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황제 敎皇制, papacy
    문제를 놓고 크게 충돌했다. 4, 5세기에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주교구의 힘이 강력해지면서 로마 주교구의 권위가 도전을 받았다. 교황 레오 1세의 반대를 무릅쓰고, 451년에 동로마 제국 황제가 소집하고 주도한 칼케돈 공의회에서 콘스탄티노플 주교는 로마 주교가 서방에서 행사하는 주권과 똑같은 주권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프랑수아 1세 (프랑스) Francis I of France, フランソワ1世..
    7년 넘게 지속된 캉브레 동맹전쟁(1508~1516)을 종식 시키기 위해 이탈리아 볼로냐로 향했다. 같은해 12월, 종전협약을 위해 교황 레오 10세와 회동한 자리에서 프랑수아 1세는 레오나드로 다빈치를 만났다.주경철 <유럽인 이야기 1> 레오나드로 다빈치 선왕 루이 12세를 통해 레오나드로 다빈치에 대해 이미 알고...
    도서 위키백과
  • 교황 니콜라오 1세 Pope Nicholas I, ニコラウス1世 (ローマ教皇)
    처리하였고, 지식이 풍부하였으며, 웅변 실력이 뛰어났다. 젊은 시절부터 교회를 위해 일했던 그는 교황 세르지오 2세에 의해 차부제로 서품받았으며, 교황 레오 4세에 의해 부제로 서품받았다. 교황 베네딕토 3세가 선종했다는 소식을 들은 서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2세(로타르 1세의 장남)는 교황 선거에 자신의...
    도서 위키백과
  • 네포스 Julius Nepos
    훌륭한 가문 출신으로 동로마 황제 레오 1세의 명령을 받고 황제(Augustus)가 되어 이탈리아로 갔다. 레오 1세는 당시 서로마 황제였던 글리케리우스를 왕위 찬탈자로 여기고 있었다. 네포스는 이탈리아에 도착하자마자 글리케리우스를 왕위에서 몰아내고 474년 6월 스스로 서로마 제국 황제라고 선언했으나 이듬해 지금...
    출생 :
    미상
    사망 :
    480. 5. 9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올리브리우스 아니키우스 올리브리우스, Olybrius
    북아프리카에 게르만 왕국을 세운 반달족의 왕 가이세리크는 올리브리우스가 서로마 황제가 되기를 원했으나, 이때문에 동로마 황제 레오 1세는 올리브리우스를 의심하게 되었다. 레오는 올리브리우스를 콘스탄티노플에서 로마로 보내면서 당시 서로마 황제 안테미우스에게 살해되기를 은근히 바랐다. 그러나 황제 옹립...
    출생 :
    미상
    사망 :
    472. 11. 2
    국적 :
    서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세베루스 Severus of Antioch
    진술이었다. 단성론파는 사람들의 반대로 세베루스를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로 임명하지 못하게 되자 아나스타시우스를 움직여 칼케돈 공의회와 교황 레오 1세(440~461 재위)의 가르침에 찬성한 정통 안티오크 총대주교를 물러나게 하고 세베루스를 임명했다(512). 황제 유스티누스 1세(518~527 재위)가 즉위한 뒤 제국...
    출생 :
    465경, 소아시아 피시디아 소조폴리스
    사망 :
    538, 이집트 코이스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교황 세르지오 1세 Pope Sergius I, セルギウス1世 (ローマ教皇)
    교황 세르지오 1세는 제84대 교황이다. 세르지오는 시칠리아의 팔레르모에 정착한 안티오키아계 시리아인이다. 교황 아데오다토 2세 재위시기에 세르지오는 시칠리아를 떠나 로마로 이주하였다. 683년 6월 27일 교황 레오 2세는 세르지오를 산타 수산나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으로 서임하였다. 세르지오는 교황으로 선출...
    도서 위키백과
  • 훈족의 아틸라는 정말 잔인했나?
    아틸라는 이탈리아로 진로를 바꾸어 콘코르디아, 알티노, 파노마, 비첸차, 베로나, 밀라노 등을 유린하며 로마로 진격해나가다 교황 레오 1세의 설득을 받아들여 진군을 포기했다(레오 1세가 훗날 성자의 반열에 오르는데 이 공로도 컸다고 전해진다). 이에 대해서는 훈족 내부 문제가 생겨 공격을 포기했다는 설도 있다...
  • 카롤루스 대제 Charlemagne, カール大帝
    교황 레오 3세에게 지원을 약속하고 호위병력을 붙여서 이탈리아로 되돌려보냈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로마 제국의 종주권은 동로마 제국에게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는 동로마 황제의 간섭을 받고 있었고 로마 교황은 동로마 제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자 했는데, 그 적임자로 프랑크 왕국...
    도서 위키백과
  • 에페소스 공의회 councils of Ephesus
    맡음)는 에우티케스를 지지하는 한편, 교황사절이 이에 불복하자 플라비아누스와 그외 주교들에게 파문을 선언했다. 디오스코루스는 심지어 이 회의를 '강도교회 회의'(Robber Synod)라고 말한 교황 레오 1세까지도 파문하려고 했다. 그리스도가 하나의 본성만 지녔다는 단성론은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죄받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시기베르투스 1세 Sigebert I, 西吉贝尔特一世
    힐트의 부탁을 받고 네우스트리아를 공략, 킬페리쿠스 1세는 패주하고 575년 승리를 거뒀다. 그러나 승전 축하연을 하던 도중 프레데군다가 보낸 자객에 의해...Reccared I, 서고트의 왕) 장인 : 아타나길드, 서고트 왕국의 왕 처삼촌 : 레오비길드, 서고트 왕국의 왕 아우스트라시아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 클로...
    도서 위키백과
  • 시리치오 Siricius
    타라고나의 히메리우스 주교에게 써서 보낸 시리치오의 중요한 교서는 성직자의 금욕을 요구했다. 그 일은 이 주제에 대한 첫번째 포고였으며, 교황 레오 1세의 교황 임기(440~461) 이후부터 지금까지 계속 유지되고 있다. 시리치오는 교령들을 위반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제재 위협을 하며 그의 교령집과 더불어 교황의...
    출생 :
    334경, 이탈리아 로마
    사망 :
    399. 11. 26,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아틸라와 레오 1세의 회담
아틸라와 레오 1세의 만남
교황 레오 1세와 아틸라의 만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