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2008년 |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388 |
사이트 |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
요약 문화·예술·영상·광고·출판·간행물·체육·관광, 국정에 대한 홍보 및 정부발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정부기관. 문화예술정책을 수립, 시행하고, 문화예술 관련기관과 단체를 관리하며, 각종 스포츠 행사 주최와 스포츠 단체 관리, 관광자원과 문화재 관리, 그리고 국민에게 국정에 대해 홍보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목차
접기설립 목적과 주요 업무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 정부 안에서 문화와 체육, 관광행정을 맡아 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주요업무는 문화·예술·영상·광고·출판·간행물·체육·관광, 국정에 대한 홍보 및 정부발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것이다. 세부적인 업무로는 문화·여가·국어·지역문화에 대한 정책 수립, 지방문화원 운영, 남북문화교류, 국제문화예술기구 간의 협력을 도모하고, 도서관과 박물관을 운영, 관리한다. 그리고, 대중문화 콘텐츠 개발과 문화산업진흥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며, 저작권, 문화, 체육, 관광 관련 국제통상 업무와 독립제작사 육성, 광고 관련 공익사업, 정기간행물, 출판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체육 분야로는 생활체육, 전문체육 및 스포츠산업의 진흥을 위한 장기·단기종합계획을 수립하며, 전통무예, 전통민속경기, 프로운동경기, 공공체육시설, 체육국제교류, 태권도 진흥정책 등을 담당한다. 관광산업분야로는 남북관광교류, 관광진흥개발기금관리, 전통음식진흥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다. 그리고, 국정홍보를 총괄하고, 종교 관련 행정과 종교단체, 전통사찰, 향교 등에 관한 업무를 총괄한다.
연혁
1948년 정부수립 당시 신설된 공보처가 전신이다. 제3대 대통령선거를 얼마 안 남긴 1956년 2월 공보처를 폐지하고 대통령소속 공보실을 설치했다. 1961년 군사정변 직후 공보부가 신설되었고, 1968년 문화공보부로 개편되었다. 제6공화국이 들어서 1990년 문화부가 신설되었고, 문민정부에 들어선 1993년 문화체육부로, 국민의 정부가 들어선 1998년 문화관광부로 개편되었다. 이명박정부가 들어선 2008년 2월 정부조직법 개정에 의해 정보통신부 일부와 국정홍보처를 문화관광부에 통합하여 문화체육관광부로 개편되었다.
조직 구성
문화체육광관부의 조직으로 장관과 제1차관과 제2차관이 있고, 장관 아래에 대국민홍보를 담당하는 대변인과 장관 지시사항 연구, 검토와 전문가의 국정참여 촉구, 관계부처 정책보좌 등을 담당하는 정책보좌관, 문화체육관광부와 소속기관, 공공기관에 대한 감사를 담당하는 감사관이 있다.
제1차관 아래 공무원 임용 등의 인사업무·보안, 관인 및 관인대장 관리, 문서와 자료 관련 업무 등을 비롯한 행정지원업무를 담당하는 운영지원과, 문화체육관광부의 각종 정책과 주요 업무계획을 수립·종합·조정하고 예산을 집행하는 기획조정실, 문화예술·국어·문화교류 등을 담당하는 문화예술정책실, 영화·애니메이션·대중음악 등 문화산업과 관련된 정책을 담당하는 문화콘텐츠산업실이 있다.
제2차관 아래 장관의 명에 따라 국정홍보에 관하여 제2차관을 보좌하는 차관보, 체육과 스포츠산업의 진흥정책을 담당하는 체육관광정책실, 국정홍보를 총괄하는 국민소통실, 종교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종무실이 있으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대회와 장애인 동계 올림픽 대회 지원을 위해 2017년 8월 19일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조직으로 동계올림픽특구기획단이 있다.
소속기관으로 전문예술인을 양성하기 위한 고등교육기관인 한국예술종합학교, 국악을 체계적으로 교육해 전문 국악인을 양성하기 위한 중등교육기관인 국립국악고등학교와 국립국악중학교, 전통예술을 체계적으로 교육해 전통예술인을 양성하기 위한 중등교육기관인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국립전통예술중학교 등의 국립교육기관이 있다.
문화재와 자료를 수집·보존·연구·전시하여 전통문화의 교육과 홍보를 담당하는 국립중앙박물관과 지방박물관으로 경주박물관, 광주박물관, 전주박물관, 부여박물관, 공주박물관, 진주박물관, 청주박물관, 대구박물관, 김해박물관, 제주박물관, 천천박물관, 나주박물관, 미륵사지유물전시관이 있다.
국어와 국민언어생활을 연구하는 국립국어원, 도서관자료 수집·관리, 국가 서지 작성과 표준화, 국가문헌정보체계구축 등을 담당하는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문화의 해외 홍보를 담당하는 해외문화홍보원, 민족음악의 보존·전승·보급·발전을 위한 업무를 담당하는 국립국악원, 우리민족과 세계 여러 민족의 생활 풍속·관습·유물 등을 수집·보존·연구·전시·교류 업무를 담당하는 국립민속박물관, 대한민국 근현대 역사자료를 수집·보존·연구·전시·교육·교류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한글문화 관련 유물과 자료를 수집·보존·연구·전시·교육·교류 업무를 담당하는 국립한글박물관, 민족예술의 발전과 연극문화의 향상을 담당하는 국립중앙극장, 미술작품과 자료의 수집·보존·연구·전시를 통해 국민의 미술문화의식향상을 담당하는 국립현대미술관이 있다.
공공채널의 프로그램을 제작·방송하고, 정부의 영상물 제작과 보존과 제작지원을 담당하는 한국정책방송원, 아시아 지역 국가들과 문화교류업무를 담당하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창작에 현저한 공적이 있는 예술가를 지원하는 기관인 대한민국예술원의 사무를 지원하는 예술원사무국이 있다. 문화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문화재청이 있다.
현황
문화체육관광부의 본청 소재지는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388 정부세종청사 15동이며, 2015년 3월 현재 정원은 2,720명이다. 이 정원에는 본부 673명 외에 한국예술종합학교, 국악고등학교, 전통예술고등학교, 국립중앙박물관 등 15개 산하 기관의 정원이 포함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행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