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수 공신(公愼), 鄭脩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공신(公愼). 우의정 정언신(鄭彦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협(鄭恊)이고, 아버지는 장연부사(長淵府使) 정세미(鄭世美)이며, 어머니는 이상의(李尙毅)의 딸이다. 문장에 능통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30년(인조 8) 진사가 되었으며, 1650년(효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09년(광해군 1)
- 사망 :
- 1662년(현종 3)
- 경력 :
- 지평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동래(東萊)
-
인조반정 仁祖反正역사적 배경 광해군은 즉위 직후 정세 변화에 따라 왕위를 위협할지도 모를 동복형 임해군(臨海君)과 유일한 적통(嫡統) 영창대군(永昌大君)을 경계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임해군이 불궤(不軌: 법을 어김)를 꾀하였다는 죄목으로 진도로 귀양보냈다가 다시 교동으로 옮겼다. 그 뒤 대북파 정인홍(鄭仁弘)·이이첨 등이...
- 시대 :
- 조선
- 발생 :
- 1623년 3월 13일
- 성격 :
- 반정, 정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이귀, 인종
-
-
수양대군과 한명회의 운명적 만남한명회가 수양대군과 만난 후 홍달손 등 30여 명의 장사를 대군에게 천거하였고, 수양대군을 위하여 갖가지 모사를 다하다가 결국 대사를 이루어 일등공신의 지위에까지 오르게 되었다. 그 뒤 그는 두 딸을 예종과 성종의 왕후로 삼아, 그가 권력을 휘두르던 30여 년간은 감히 그와 맞설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그 밖에...
-
-
현신우 신축호종일등공신, 玄臣祐홍건적이 압록강을 건너 서북면에 침입하여 개경(開京)이 함락되고 공민왕이 복주(福州: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로 남천(南遷)하였다. 이때 호군(護軍)으로서 왕 및 공주·태후를 모시고 임진강을 건너 남행하여 수종(隨從)하였다. 1363년(공민왕 12) 신축호종일등공신(辛丑扈從一等功臣)에 서훈(敍勳)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호군, 신축호종일등공신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홍건적 제2차 침공
- 직업 :
- 공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충렬사 배향 임진왜란 공신[93위] 忠烈祠 配享 壬辰倭亂 功臣[93位]안락서원(安樂書院)’으로 바뀐 뒤 1972년 부산직할시 유형 문화재로 지정될 때 충렬사로 지정되었다. 충렬사에 모시고 있는 충렬사 배향 임진왜란 공신(忠烈祠配享壬辰倭亂功臣)[93위] 선열은 크게 두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부산진성, 동래읍성, 다대진성, 부산포, 경상 좌수영(慶尙左水營) 일원 등 동래부 관내...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윤신달 尹莘達생애 및 활동사항 『고려사(高麗史)』「윤관열전」에 고조부로서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공신(三韓功臣)이 되었다고 하였다. 파평윤씨(坡平尹氏)의 세계에는 시조로 되어있다. 오늘날의 파주(坡州) 지방을 본관으로 하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 출신이거나, 식읍(食邑)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묘소는 경상북도 영일군...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삼한공신(三韓功臣)
- 유형 :
- 인물
- 직업 :
- 공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파평(坡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