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신한민주당

다른 표기 언어 新韓民主黨

요약 1945년 2월 7일 중국 충칭[重慶]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한민족의 역량으로 일제를 전복시키고, 나아가 자유와 평등의 원칙을 바탕으로 민주공화국을 건설하는 것을 강령으로 삼았으나 활동으로 인한 특별한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

한국독립당에 합류했던 조선혁명당 출신의 유동열(柳東說)과 최동오(崔東旿), 한국독립당 출신의 홍진(洪震)·안원생, 조선민족혁명당에 불만을 갖고 이탈한 김붕준(金朋濬)·신기언(申基彦)·신영삼 등이 조직한 단체로서, 특히 조선민족혁명당 이탈자가 많이 가입했다.

신한민주당의 조직은 3명으로 구성된 주석단 아래에 4명의 상무위원을 두고 그 아래에 4부를 둔 체제였다. 주선단의 구성원은 의정원 의장 홍진과 참모총장 유동렬, 김붕준이었고, 상임위원이 4개부의 부장을 맡았는데 신기언이 비서부장, 김원서(金元敍)가 조직부장, 안원생이 선전부장, 유진동이 재무부장을 맡았다.

집행위원은 손두환·이광제·신영삼이었다. 신한민주당의 강령은 한민족의 역량을 동원하여 일제를 전복하고 민주공화국을 건설하는 것과 자유와 평등의 원칙하에 민주주의 신세계를 건설하는 것으로 정했다. 기본정책으로는 조국광복 후에 국민대표대회를 소집하여 공화국의 헌법과 국호 등을 제정하고 일제의 재산을 압류하는 것이었다.

신한민주당은 임시정부에 대한 한국독립당이나 조선민족혁명당의 기득권을 부정하고자 했으나, 특별한 활동이나 세력 확장은 이루지 못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신한민주당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