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곡사 동제 은입사 향로 麻谷寺 銅製 銀入絲 香爐
    唐草文)으로 채워져 있으며, 맨 아래쪽에는 굵은 선으로써 앙련(仰蓮)을 새겼다. 그리고 나팔모양의 받침대에는 윗부분에 구름무늬와 복련문(覆蓮文)이 포치되어 있고, 아랫부분의 확대곡면에는 당초문양이 입사되어 있다. 이러한 양식적 특징은 고려 후기에 보이는 것들로서 고려 후기 불교금속공예 연구에 귀중한 자료...
    시대 :
    고려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여상주 女像柱, caryatid
    주는 BC 480년에 페르시아를 편들었다가 고된 노동을 해야 하는 운명에 처한 카리아이의 여성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가장 유명한 여상주는 에렉테움 신전 포치에 세워진 6개의 여상주로, 티볼리의 하드리아누스 빌라에 있는 것처럼 기둥과 번갈아 서 있는 모습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다. 그밖에 로마에 있는 빌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정조 필 파초도 正祖 筆 芭蕉圖
    왼편 위쪽에 정조의 호인 ‘弘齋(홍재)’의 백문방인(白文方印)이 찍혀 있어 정조의 작품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비교적 단순한 주제를 다루었지만 균형잡힌 포치(布置), 은은히 풍기는 문자향(文字香), 농담을 달리한 세련된 묵법(墨法) 등이 돋보인다. 기법적인 측면에서도 대단히 세련된 면모를 보여준다. 먹의 농담...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백자 철사 포도문 호 이조백자철사포도문호, 白磁 鐵砂 葡萄文 壺
    완정(完整)한 품격을 최대한 살려주고 있다. 무늬로는 항아리 윗부분의 앞뒤에 철사(鐵砂)안료를 써서 포도송이가 달린 포도덩굴을 그렸는데, 구성과 포치가 매우 세심하여 기품 있게 그려진 한폭의 정제된 포도화(葡萄畫)를 보는 듯하다. 특히, 포도그림 자체에서 보여주는 사실성과 철사안료를 사용하여 농담과 강약을...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매상숙조도 梅上宿鳥圖
    타원을 긋듯이 굽어진 매화가지 위에서 자고 있는 새를 주제로 다루었다. 이 새는 머리 위로 굽어져 나온 대나뭇가지가 이루는 공간의 한가운데 놓여 있어 포치(布置)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비백(飛白)처럼 묘사된 매화가지, 줄기가 가늘고 잎이 큰 대나무, 눈길을 사로잡는 구성 등은 이 작품의 우수함과 함께 조선...
    시대 :
    조선
    저작자 :
    조지운
    창작/발표시기 :
    조선 중기
    성격 :
    화조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109㎝, 가로 56.3㎝
    재질 :
    종이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 군선도 群仙圖
    등장인물의 도상적 특색, 구성 방식, 양식적 특징이 모두 서로 비교되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그리고 18세기에 제작된 작품들은 빽빽한 공간 개념, 경물과 인물의 포치 방식에서 보이는 평면적 효과가 같은 시대에 제작된 십장생도(十長生圖) 같은 민화류와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팔선도는 종리권(鍾離權), 여동빈(呂洞...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백자 상감 모란잎문 편병 백자상감모란엽문편병, 白磁 象嵌 牡丹葉文 扁甁
    얇게 만들었다. 양쪽의 둥근 면 가운데와 가장자리에는 흑상감(黑象嵌) 수법으로 각각 두줄과 세줄의 원을 두르고 그 사이에 모란잎문[牡丹葉文]을 대칭으로 포치하였는데, 모란잎은 농담의 변화를 준 면상감(面象嵌)으로, 거칠게 표현되었다. 가운데의 이중으로 된 원에는 당초문(唐草文)이 한두 가지씩 뻗어 있다...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기성도병 평양도병(平壤圖屛), 箕城圖屛
    명칭을 부기하였다. 제1~2폭의 영명사(永明寺)가 자리한 북성(北城)과 그 너머 북쪽 연봉에 이어 제3~5폭에는 내성(內城), 즉 평양성의 중추가 되는 시가지가 포치되었다. 제6폭에 중성(中城)이, 제7~8폭에 기자정전(箕子井田)의 유허(遺墟)로 전해지던 외성(外城) 구역이 그려졌다. 견고한 석축에 감싸인 내성은 종횡...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부산진순절도 釜山鎭殉節圖
    격전의 장면을 화폭에 효율적으로 담기 위하여 높은 각도에서 내려다보는 방식의 부감법(俯瞰法)이 사용되었다. 화면의 오른편 중단에는 부산진의 성곽이 포치(布置)되어 있고 그 대각선상으로 성을 공략하기 위하여 반달형으로 겹겹이 에워싼 왜병들이 묘사되어 있다. 성곽에는 검은 갑옷 차림의 부산첨사(釜山僉使...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석천암 지장시왕도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 石泉庵 地藏十王圖
    地藏三尊)의 구성이며, 이를 중심으로 시왕(十王)과 판관(判官), 녹사(錄事), 사자(使者), 옥졸(獄卒), 동자(童子), 공양천녀(供養天女)를 좌우 대칭으로 포치하였다. 지장보살은 목리문(木理紋)이 그려진 불단 위에 연화를 대좌로 앉아 있으며 왼손에는 보주(寶珠)를 들고 오른손은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야압도 野鴨圖
    이 때문에 오히려 추상적인 미까지 간취된다. 상반부는 이들 배경이 점하며, 하반부에는 얼굴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한 한쌍의 물오리를 상하로 포치시켰다. 비록 필치에 있어서는 여기적(餘技的)인 면이 강하게 드러나 있으나, 매폭마다 예외없이 간취되는 깔끔한 화면구성, 동일수준의 격조, 등장된 새들의 순간적인...
    시대 :
    조선
    저작자 :
    홍세섭
    창작/발표시기 :
    조선 말기
    성격 :
    영모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119.7㎝, 가로 47.8㎝
    재질 :
    비단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 이명욱 익지(益之), 李明郁
    법(工筆畫法)의 영향이 엿보이지만, 음영법을 구사하여 정밀하게 묘사한 안면묘사라든가, 능숙하게 처리된 바람에 나부끼는 옷의 주름, 그리고 대각선적 구도를 이용한 효율적이고 변화 있는 포치(布置) 등이 자아내는 생동감 넘치는 화면과 전체적인 격조는 그의 뛰어난 화기(畫技)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도화서 화원, 도화원 교수
    유형 :
    인물
    직업 :
    화가
    대표작 :
    어초문답도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본관 :
    완산(完山)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건

호치 포치(HOTCH POTCH)
포치 카페(The Porch Cafe)
포치 카페(The Porch Ca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