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도리 中道里
    한옥 지붕구조에서 들보에 직각으로 기둥과 기둥 사이에 둘러 얹혀서 연직하중 또는 수평하중을 받는 가로재 중 하나.|동자기둥 또는 'ㅅ'자보 위에 처마도리와 평행하게 배치해 서까래 또는 지붕널 등을 받는 도리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중도리
    중도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中島里)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중도리(中道里) 중도동
    도서 위키백과
  • 추녀
    내용 추녀는 주로 중도리의 왕지에서 주심도리나 외목도리의 왕지 사이에 걸쳐지면서 처마의 서까래가 내민 만큼 밖으로 내민다. 추녀의 좌우에는 선자서까래가 구성되며, 처마의 안허리곡과 앙곡(昻曲)을 결정하면 그에 맞추어 추녀의 내민 길이와 처들림을 정한다. 건물이 방형(方形)이면 추녀는 그 건물의 우주(隅柱...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안동 예안이씨 근재재사 모선루, 安東 禮安李氏 近齋齋舍
    배흘림이 강하며, 기둥상부에 대량(大樑)을 괴어놓은 보아지의 초각형상이 예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대청의 상부가구는 5량가로 대들보 위에 베갯목을 놓아 중도리와 종보를 받쳤고 종보 위에 각대공(角臺工)을 세워 중도리를 올렸다. 종보와 중도리 등 많은 가구재가 새 재목으로 바뀌었으며, 대들보 양단의 상부에...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생활/주생활
  •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蔚珍 佛影寺 大雄寶殿
    조각하였고 주간포에서는 삼분두(三分頭)로 처리하였다. 가구 구조(架構構造)는 1고주(高柱) 5량 형식이다. 고주는 예불공간을 넓게 쓰기 위해 배면 중도리 위치에 맞춰 측면 기둥열에서 약간 뒤쪽으로 물려 세웠다. 대들보와 툇보는 공포 위에 놓이며 대들보와 툇보가 만나는 부분의 하부에는 고주를 세워 받쳤다...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도리
    이 주로 쓰이는데 간혹 팔각형도 쓰인다. 원형은 굴도리, 방형은 납도리라 한다. 도리는 놓이는 위치에 따라 그 명칭이 정하여지는데 주심도리(柱心道里)·중도리(中道里)·종도리(宗道里) 등이 있다. 건물의 규모가 커지면서 상중도리(上中道里)·하중도리 등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내외출목이 있는 집에서는 외목...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경주 양동 무첨당 慶州 良洞 無忝堂
    초각된 쇠서 하나를 내어 초익공식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간살은 5량(五樑)으로 대들보를 앞뒤 평주 위에 걸고 그 위에 밑면이 초각된 동자기둥을 놓고 중도리 방향으로도 밑면이 초각된 첨차와 소로를 짜넣어 종보와 중도리를 받치고 있다. 종보 위에는 아름답게 초각된 판형의 대공에 첨차·소로를 짜넣어 중도리를...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서까래
    으로만 구성되지만, 오량가(五樑架) 이상이면 장연과 단연(短椽)으로 나누어지고, 아주 큰 집에서는 중연(中椽)이 더 있는 경우도 있다. 장연은 주심도리와 중도리 사이를 덮으면서 처마를 이루는 부분까지를 이르고, 단연은 종도리에서 중도리 사이를 덮는 것으로 그 길이가 짧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지붕의 구조...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주생활
  • 금산읍 錦山邑, Geumsan-eup
    금산장은 5일 정기시장이며, 전국 인삼의 80%가 이곳에서 거래된다. 인삼 유통을 위한 금산수삼센터·인삼국제시장·인삼쇼핑센터도 조성되어 있다. 상리·중도리 일대에 시가지가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옥천리·대전 방면의 도로가 통과한다. 행정구역은 상리·중도리·신대리·하옥리·아인리·상옥리·계진리...
    인구 :
    22,844 (2024)
    면적 :
    21.83㎢
    행정구역 :
    39개리 287개반
    소재지 :
    충청남도 금산군
    사이트 :
    http://www.geumsan.go.kr/html/town_01/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서까래 rafter
    간격을 두고 걸쳐 지붕틀을 구성하는 기본 부재이며 그 위에 산자를 깔고 기와를 덮든가 초가지붕을 만든다. 서까래에는 지붕 한 면을 덮는 긴서까래[長椽], 중도리에서 처마 끝까지 걸쳐 처마를 형성하는 처마서까래, 종도리에서 중도리 사이에 걸친 짧은서까래[短椽]가 있으며 처마서까래 끝에 덧달아 얹는 각형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강화 전등사 약사전 江華 傳燈寺 藥師殿
    제공을 조각하지 않고 교두형(翹頭形)으로 처리하였다. 가구 구조는 5량 형식이다. 대들보는 앞뒤 기둥 상부의 2제공 위에 걸었으며 동자주를 세워 종보와 중도리를 결구하였다. 종보 위에는 덧보를 놓고 중앙에 동자주를 세워 종도리를 받쳤다. 충량(衝樑)은 자연스럽게 휜 부재를 사용하였는데 대들보 밖으로...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주립 자립, 朱笠
    의 품목(稟目) 조에는 선유락 집사의 주립에 필요한 재료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 책에 있는 갓모자[帽]와 양태(凉䑓)를 기본으로 하고, 은입식(銀笠飾), 중도리[徴道里], 밀화갓끈[蜜花貝纓]과 옷감 갓끈[宮綃纓子], 갓끈 연결 고리[銀纓子], 호수와 공작우의 기록으로 주립의 구조를 알 수 있다. 중도리는 모자와...
    시대 :
    조선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