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목구멍의 모양을 본떴다고 하며, 후음에서 가장 약한 소리이므로 같은 계열의 ', ㅎ'은 ㅇ에 가획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이응이라는 명칭은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처음 정해졌다. 중세국어에서는 ㅇ과 을 구별하여, 〈훈몽자회 訓夢字會〉(1572)에서는 '초성종성통용팔자'란에서 을 '異凝'으로, '초성독용팔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국어
  • 아래아
    으로 변하듯 비어두 음절에서 모음 ‘으’로 변하였으며, 이후 어두 음절에서 ‘아’로 변하여 18세기 중엽에는 그 모음 자체의 발음은 사라졌다. 그러나 문자로서의 ㆍ는 한글 표기에 그대로 사용되다가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1912년), 한글맞춤법통일안(1933년)’에 이르러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정해졌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맞춤법 Orthography, 正書法
    말하기에서 일상적으로 관찰되지 않는 발음 패턴 영어로는 오소그래피(orthography)라고 하는데, 이 단어는 그리스어의 lang와 lang에서 비롯되었다.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 표준어 대한민국 표준어 표준어 규정 표준어 사정 원칙 표준 발음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맞춤법...
    도서 위키백과
  • 한글 간소화 파동
    한글 간소화 파동은 1949년 이승만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이 한글 맞춤법을 소리 나는 대로 쓰는 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함으로 말미암아 생긴 사건이다. 1953년에 개정안이 국무총리 훈령으로 공포되었지만, 심한 반대에 부딪혀 1955년에 철회되었다.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쓰고...
    도서 위키백과
  • 1527년(중종 22) 최세진이 지은 〈훈몽자회〉 범례의 '초성종성통용팔자'에 'ㄹ 梨乙'이라고 적힌 것을 처음 찾아볼 수 있으며 1933년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리을'이라고 정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종성으로는 ㅇ·ㄴ·ㅁ·ㅇ·△ 등과 더불어 평성·상성·거성이 되며 팔종성가족용에서도 ㄱ·ㅇ...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만들어진 순서에 따라 ', ㅡ, ㅣ, ㅗ, ㅏ, ㅜ, ㅓ, ㅛ' 다음으로 9번째 모음이었으나, 〈훈몽자회〉 범례 중성독용십일자란에 2번째로 쓰였고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도 이를 따르고 있다. [ㅒ] 얘. 현대국어에서 'ㅑ'와 'ㅣ'를 합한 이중모음. 혀를 'ㅣ' 위치에서 'ㅐ'로 옮기면서 소리를 낸다. 음성기호는 [j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티읕
    란에도 ‘ㅌ 治’라고만 되어 있었다. 그런데, 국문연구소의 『국문연구의정안(國文硏究議定案)』(1909)에서 ‘티읕’이라고 정하였다.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1933)에서도 ‘티읕’이라 정하여 이 이름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자모의 순서는 창제 때 아·설·순·치·후음의 순에 따라 일곱째...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로 표시했다. 'ㅣ'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만들어진 순서에 따라 ', ㅡ' 다음으로 3번째 모음이었으나, 〈훈몽자회〉 범례 중성독용십일자란에 10번째로 쓰였고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도 이를 따랐다. 'ㅣ' 이외에 모든 모음에 붙어 'ㅐ, ㅒ, ㅔ, ㅖ, ㅙ, ㅚ, ㅟ, ㅢ' 등의 소리를 이루는데 이때는 '딴 이'라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중성범십일자라고 하여 이중모음 'ㅛ, ㅑ, ㅠ, ㅕ'도 중성체계에 포함시켰다. 'ㅛ'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만들어진 순서에 따라 ' , ㅡ, ㅣ, ㅗ, ㅏ, ㅜ, ㅓ' 다음으로 8번째 모음이었으나, 〈훈몽자회〉 범례 중성독용십일자란에 6번째로 쓰였고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도 이를 따르고 있어 지금까지 전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창제 당시 만들어진 순서에 따라 ', ㅡ, ㅣ, ㅗ, ㅏ, ㅜ' 다음으로 7번째 모음이었으나, 〈훈몽자회〉 범례 중성독용십일자란에 3번째로 쓰였고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도 이를 따르고 있다. [ㅔ] 에. 현대국어에서 'ㅓ'와 'ㅣ'를 합한 단모음. 조음위치로 볼 때 전설중모음(前舌中母音)이고 혀를 'ㅓ'보다 조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하여 이중모음 'ㅛ, ㅑ, ㅠ, ㅕ'도 중성체계에 포함시켰다. 'ㅠ'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만들어진 순서에 따라 ',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다음으로 10번째 모음이었으나, 〈훈몽자회〉 범례 중성독용십일자란에 8번째로 쓰였고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도 이를 따르고 있어 지금까지 전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훈민정음 창제 당시 만들어진 순서에 따라 ' , ㅡ, ㅣ, ㅗ'다음으로 5번째 모음이었으나, 〈훈몽자회〉 범례 중성독용십일자란에 첫번째로 쓰였고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도 이를 따르고 있다. [ㅐ] 애. 현대국어에서 'ㅏ'와 'ㅣ'를 합한 단모음. 전설저모음으로, 혀를 'ㅏ'보다 조금 높은 자리에서 약간 내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2건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맞춤법 통일안
한글맞춤법 통일안
한글맞춤법 통일안
한글맞춤법학습지
한글맞춤법통일안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한글맞춤법 통일안 강의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한글맞춤법 통일안 강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