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승길

다른 표기 언어 李承吉
요약 테이블
출생 1887. 7. 13, 황해 황주
사망 1965. 2. 18
국적 한국

요약 독립운동가.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자 평양지역 학생대표로 전덕기(全德基)가 목사로 있던 상동교회의 모임에 참가하여 을사조약반대 상소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이준(李儁)이 지은 상소문에 최재학(崔在學)을 필두로 연명·제출했다. 그후 서울 대한문 앞에서 을사조약의 파기와 을사오적의 처형을 주장하는 시위에 참가하고, 종로로 진출하여 시민들의 궐기를 촉구하는 가두연설을 했다.

1907년 양기탁(梁起鐸)·안창호(安昌浩)·전덕기·유동열(柳東說) 등이 국권회복을 위한 비밀결사 신민회를 만들자 이에 가입하여 황해도 지회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신민회가 독립전쟁노선을 취하게 되어 만주에 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독립군근거지를 건설하기로 하자 황해도의 군자금 및 이주민 모집을 담당했다.

1910년 12월 안명근사건(安明根事件)을 기화로 일제가 황해도의 신민회 회원들과 독립군근거지 건설 추진자들을 체포할 때 다른 동지들과 함께 검거되었다. 제1심에서 징역 15년을 언도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7년간 복역했다. 1919년 3·1운동 후 상하이[上海]에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1920년 대한민국임시정부 황해도 재령선전대 책임자로 임명되어 활동했다. 1921년 7월 일본경찰에 다시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일제 말기 신사참배거부운동으로 예비검속을 38회나 받았다. 1977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승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