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병기 가람(嘉藍), 李秉岐을 읽고 신학문에 뜻을 두었다고 한다. 1910년 전주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13년 관립한성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재학중인 1912년 조선어강습원에서 주시경(周時經)으로부터 조선어문법을 배웠다. 1913년부터 남양(南陽) · 전주제2· 여산(礪山) 등의 공립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때부터 국어국문학 및 국사에...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홍기문 대산(袋山), 洪起文조선문법연구(朝鮮文法硏究)』(서울신문사)를 펴내는 한편 1946년에는 『조선문화총화(朝鮮文化叢話)』(정음사)를 펴내기도 했다. 1948년 4월 남북정치협상대표였던 부친을 따라 입북한 뒤, 그대로 잔류하여 주로 국어학연구와 문화활동에 주력하였다. 1948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49년 김일성종합대학 부교수...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조선어학강의요지 朝鮮語學講義要旨文法)이다. 제1편 서론에서는 주로 언어 이론과 음성학에 대하여 기술하였는데, 「언어와 문자」, 「학리(學理)와 기사법의 처리」, 「문법정리와 언어와의 위이(偉異)」, 「조선어 문전과 성음원리(聲音原理)」, 「신기사방법의 사용」 등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편 음리와 기사법은 음의 원리와 표기법 등이...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영한사전 英韓辭典있다. 오늘날의 중국방언 가운데서 한국음과 가장 가까운 것은 광동음(廣東音)이다. ② 한글을 표기하는 로마자는 불란서 선교사들의 ≪한불뎐≫과 ≪조선어문법≫의 것을 따른다. ③ 한국어의 계통을 인도 드라비다말과 결부시키는 일이 없지 않으나 문법의 구성 원리가 비슷하다고 하여 같은 계통으로 보는 것은...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스코트( Scott, J.)
- 창작/발표시기 :
- 1891년
- 성격 :
- 사전, 영한대역사전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한국영국교회출판부(Corea : 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한글의바른길말본』(1937)에서 취한 문법 용어의 의의를 설명한 것이기도 하다. 의의와 평가 『한글의 바른 길』의 의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책의 출간 시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조선어학회 어문규범화 사업의 결정체인 『한글마춤법통일안』과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1936)이 나온 후, 그리고 우리말 문법...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최현배(崔鉉培)
- 창작/발표시기 :
- 1937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192쪽)
- 간행/발행 :
- 조선어학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강매 姜邁개설 주시경(周時經)의 제자이다. 활동사항 저서로는 『조선문법제요(朝鮮文法提要)』(1921), 『잘 뽑은 조선말과 글의 본』(1925, 金鎭法과 공저), 『정선조선어문법(精選朝鮮語文法)』이 있다. 『잘 뽑은 조선말과 글의 본』에서 그는 훈민정음의 연원과 음운법칙에 관하여 논하였고, 후반에서는 독특한 품사분류를...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민족출판사 民族出版社족 등 다민족과 관련한 3천여 종의 도서를 간행하고 있다. 특히『신조선어사전』,『21세기 조선족 발전전략 향방』,『조선족민속연구』,『심양조선족지』,『조선어문법』,『조선족백년사화』등을 발간하여, 중국 국무원에 의해 ‘요녕성조선어문고급단위’로 선정되었다. 또한『조선민족역사문화연구시리즈』(1∼10...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51년, 1976년, 1984년
- 유형 :
- 단체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이숭녕 심악(心岳), 李崇寧연산군의 시상(詩想)의 고찰」(1971), 「성호(星湖)의 북한산 기행문의 고찰」(1973) 등 문학 관련의 것들이 있다. 저서로는 『고어의 음운과 문법』(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 · /음고』(1949), 『국어학개설』(1954), 『중세국어문법』(1961), 『혁신국어학사』(1976)가 있으며, 이외에 논문집으로 『음운론...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