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실상사 동종 實相寺 銅鐘
    花文) · 연주(連珠)의 순으로 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또, 주악상은 구름 위에서 천의(天衣)와 영락(瓔珞)을 위로 날리고 있는 형식이 성덕대왕신종과 상원사동종(上院寺銅鐘)을 연상하게 한다. 생황(笙簧)과 피리를 불고 있는 비천의 풍만한 모습은 신라불상의 양식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 종은 남아 있는 부분의...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속초 신흥사 동종 束草 新興寺 銅鐘
    개설 속초 신흥사 보제루에 걸려 있는 동종으로 1788년(정조 12)에 제작되었다. 2011년 8월 12일에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종뉴(鍾鈕)는 두 마리 용이 서로 머리를 반대로 향하고 몸통으로 고리를 형성한 모습이며, 몸체에 비해 다소 작게 만들어졌다. 천판과 몸체의 연결 부분에는...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정풍2년명동종 정풍이년명동종, 正豊二年銘銅鐘
    내용 1157년(의종 11) 주조. 높이 22.5㎝. 개인 소장. 소종(小鐘)이지만 제작연대를 지닌 고려 중기 범종의 귀중한 편년자료이다. 우선 S자형으로 굴곡진 용뉴(龍鈕)는 고려 전기 종과 달리 그 입을 천판(天板)상에서 띄워 앞을 바라보고 있으며 들려진 왼손 위에는 보주를 잡았다. 뒤에 붙은 음통(音筒)은 가늘고 형식...
    시대 :
    고려 전기
    성격 :
    불구, 범종
    유형 :
    유물
    크기 :
    높이 22.5㎝
    재질 :
    구리
    제작시기 :
    1157년(의종 11)
    분야 :
    예술·체육/공예
  • 희방사 동종 喜方寺 銅鐘
    종복(鐘腹)에는 주조연대가 확실한 명문이 새겨져 있다. 정상의 일체쌍두의 용뉴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형상이나, 몸체와 뻗은 발은 빈약하여 도식적이다. 동종의 상대(上帶)는 범자가 있는 방격문(方格文)을 돌려 장식하였으며, 하대인 구연대(口緣帶)는 상하 2단으로 하여, 아래쪽은 도식적인 운문(雲文)으로, 위쪽도...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聖居山天興寺銘銅鍾
    국보(1993.09.10 지정). 높이 1.33m, 종입구 0.96m. 신라 상원사 동종, 성덕대왕 신종 다음으로 큰 종으로 제작기법이나 양식에서 고려 범종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종 위에는 종을 거는 고리인 용뉴가 달려 있는데, 여의주를 물고 고개를 쳐든 용의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용뉴 가장자리인 천판(天板)에는 연꽃...
    문화재 지정 :
    국보(1993.09.10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양양 명주사 동종 襄陽 明珠寺 銅鐘
    내용 1704년(숙종 30) 제작. 높이 84.2㎝. 1980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쌍룡(雙龍)의 용뉴(龍鈕 : 종의 꼭지부분 장식)와 하대(下帶)를 지닌 혼합형 종으로서, 하나의 가느다란 몸체로 이루어진 두 마리의 용뉴는 그 머리가 왜소하면서도 휘어진 혀와 이빨이 강조되어 괴수처럼 표현...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탑산사명 동종 塔山寺銘 銅鍾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명문을 갖춘 고려시대 동종이다. 일제강점기에 전라남도 해남 읍내 헌병수비대에 있었으며, 현재는 대흥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전체 외형은 통일신라 범종을 계승하였으며, 주조기술이 뛰어나고 세부 장식도 우수하다. 한 마리의 용으로 종의 고리를 만들었는데, 용은 앞...
    시대 :
    고려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용다사 동종 龍茶寺 銅鍾
    내용 이 종은 1787년 화천 용화산 용다사에서 처음 제작되었는데 1878년 양구의 심곡사에 시주되었다. 이후 원주의 구룡사를 거쳐 1977년부터는 강원도 향토박물관에서 전시되었다. 최근인 1999년 월정사로 옮겨졌고 현재는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종의 정상부에는 음통이 없고 간략한 고리 형태의 용뉴가 있다...
    문화재 지정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창작/발표시기 :
    1787년
    성격 :
    범종
    유형 :
    작품
    권수/책수 :
    1
    소재지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1,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분야 :
    예술·체육/공예
    소장/전승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1,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 淸州 雲泉洞 出土 銅鍾
    ㎝, 입지름 47.4㎝.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1970년 금동불상, 금고(金鼓) 등의 불교 관련 유물과 함께 발견되었다. 내용 신라종의 양식을 충실히 따른 아름다운 동종이지만 일부에 손상을 입었고 약식화의 흔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정상에는 단룡(單龍)으로 된 용뉴(龍鈕)를 ‘∩’형으로 표현하여 고리의 역할을...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통영 안정사 동종 統營 安靜寺 銅鍾
    내용 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체 높이 117㎝, 종신 높이 93㎝, 입지름 71.5㎝, 윗지름 49㎝. 한국종의 전형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는 범종이다. 정상에는 반파된 음통(音筒)과 매우 사실적이고 웅건하게 조각된 용뉴(龍鈕)가 부착되어 있다. 종 어깨에는 여의두문(如意頭文)을 세워 둘렀고, 유곽(乳廓)은 상대에...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홍무25년 장흥사명 동종 봉은사동종, 洪武二十五年 長興寺銘 銅鐘
    내용 1392년(태조 1)작. 높이 60㎝, 입지름 49.5㎝. 1991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상부의 용뉴(龍 )와 음통(音筒)은 결실되었고 음통의 원공(圓孔)만이 남아 있으나 종신(鐘身)은 완전한 편이다. 어깨부분에는 여의두문(如意頭文)의 입상화문대(立像花文帶)가 장식되어 있는데, 반쯤...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범어사 동종 梵魚寺 銅鐘
    내용 2008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 126㎝. 1728년(영조 4)에 제작되었으며, 선암사종루종(仙巖寺鐘樓鐘, 1700년) · 옥천사종(玉泉寺鐘, 1708년) · 만수사종(萬壽寺鐘, 1710년) 등을 제작하였던 김성원(金成元)의 작품이다. 종의 상부에 있는 용뉴(龍鈕)는 다른 김성원 제작...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14건

동종
동종
상원사동종
봉선사동종
탑산사동종
강화동종
내소사고려동종
전등사
봉은사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 화계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통도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강화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강화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안성 청룡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안성 청룡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안성 청룡사 동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