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특별위원회 特別委員會임명 동의안과 의장이 각 교섭단체 대표 의원과 협의하여 제출한 선출안 등을 심사하기 위하여 구성하는 특별위원회(「국회법」 제46조의3), (4) 국정 조사 특별위원회: 국정 조사를 위해 별도로 구성되는 특별위원회(국정 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 제3조)가 있다. 상설 특별위원회 예산 결산 특별위원회 예산 결산 특별...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세도정치 勢道政治, Politics by In·powers개설 조선의 정치이념으로 볼 때 국정의 정점에 있어야 할 국왕의 권력과 권위가 크게 약화되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세도(世道)란 ‘세상 가운데의 도리’란 뜻으로서, ‘그 도리를 이끌어나갈 책임’을 함께 뜻하기도 했다. 세도의 책임은 원래 국왕에게 있어야 하지만, 조선후기에 신료의 발언권이 강해짐에 따라...
- 시대 :
- 조선
- 성격 :
- 정치형태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04년(순조 4)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교과서검인정제도 敎科書檢認定制度교과서 유형 중 검정 도서와 인정 도서를 줄인 말이며, 검·인정이라 표기하기도 한다. 검인정의 대상이 되는 검정 및 인정 도서는 교육부가 저작권을 가진 국정 도서와 대응된다. 내용 교과서의 검정 또는 인정과 관련된 법률적 근거는 ‘교육법’(법률 제86호, 1949.12.31.) 으로부터 연원한다. 즉, 1977년 8월에 제정...
- 시대 :
- 현대
- 성격 :
- 교육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처 :
- 교육부
- 분야 :
- 교육/교육
-
국립영상간행물제작소 國立映像刊行物製作所로, 1994년 5월 국립영상제작소로 개칭되었다가 1995년 5월 국립영상간행물제작소로 명칭이 다시 바뀌었다. 주로 문화영화, 기록영화를 제작하며 소장 1명이 국정홍보처 장관의 명을 받아 업무를 관장한다. 서무과, 기획편성과, 영상제작과, 간행물제작과, 국정자료과, 기술과가 있다. 국립영상간행물제작소는 텔레비전...
-
재신 재상(宰相), 宰臣제정 목적 재신(宰臣)은 국왕이 국정을 이끌어 가는 것을 보좌하는 신료를 대표하는 존재로서, 백관(百官)을 통솔하고 국정의 중대사를 논의하며 6부(六部) 판사(判事)를 겸직하여 해당 관부의 업무를 관할하도록 할 목적으로 제정하였다. 내용 재신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소속이므로 성재(省宰)라고도 했다. 중추원...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도감 색(色), 都監制) 또는 의정부(議政府) 6조(六曹) 체제 등 관료제(官僚制)상의 정규 관부를 통해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들 정규 관부는 정해진 업무가 있어 이를 벗어난 국정의 다양한 사안을 처리하기는 어려웠다. 도감(都監)은 이처럼 정규 관부가 담당하기 어려운 국정의 긴요한 사안을 처리하도록 할 목적으로 필요할 때마다 설치...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관청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관민공동회 官民共同會역사적 배경 독립협회는 열강의 침탈로부터 국권을 수호하고 지배층의 압제로부터 민권을 수호하기 위해서는 국정 개혁에 의한 근대적 자강 체제(自彊體制)의 수립이 긴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근대적 자강의 실현은 관민의 협력으로써만 가능하다고 믿었다. 그래서 진보적인 관료들을 중심으로 개혁 내각을 수립하게...
- 시대 :
- 근대
- 발생 :
- 1898년 10월 28일
- 성격 :
- 정치집회
- 유형 :
- 사건
- 종결 :
- 1898년 11월 3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독립협회
- 관련 장소 :
- 서울 종로
-
재상 宰相비슷하게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시중(侍中) 이하 5직 8인과 중추원의 판사(判事) 이하 7직 9인만을 재상(또는 재추)으로 불렀다. 이것도 이들 관직(자)의 국정에서의 기능과 관련해 중서문하성의 2품 이상은 재신 · 성재(省宰) · 진재(眞宰) · 재보로 호칭하면서 진정한 재상으로 중시한 반면에 중추원의 2...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