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학규 백파(白波), 金學奎혁명당에 가입하고 군사령부참모장으로 임명되어, 봉천성 영릉가전투(永稜街戰鬪)와 통화현전투(通化縣戰鬪)에 참가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 만주사변 이후 유동열(柳東說)·최동오(崔東旿)와 함께 조선혁명당 대표로 난징[南京]에 파견되어, 조선의용대·조선독립당·광복동지회 등의 약 6개 단체 대표들과 회합하여...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0년(고종 37)
- 사망 :
- 1967년
- 경력 :
- 동명중학교 교사, 조선혁명당 군사령부참모,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모, 한국광복군 제3지대장, 한국광복군 주상해판사처처장, 한국독립당 만주특별단 부위원회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안동
-
대한국군준비위원회 大韓國軍準備委員會대한국군준비위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연원 및 변천 조직은 대한국군준비위원회와 대한국군총사령부로 이루어졌다. 대한국군준비위원회는 위원장에 유동열(柳東說), 부위원장에 전성호(全盛鎬)와 조각산(趙覺山), 비서장에 김의연(金義演)으로 구성되었고, 대한국군총사령부는 총사령에 오광선, 참모부장 김승학...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5년 10월 29일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6년 3월 1일
- 분야 :
- 역사/현대사
-
송병조 신암(新巖), 宋秉祚위해 각 방면에서 추진하였다. 이어 이른바 5당(五黨)의 통합운동이 일어났다. 통일작전이라는 명목으로 임시정부의 국무위원 7인 가운데 양기탁(梁起鐸)·유동열(柳東說)·김규식(金奎植)·조소앙(趙素昻)·최동오(崔東旿) 등 5인이 임시정부를 떠나서 통일당에 참가하였다. 이 때문에 임시정부 정통의 맥을 유지하기가...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77년(고종 14)
- 사망 :
- 1942년
- 경력 :
- 목사, 대한국민총회 평의원, 상해대한적십자사 감사, 국민대표회의 대표, 신한청년당 대표, 임시의정원 의장, 임시정부 고문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목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교통부 交通部範) · 김철(金澈) · 남형우(南亨祐) · 손정도(孫貞道) · 이탁(李沰) · 조상섭(趙尙燮) 등이다. 1925년 이후 교통부는 폐지되었다. 그 뒤, 1942년 제34회 의정원회의에서 학무부와 함께 부활하여 유동열(柳東說)이 교통총장을 맡았으나,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잠행 중앙관제 수정에 따라 다시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근대사
-
데라우치암살미수사건 寺內正毅暗殺未遂事件못이겨 자백하고 말았다. 일제는 이 사건을 계기로 안명근이 신민회(新民會) 회원임을 알아차렸다. 1911년 1월 전국 경찰에 명해 윤치호·양기탁·이승훈·유동열(柳東說)·김구(金九)·김홍량(金鴻亮)·최명식(崔明植)·도인권(都寅權)·안태국(安泰國) 등 신민회 민족지도자 600인을 검거하였다. 그 중 105인을 기소...
- 시대 :
- 근대
- 발생 :
- 1910년 12월
- 성격 :
- 독립운동, 암살미수사건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안명근, 조선총독 데라우치, 신민회
-
신팔균 동천(東川), 申八均무오독립선언(戊午獨立宣言)으로 일반에 알려진 이 독립선언은 신팔균과 여준(呂準)·정안립(鄭安立)·박성태(朴性泰)·박찬익(朴贊翊)·정신(鄭信)·유동열(柳東說)·김동삼(金東三)·나우(羅愚)·서상용(徐相庸)·황상규(黃尙圭)·서일(徐一) 등 39명이 서명한 것으로, 3·1독립운동의 서막과도 같았다. 1919년 서로...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82년(고종 19)
- 사망 :
- 1924년
- 경력 :
- 육군 참위, 대한통의부 총사령관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항일운동가, 관료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평산(平山)
-
광신정보산업고등학교 光新情報産業高等學校, Kwangshin Information Indu..연원 및 변천 1905년 11월 1일 서우학회(西友學會)의 이갑(李甲)ㆍ유동열(柳東說)ㆍ박은식(朴殷植) 등 애국인사들이 교육구국의 이념 하에 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한성에서 서우사범학교(西友師範學校)로 설립하였다. 1907년 이준(李儁) 등 함경도 출신 애국지사들이 설립한 한북의숙(漢北義塾)과 통합하여 서북협성학교...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관악구 삼성동 328
- 설립 :
- 1905년 11월 1일
- 성격 :
- 고등학교, 사립고등학교, 전문계고등학교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갑(李甲), 유동열(柳東說), 박은식(朴殷植)
- 분야 :
- 교육/교육
-
191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대동 단결 선언방법은 기성한 각 단체의 대표와 덕망이 유(有)한 개인의 회의로 결정할 것. 사건의 개요 1915년 3월, 박은식 · 신규식 등은 중국 상하이에서 이상설 · 유동열 등과 함께 독립 운동 단체인 신한혁명당(新韓革命黨)을 결성한다. 이들은 제1차 세계대전의 종식을 조선 독립의 기회로 삼고 제정 체제를 표방, 고종을...
- 시기 :
- 19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