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백제 32대 왕, 부여풍 풍왕, 扶餘豊史記)> 등 한국의 사서에서는 부여풍을 백제의 마지막 왕으로 인정하지 않으나, <일본서기(日本書紀)> 등에서는 마지막 왕으로 칭하고 있다. 18세기 문인 안정복의 <동사강목(東史綱目)>에서도 부여풍을 백제의 마지막 왕으로 보았다. <삼국사기>, <구당서(舊唐書)>, <신당서(新唐書)>, <일본서기> 등에 관련 기록이...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국적 :
- 백제, 한국
-
〈해동역사〉 편찬 시작 한치윤이 쓴 한국 통사적어 객관성을 높이고 자료집의 성격도 갖게 됐다. 한치윤은 18세기부터 일어나고 있던 '우리 역사 바로 알기'의 흐름 속에서 『해동역사』를 쓰게 됐다. 안정복이 『동사강목』을 써 우리 시각에서 우리 역사를 정리하고(1778년), 유득공이 『발해고』를 써 잊혔던 발해를 우리 역사 속에 편입시킨 데(1784년) 이은...
- 시대 :
- 1804년
- 국가/대륙 :
- 한국
-
동경통지 東京通志烈女)·고승(高僧)·도류(道流)·명기(名妓) 등 각 항목에 따라 서술되었다. 특기할 사항은 권1의 족본편에서 신라의 유래를 서술하면서 한백겸(韓百謙)·안정복(安鼎福)·신경준(申景濬)·정약용(丁若鏞)·신채호(申采浩)의 삼한(三韓)·삼국(三國)의 성립과 영역의 범위에 관한 여러 가지 설을 기술한 것이다. 권2...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최준(崔浚)
- 창작/발표시기 :
- 1933년
- 성격 :
- 지방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4권 7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
잡동사니 雜동사니본 뜻 조선시대 실학자 안정복이 쓴 『잡동산이(雜同散異)』에서 온 말이다. 책의 내용은 경사자집(經史子集)에서 문자를 뽑아 모으고, 사물의 이름이나 민간에서 떠돌아다니는 패설(稗說) 등 여러 분야의 다양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바뀐 뜻 순수하게 한 가지나 한 분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가 한데...
- 유형 :
- 합성어
-
만분가 萬憤歌구성 및 형식 국한문혼용체.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127구이며,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2·3조, 2·4조 등도 더러 있다. 안정복(安鼎福)의 『잡동산이(雜同散異)』 제44책에 수록되어 전한다. 작자가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유배되어 전라도 순천에서 지은 가사이다. 유배가사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조위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전기
- 성격 :
- 유배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황덕길 이길(耳吉), 黃德吉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이길(耳吉), 호는 하려(下廬). 아버지는 황이곤(黃以坤)이며, 어머니는 배천조씨(白川趙氏)로 조경채(趙景采)의 딸이다. 안정복(安鼎福)을 사사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형 황덕일(黃德壹)과 함께 경전(經傳) 공부를 열심히 하고 제자백가서를 두루 읽어 15, 16세 때 벌써 학예(學藝)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50년(영조 26)
- 사망 :
- 1827년(순조 27)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대표작 :
- 방언, 일용집요, 동현학칙, 도학원류찬언, 속찬언, 삼자실기, 사례요의, 가례익, 동유예설, 경훈사교록, 사서집록, 수사연원록, 도동연원록, 증보성현군보록, 척견록, 어류찬, 초학편, 소대연편, 고사상고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창원(昌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