기(12.3㎝ 안팎) 및 생김새와 기능성에서 볼 때 무구(舞具)가 아닌가 한다. 시대는 청동기의 발전기가 되는 3...
- 시대 :
- 선사/청동기
- 성격 :
- 의구(儀具)
- 유형 :
- 유물
- 제작시기 :
- 서기전 3∼1세기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소장/전승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
경주 불국사 다보탑 다보여래상주증명탑(多寶如來常住證明塔), 慶州 佛國寺 多寶塔多寶如來常住證明塔)으로, 석가탑을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說法塔)으로 지칭한다. 역사적 변천 1966년 석가탑 해체수리시 2층 탑신 사리공에서 『무구정광대다리니경』과 함께 발견된 두루마리 묵서지편에 탑을 중수하면서 넣은 「불국사무구정광탑중수기(佛國寺無垢淨光塔重修記)」(1024년), 「불국사서석탑...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초공본풀이멩두에 무조신의 영력이 내재하여 있는 것으로 믿고 있으며, 무조신 초공의 상징물로 생각한다. 「초공본풀이」에 나오는 무조 삼형제의 이름은 ‘멩두’인데, 무구인 멩두와 이름이 같다는 사실은 이러한 신앙을 뒷받침해 준다. 그러므로 심방들은 굿을 하러 갈 때 당주 앞에서 사유를 고하고, 멩두를 가지고 가서 기본...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덕물산 최영 장군 사 德物山 崔塋 將軍 祠용왕부인 · 송악산신(松岳山神) · 삼불제석의 무신도가 모셔졌다. 각 신령의 무신도 위쪽에는 크고 작은 청동제 명두(明斗) 혹은 명두(明圖)라 불리는 무구(巫具)가 걸려 있었다. 무신도 아래 앞쪽으로 청룡도(靑龍刀) · 삼지창(三枝槍) 등의 무구가 세워져 있고, 한쪽 구석에는 목제로 된 촛대 등의 제구(祭具)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대고 큰북, 大鼓아악 연주에 사용되고 있던 대고가 송의 제도와 같으니 진고로 대체해도 가능할 것 같다는 의견을 낸 적이 있다. 이와 함께 세종 때 창제된 정대업지무의 무구(舞具)로 대고가 편성되었다가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된 후에는 생략되었다는 내용이 『종묘의궤』에서 확인되는 점으로 미루어, 조선중기 이후로는 궁중 음악...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민애왕석탑사리합기 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기(傳大邱桐華寺毘盧庵三層石塔蠟..하였는데, 이는 『 법화경』 방편품의 내용에서 취한 것이다. 더욱 사리호는 3개의 작은 목탑과 함께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당시 유행하던 조탑공덕경인 『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근거하여 조성하였음을 알려준다. 이로서 이 석탑은 여러 경전의 뜻을 모아 조성한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그리고 이 일의 실무는...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741호
- 성격 :
- 금석문
- 유형 :
- 유물
- 크기 :
- 높이 8.3㎝, 몸통 지름 11.5㎝, 아가리 지름 8.0㎝, 밑지름 8.5㎝.
- 재질 :
- 납석(蠟石)
- 제작시기 :
- 863년 9월 10일
- 분야 :
- 역사/고대사
- 소장/전승 :
-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1길 30-0 (장충동2가, 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박물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갑피로 쓰이는 다양한 가죽Calf) 18세기 말, 순록의 가죽으로 희소성이 높다. 오일드 레더(Oiled Leather) 다소 험하게 사용해도 끄떡없을 정도로 내구성이 뛰어나다. 상어가죽(Sharkskin) 무구로도 쓰였을 만큼 견고하다. 악어가죽(Crocodile Leather) 겉보기와 달리 유연성이 뛰어나다. 코도반(Cordovan) 투명한 광택이 흐르는 말 엉덩이 가죽...
-
바람의손끝되어소의 그것처럼 한없이 맑고 순진하며 그래서 얼마쯤 겁먹은 듯한 그의 커다란 두 눈과, 단순하면서도 정직한 그의 표정과 말투는, 고민하고 교활해지기 전의 무구한 어린이를 연상시키고, 반사적으로, 그렇지 못한, 이제는 도저히 그럴 수 없는, 타락한 어른이 되어 있는 우리들을 발견하게 하는 사유가 깃들어 있는...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박이도
- 창작/발표시기 :
- 1980년 4월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문촌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