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안 고구려의 400년 도읍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의 만포시와 마주하고 있는 지안은 고구려의 도읍인 국내성이 있던 곳이다. 서기 3년 유리왕이 졸본(홀본, 忽本)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한 후, 427년 장수왕이 평양으로 천도하기까지 400년 이상 고구려의 중심이었다. 북쪽으로는 여러 준봉들이 병풍처럼 막아 주고, 남쪽으로는 압록강이 흐르는...
    도서 인조이 중국 | 태그 해외여행
  • 다사도 사자도, 多獅島
    개설 간석지에 둘러싸인 작은 섬으로서 대다사도와 소다사도로 나누어져 있고, 압록강의 남쪽 하구 가까이에 위치한다. 대다사도는 면적 약 0.2㎢, 해안선 길이 약 2.5㎞이고, 소다사도는 면적 약 0.05㎢, 해안선 길이는 약 700m이다. 러일전쟁 때 일본군이 상륙한 전략상의 요지였으며 일본군의 병참기지가 설치된 곳...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대다사도 면적 약 0.2㎢, 해안선 길이 약 2.5㎞, 소다사도 면적 약 0.05㎢, 해안선 길이 약 700m
    소재지 :
    평안북도 염주군 다사노동자구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거란 요(遼), 契丹
    거란의 입장에서는 배후에 위치한 고려의 존재가 부담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거란은 983년과 984년에 소포령(蕭蒲寧)에게 고려 또는 송과 교류하던 압록강 하류의 여진을 평정하게 하고, 이어 986년에 발해의 후국인 정안국(定安國)을 공격하였으며, 991년에는 압록강 유역에 위구(威寇) · 내원(來遠) · 진화...
    시대 :
    고려
    유형 :
    지명/고지명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건주여진정벌 建州女眞征伐
    그런데 이 4군 철폐 이후 여진인은 조선의 서북면을 자주 침범하였다. 이들은 농업을 주로 하여 수렵·목축을 겸하는 단계에까지 와 있던 부족으로 두만·압록강 북안(北岸) 산간부(山間部)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1467년(세조 13) 길주(吉州)에서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군이 북상했을 때, 마침 명나라는 건주위...
    시대 :
    조선
    발생 :
    1467년(세조 13), 1479년(성종 10)
    성격 :
    토벌사건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백두산정계비 白頭山定界碑
    내용 당시 청나라의 오라총관(烏喇摠管) 목극등(穆克登) 등과 조선 관원들의 현지 답사로 세워졌다. 이보다 앞서 압록강 ·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조선과 청나라 두 나라 사이에 자주 분쟁 사건이 일어났다. 거의 빈땅으로 되어 있던 이 지역에 인삼을 캐는 사람, 사냥하는 사람들이 자주 내왕하며 때로 충돌을 일으켜서...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4군6진 四郡六鎭
    4군은 압록강 상류인 여연(閭延)·자성(慈城)·무창(武昌)·우예(虞芮), 6진은 두만강 하류 남안에 설치한 종성(鐘城)·온성(穩城)·회령(會寧)·경원(慶源)·경흥(慶興)·부령(富寧)이다. 고려말에는 압록강 하류지역인 창성(昌城)·벽동(碧潼)·강계(江界)까지 진출하여 공민왕 때 강계만호부(江界萬戶府)를 두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마안도 馬鞍島
    극서를 이룬다. 면적은 0.3㎢, 해안선길이 2.3㎞, 최고높이 75m이며, 섬의 모양은 남북으로 약간 긴 타원형이다. 신도(薪島) 서쪽 1.2㎞ 지점에 있으며 압록강 하구에서 서남쪽으로 14.5㎞ 가량 떨어져 있다. 북북서쪽으로는 중국의 다둥거우[大東溝]를 바라본다. 마안도는 신도 주변 간석지 안에 있는 부속 섬으로 남쪽...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장진강 하가루, 長津江
    서동강(西洞江)·오만동강(五萬洞江)·삼포리강(三浦里江) 등이 있다. 하류부에서 부전강(赴戰江)과 강구포(江口浦)에서 합류하고 유로를 북동으로 바꾸어 압록강 상류의 신갈파진(新乫坡鎭)에서 압록강에 합류한다. 이와 같은 사실은 장진강과 송화강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種)은 일치하나, 압록강 본류의 종과는 다른...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유역 면적 6,976㎢, 길이 261㎞
    소재지 :
    함경남도 장진군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우시군 雩時郡
    개설 동부는 초산군·고풍군, 서부는 평안북도 벽동군, 남쪽은 송원군·평안북도 동창군과 접해 있으며, 북부는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 동북지방과 마주하고 있다. 면적은 703.01㎢로서 도 전체 면적의 4.19%를 차지한다. 현 행정구역은 1읍 1구 22리이고, 군 행정중심지는 우시읍이다. 형성 및 변천 1952년 행정...
    시대 :
    현대
    성격 :
    행정구역명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703.01㎢
    소재지 :
    자강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김형직군 金亨稷郡
    군은 동쪽으로 김정숙군(金貞淑郡), 서쪽으로 자강도의 화평군(和平郡) · 자성군(慈城郡) · 중강군(中江郡), 남쪽으로 자강도의 낭림군(狼林郡), 북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 동부지방과 접해 있다. 동경 126°53′∼127°35′, 북위 41°08′∼41°39′에 위치하며, 면적은 약 1,472.6km²이며, 인구...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양강도 兩江道
    내용 동쪽은 함경북도, 서쪽은 자강도, 남쪽은 함경남도, 북쪽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6°56′∼129°03′, 북위 40°22′∼42°02′에 위치하며, 면적 13,733㎢, 인구는 73만 4000여 명(1996년 추정)이다. 1954년 10월 행정구역 개편시 함경남도의 혜산군 · 보천군 · 운흥군...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만포시 滿浦市
    개설 동쪽은 자성군(慈城郡)과 장강군(長江郡), 남쪽은 시중군(時中郡) · 위원군(渭原郡), 북쪽과 서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04′∼126°39′, 북위 40°57′∼41°22′에 위치하며, 면적은 672.4㎢, 인구는 10만 2,000여 명(1996년 추정)이다. 명칭 유래 1949년 1월 강계군(江界郡...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9건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유람선 부두
압록강 철교 전경
압록강(鸭绿江)
압록강 철교
압록강 철교
압록강 철교
압록강 뗏목
압록강 뗏목
압록강 뗏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