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며느리 daughter-in-law
    의 『규중요람』, 송시열(宋時烈)의『계녀서』, 이덕무(李德懋)의『사소절』중「부의(婦儀)」등 집안 부녀자들의 교육을 위해 지어진 책들도 있다. 며느리의 도리 첫째는 시부모에게 효도해야 하고 집안을 화목하게 이끌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남편에 대한 질투를 버려야 하고, 멀고 가까운 친척들을 아끼고 섬겨야...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가족
  • 오하텐도리 우메다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쇼핑과 식도락 지역, おはてん通り
    우메다 히가시도리가 지는 별이라면 오하텐도리는 새롭게 떠오르는 별이다. 우메다의 중심지와는 조금 거리가 있어서 과거에는 이곳을 많이 찾지 않았지만 지금은 새롭게 단장을 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쇼핑할 수 있는 상점은 적으나 맛집과 술집이 몇 군데 있으므로 우메다 지역을 관광하다 식사를 위해 가볍게...
    위치 :
    우메다 히가시도리(梅田 東通り) 중앙로 건너편
    유형 :
    쇼핑, 먹을거리
    사이트 :
    www.ohatendori.com
  • 도리이 기요노부 鳥居淸信, Torii Kiyonobu
    쇼베이[庄兵衛]라고도 함.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유일한 우키요에[浮世繪:'덧없는 세상'을 주제로 한 일본의 풍속화] 화파인 도리이파[鳥居派]를 창시했다. 한때 오사카의 연극 무대에서 여자 역을 맡았던 배우이자 화가인 아버지 기요모토[淸元]로부터 그림을 배웠다. 가족이 1687년 에도로 이사한 뒤, 가부키[歌舞伎...
    출생 :
    1664, 일본 오사카[大阪]
    사망 :
    1729. 8. 22, 에도[江戶:지금의 도쿄]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하마도리 Hamadōri, 浜通り
    하마도리는 후쿠시마현 동해안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하마도리는 아부쿠마 산지와 태평양 사이에 있으며, 일본에서 눈이 가장 적게 내리는 지역 중 하나이다. 이 아부쿠마 산지와 태평양 사이의 지역에 긴 평야가 펼쳐져 있다. 원래는 후쿠시마현이 아닌 이와사키현이라는 독립된 현이었다. 그러나 1876년 8월 21일에는...
    도서 위키백과
  • 외목도리 外目道里
    주심 밖의 외부도리도리 중 가장 낮게 걸린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도리 dorina
    보스니아의 여성들이 거리에 걸치고 다닌 겉옷의 하나로 허리에서 벨트로 고정을 시켰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고분도리걸립 고분도리乞粒
    [개설] 「고분도리 걸립」은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에서 행해졌던 지신밟기로, 한 해를 시작하는 정초에 나쁜 일은 물리치고 좋은 일만 있기를 바라는 뜻에서 행하는 민속놀이이다. 고분도리는 서대신동의 옛 지명으로, ‘잡목과 돌이 없어 곱고 고운 초목들이 자라던 넓은 들판’이었던 까닭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 도리 含桃里
    성북구 길음동에 있던 마을로서, 앵두나무 과수원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앵두나무골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도리
    들연(서까래의 일종)이 얹히는 도리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단도리 단취, だんどり
    본 뜻 일본어에서 온 말로 준비, 채비를 뜻하는 말이다. 한자로는 단취(段取)라고 쓴다. 바뀐 뜻 준비, 채비라는 뜻으로 ‘단도리를 하다’라고 할 경우 ‘준비를 하다, 채비를 하다’로 바꿔 쓸 수 있다. 이밖에 ‘마무리를 하다’는 뜻으로도 곧잘 쓰인다. 보기글 ㆍ그 일은 워낙 중대한 일이니까 단도리를 단단히...
    유형 :
    일본어에서 온 말
  • 납도리 각도리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모나게 된 도리로서 기둥 위에 놓고 그 위에 서까래를 놓는다. 각도리 또는 민도리, 평도리라고도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주심도리 柱心道里
    평주의 위에 얹은 도리를 가리킨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4건

황주 성불사 응진전 주심도리와 외목도리
춘천 청평사 회전문 공포 도리
춘천 청평사 회전문 공포 도리
황주 성불사 응진전 공포 도리
구례 화엄사 각황전 상층 지붕 원도리
창덕궁 연경당(납도리집)
가구 명칭도
다마도리사키 전망대(타마도리사키 텐보우다이, 玉取崎展望台)
다마도리사키 전망대(타마도리사키 텐보우다이, 玉取崎展望台)
도리 추원당
도리도표
도리추원당
도리도표
도리카이
도리도표
처마도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