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거북·사슴·학·소나무·대나무·불로초·산·내·해·달을 십장생으로 꼽기도 하고, 해·돌·물·구름·소나무·대나무·거북·학·산·불로초를 가리키기도 한다. 동양에서 거북은 학과 함께 가장 오래 사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사계절 푸르른 소나무, 휘지 않는 상록수인 대나무, 그밖에 자연의 기본 요소이자 인간의 수명장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해와 달, 구름과 물, 바위를 십장생으로 꼽는다.
십장생은 한국인의 토속 자연물 숭배사상을 바탕으로 중국의 신선사상을 수용해 이루어진 것으로 원시신앙과 깊은 관계가 있다. 고려말 이색은 <목은집>에 십장생시를 남겨놓았으며, 조선시대에 세화에는 십장생이 그려져 있었다. 십장생 그림은 축수를 뜻하는 관념적 회화이며, 주로 궁중용·관제용·민간용으로 제작된 작품들이 남아 있다.
거북[龜]·사슴[鹿]·학·소나무[松]·대나무[竹]·불로초·산·내[川]·해[日]·달[月]을 꼽기도 하고, 해·돌[石]·물[水]·구름[雲]·소나무·대나무·거북·학·산·불로초를 꼽기도 한다. 동양에서 거북은 학과 함께 가장 오래 사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사계절 푸르른 소나무, 휘지 않고 푸르른 상록수인 대나무, 그밖에 자연의 기본 요소이자 인간의 수명장수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길상들인 해와 달, 구름과 물, 바위를 십장생으로 꼽는다.
십장생은 한국인의 토속 자연물 숭배사상을 바탕으로 하면서 중국의 신선사상을 수용해 이루어진 것으로 원시신앙과 깊은 관계가 있다.
고려말 이색은 〈목은집 牧隱集〉에 십장생시를 남겨놓았으며, 조선시대에 세화에는 십장생이 그려져 있었는데 이것을 문 위나 방 벽에 붙여놓기도 했다. 십장생 그림은 축수를 뜻하는 관념적 회화이며, 주로 궁중용·관제용·민간용으로 제작된 작품들이 남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원시/무속신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