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비성 (동학산장호텔 한식당)
    사비성은 계룡산 동쪽 자락에 있는 동학산장호텔에서 운영하는 한식당이다. 사골우거지국, 황태콩나물국, 육개장, 산채비빔밥, 불고기정식 등의 식사류와 삼겹살, 오리훈제 등 구이류를 즐길 수 있다. 현대식 건물로 신축한 호텔 안에 위치해 있어, 홀과 룸을 모두 갖췄으며 편안한 환경에서 식사할 수 있다. 동학산장...
    위치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266-4
  • 김개남 김영주, 金開南
    동학입교 본관은 도강. 어려서의 이름은 영주, 자는 기선·기범. 아버지는 대현이다. 1890년경 동학에 입도하여 1891년 접주가 되었다. 1892년 동학교도들이 전라도 삼례에서 교조신원운동을 벌일 때, 호남지방의 접주들과 함께 참가하여 지도력을 발휘했다. 1893년 보은집회에 참가하여 태인포라는 포명을 받고 대접주...
    출생 :
    전북 태인, 1853(철종 4)
    사망 :
    1895(고종 32)
    국적 :
    한국
  • 동학농민운동
    1894년 전봉준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된 반봉건·반외세 농민운동 고부 군수 조병갑의 불법 착취, 농민 수탈의 강화와 농촌 경제의 파탄, 일본의 침략, 동학 교도에 대한 탄압 등을 이유로 확산된 아래로 부처의 반봉건적·반침략적 민족운동이다. 동학 농민군은 전주성을 점령하는 한편 집강소를 설치하여 12개 조의...
  • 집강소 執綱所
    연원 및 변천 원래 동학의 교단조직에서 유래된 것으로, 각 고을마다 설치한 접(接)의 수령(守令)인 접주를 집강(執綱)이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동학농민군이 전라도 일대를 휩쓸고 있을 무렵 각 지역의 치안 질서와 지방 행정은 거의 마비 상태에 놓여 이를 회복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에 전라도관찰사 김학진...
    시대 :
    근대
    설립 :
    1894년
    성격 :
    종교단체, 자치기구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학진
    분야 :
    역사/근대사
  • 인내천 人乃天
    1905년 동학의 대교주인 손병희(孫秉熙)가 동학을 천도교로 재편하면서 내세운 사상으로,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뜻이다. 이 사상은 원래 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崔濟愚)가 내세운 시천주(侍天主) 사상을 근거로 하여 새롭게 재해석한 것이다. 시천주는 '하느님을 내 마음에 모신다'는 의미로서 여기서는 인격적이고...
  • 제1차 농민전쟁
    고부민란은 해산되었으나 이용태의 야만적 진압으로 전라도 일대의 농민들과 동학 신도들이 크게 분개하자, 전봉준은 국면 전환을 꾀했다. 전봉준은 3월 20일 손화중부대·최경선부대와 합세하여 무장에서 재봉기했다. 이것이 동학농민혁명 제1차 농민전쟁의 시작이었다. 그날 탐학 수령을 처벌함으로써 보국안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혁명
  • 내장산의 단풍과 동학혁명의 뜨거운 열망이 타는 정읍
    곱디고운 내장산 단풍으로 유명한 정읍은 이 땅의 민초들이 새로운 세상을 위한 동학혁명의 뜨거운 열망을 내뿜었던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타들어가는 듯한 내장산의 붉은 단풍을 감상하며 그 옛날 새로운 세상을 위해 분연히 떨쳐 일어났던 민초들의 뜨거운 열망을 가슴에 새겨보자.
  • 검결의 창제배경
    검결이 창제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보아 검결은 민중적 삶에 기초한 '피난'과 '변혁'의 역동적 통일이 전형화된 것이라고 하겠다. 또한 검결은 동학농민혁명 때 남접의 조직 및 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최제우가 은적암에 피신해 있을 때 교도들에게 검결을 전파하였는데, 뒷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무용
  • 검결의 내용
    검결은 유·불·선의 전통과 민간신앙에 반봉건·반침략 의지를 창조적으로 종합하여 세상을 변혁하고자 하는 대장부 영웅의 우주개벽적 기개가 호탕한 기운으로 출렁이는 혁명적인 노래와 춤이다. 가사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벽 후 오만 년 동안 처음 맞는 다시 없는 나의 때가 이르렀으니 한울님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무용
  • 동학내계 東學內契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 창선방에 있던 계로서, 종로구 종로6가 72번지(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 구내)에 유학을 교육하던 4학의 하나인 東學의 안쪽에 있던 데서 계 이름이 유래되었다. 계 안에는 도촌・양사동・동학동 등이 있었으며 현재의 행정구역으로는 종로6가 일부에 해당한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도덕가 道德歌
    져 있다. 각 편의 형식은 4·4조를 주조로 한 4음보격이며, 주된 내용은 최제우는 하늘이 낸 성인이니 그를 따르라는 것이다. 1929년 경상북도 상주에 있는 동학 본부에서 국한문혼용본과 국문본을 발간했다. 〈수시경세가〉는 4음보를 1행으로 볼 때 모두 171행이다. 최제우가 지은 〈용담유사〉 가운데 〈안심가 安心...
  • 동학동계 東學洞契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 창선방에 있던 계로서, 종로구 종로6가 72번지에 유학을 교육하던 4학의 하나인 東學이 있던 데서 계 이름이 유래되었다. 계 안에는 도촌・양사동・동학동 등이 있었으며 현재의 행정구역으로는 종로6가 일부에 해당한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3건

동학혁명 위령탑
경통(敬通 : 통지문의 높임말)의 모습
천도교 이세교조 해월신사 최시형
동경대전 / 포덕문
최제우(崔濟愚) 동상
용담유사
동학가사
동학가사
동학본부
동학본부
권학가 / 동학가사
동학운동 / 전봉준
동학운동 / 사발통문
동학혁명군위령탑
동학 집강소 자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