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소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꿈은?
    어머니의 품으로 달려드는 꿈). 별 〈흥무왕연의〉(〈김유신실기〉)의 김유신(별과 금 갑옷을 입은 동자가 하강하는 꿈. 20개월 만에 태어남). 신선 우리 고유의 신선 사상이 배태한 꿈이다. 〈김태자전〉의 김태자(이름은 소선)(선동이 왕후 석 씨 부인의 품으로 달려드는 꿈), 〈김홍전〉의 김홍(홍문선관이 될 꿈...
  • 시황제 영정, 嬴政
    처한다고 엄포했다. 이것이 분서(焚書) 사건이다. 갱유(坑儒) 사건은 기원전 212년에 벌어진 것으로 불로장생 약에 대한 시황제의 염원이 발단이었다. 신선 사상에 심취한 시황제가 불로장생을 꿈꾸며 방사(方士, 도인)로 하여금 불로초를 구해 오게 했는데, 방사는 불로초를 구해 오는 대신 도망을 쳤다. 이에 시황제는...
    출생 :
    BC 259
    사망 :
    BC 210
  • 가구 家具
    성세를 이루지는 못하였지만, 부녀자를 중심으로 한 민간신앙이 뿌리를 내려 후기에는 동학사상과 더불어 다신교적 잡신을 숭배하는 원시사상과, 도교를 중심으로 한 신선사상이 널리 유행하였다. 즉, 악귀를 쫓고 수복을 염원한 부적관념(符籍觀念)이 심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사상에서 나타난 문양이 자연문(自然文...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길상도 吉祥圖
    2개 이상이 조합되어 그려지며 주로 채색과 공필에 의한 원체풍으로 그려졌다. 처음에는 상징적 장식문양으로 시작했으나 한대(漢代)를 통해 길리상서사상신선사상 등의 유행으로 본격화되었다. 당대(唐代)에는 길상적 소재들을 모은 〈손씨서응도 孫氏瑞應圖〉가 간행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의 고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명화
  • 산신각 산령각, 山神閣
    주는 존재로 믿어졌던 것이다. 한편 산신각에 모셔지는 산신의 모습이 일반적으로 선풍도골(仙風道骨)의 노인으로 그려지는 것을 생각해볼 때, 산신신앙이 신선사상(神仙思想)과도 관련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국의 불교사찰에 있는 산신각은 고유신앙의 수용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민간의 신앙이 두터운 칠성...
  • 선도산성모설화 선도성모수희불사설화
    천제녀(天帝女)를 불러 신선의 옷을 짰도다, 장생술(長生術)도 영이함이 없지 않았는데, 부처를 뵙고 옥황(玉皇)이 되었도다(來宅西鳶幾十霜 招呼帝子織霓裳 長生未必無生異 故謁金仙作玉皇).” 이 설화를 통해 고대의 산신 신앙(山神信仰)에 불교 사상신선 사상이 모순 없이 융합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
    저작자 :
    미상
    성격 :
    설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 병산서원 건축, 자연이 되다
    그 세계를 만대루까지 확장한 것은 아닐까? 누(樓)에 대한 첫 기록으로 꼽히는 중국의 『사기(史記)』에서는 누가 만들어진 배경으로 신선(神仙) 사상을 꼽고 있다. 신선을 꿈꾸던 유학자들의 마음은 서애의 스승인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에게서도 찾을 수 있다. 도산서당에서 퇴계가 쓴 글을 모은 『도산잡영...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30
    이용 시간 :
    하절기(3~10월) 09:00~18:00, 동절기(11~2월) 09:00~17:00
  • 국선 화랑국선, 國仙
    국선이 있었다. 경문왕의 경우, 왕이 되기 전인 18세에 국선이 되었다. 고려시대에도 ‘선랑(仙郞)’과 함께 자주 등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 고유의 신선사상과 중국 도교의 영향 아래 형성되었다는 주장과 화랑의 여러 명칭에 대한 이칭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신라시대의 고대사 연구 및 종교사 연구에 중요한...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제도
    분야 :
    종교·철학/도교
  • 난랑비서 鸞郎碑序
    최치원이 제시한 6가지의 실천규범은 각각 3교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 그밖에도 고유의 독특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우리 고유의 신선사상에서 유래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눈앞의 사소한 세속적인 일들에 집착하지 않고 초탈하여 자유스러움과 호방함을 보여주는 선풍(仙風)의 성격이 3교의 장점...
    시대 :
    고대/삼국
    저작자 :
    최치원
    창작/발표시기 :
    신라시대
    성격 :
    서문, 금석문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도교
  • 십장생 十長生
    수명장수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길상들인 해와 달, 구름과 물, 바위를 십장생으로 꼽는다. 십장생은 한국인의 토속 자연물 숭배사상을 바탕으로 하면서 중국의 신선사상을 수용해 이루어진 것으로 원시신앙과 깊은 관계가 있다. 고려말 이색은 〈목은집 牧隱集〉에 십장생시를 남겨놓았으며, 조선시대에 세화에는...
  • 사신도 四神圖
    뱀이 거북을 감고 있는 현무를 그렸다. 중국에서 전국시대 말기에 천문오행사상을 배경으로 대두되었으며, 한대(漢代)와 남북조시대를 통해 풍수지리설과 신선사상 등의 조류와 결부되어 유행했다. 주로 무덤과 석관·석비·화상석·와전·동경 등에 사방의 수호와 벽사를 목적으로 장식했다. 우리나라에는 한대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발몽편 發蒙篇
    아동교재에서는 간과하였던 운필법(運筆法)·사자법(寫字法) 등 붓글씨에 관한 지도법이 비교적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괴민편」에서는 신선사상과 노불사상은 백성들을 현혹시키는 사설(邪說)임을 주장하고 유학만이 이러한 잡설을 바로잡을 수 있는 정론(正論)임을 아동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이는 당시...
    시대 :
    조선
    저작자 :
    박재철
    창작/발표시기 :
    1868년(고종5)
    성격 :
    유학서, 교재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53장
    분야 :
    교육/교육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규원사화 / 서문 및 조판기
제왕운기 상,하 2권
안악 삼성사 환인화상
안악 삼성사 환웅화상
강화 참성단
단군 영정
환단고기
삼국유사
삼일신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