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선 필 청풍계도 鄭敾 筆 淸風溪圖특징을 잘 알고 있었으므로 여러 차례 청풍계를 그리게 되었다. 내용 「청풍계도」는 현재 여러 이본이 있다. 간송본인 「청풍계도」와 잘 비교되는 고려대학교 박물관 본은 간송본에 비해 좀 더 멀리서 조망하여 인왕산 산정부터 골짜기 아래까지 넓은 지역을 묘사하였다. 이에 비해 간송본은 청풍계 장동김씨의 영역만을...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서화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혼천의 및 혼천시계 渾天儀 ─ 渾天時計하여 톱니바퀴를 움직이는 시계장치와 지구의가 설치된 혼천의가 연결되어 있어 시간과 천체의 위치를 동시에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만든 천문시계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 있는 유물로 세계 시계 제작기술 역사상 독창적인 천문시계로 평가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1번지 고려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문화재 지정 :
- 국보(1985.08.09 지정)
-
수선전도 首善全圖폐허된 것으로 표현된 바 1825년경의 제작이며, 그 필법으로 보아서 김정호의 제작으로 추정하고 있다. 목판본으로 인쇄되어 널리 전해진 서울의 정밀한 도성도로서 원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지도의 목각판이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어 판각인쇄기술을 고증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정호
- 문화재 지정 :
-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재 제296호
- 창작/발표시기 :
- 1825년
- 성격 :
- 지도, 서울지도
- 유형 :
- 문헌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송이영 宋以潁혼천의라고 되어 있다. 이 자명종을 만들었다는 기록과 기계식 혼천의라는 기록을 전상운(全相運)은 같은 것으로 해석하고, 1985년 국보로 지정된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혼천시계가 곧 송이영이 만든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송이영의 이름은 조선시대 잡과(雜科) 합격자명단에 나와 있지 않으므로 잡과 출신자는 아닐...
- 시대 :
- 조선 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관상감원, 현감
- 유형 :
- 인물
- 직업 :
- 과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김용행 순필(舜弼), 金龍行모두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유작으로는 심사정(沈師正)과 이인상(李麟祥)의 남종화풍이 엿보이는 간송미술관 소장의 「노송궁천도(露松窮泉圖)」와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위암박주도(危巖泊舟圖)」 등이 전한다. 세 그루의 소나무와 주변의 계곡을 소재로 삼아 그린 「노송궁천도」에는 강세황(姜世晃)과 서직수...
- 시대 :
- 조선 후기
- 출생 :
- 1753년
- 사망 :
- 1778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가
- 대표작 :
- 노송궁천도, 위암박주도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본관 :
- 안동(安東)
-
지창한 백송, 池昌翰畫風)으로 물고기와 게 그림을 잘 그렸다. 게 가운데에서도 밤게를 특히 잘 그려 이 분야에서 이름을 얻었다. 글씨는 하소기(何紹基: 1799∼1873, 중국 淸代의 학자. 서도가.)체(體)를 잘 썼다. 유작으로 「율해도(栗蟹圖)」·「해도(蟹圖)」(개인 소장), 「노위도(鷺葦圖)」(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등이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51년(철종 2)
- 사망 :
- 1921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서화가
- 대표작 :
- 율해도, 해도, 노위도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본관 :
- 충주(忠州)
-
두정사동종 頭正寺銅鍾내용 높이 39㎝, 입지름 25∼32.5㎝.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출토지와 출토경위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6·25 때 불에 그을러 전체적으로 흑적색을 띠고 있는데, 몸체에는 균열이 나 있고 하연(下緣)은 타원형으로 곡선을 이루고 있다. 용뉴(龍鈕)와 음통(音筒)이 갖추어져 있는 통식(通式)의 종으로 상대(上帶...
- 시대 :
- 고려
- 성격 :
- 범종
- 유형 :
- 유물
- 크기 :
- 높이 39㎝, 입지름 25∼32.5㎝
- 제작시기 :
- 고려시대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박물관
-
수선전도 목판 首善全圖 木板내용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판(板). 목판의 크기는 세로 82.5㎝, 가로 67.5㎝이다.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首善全圖(수선전도)’라는 제목이 윗머리에 새겨져 있고, 그 아래에 서울의 주요도로와 시설, 궁전·종묘·사직·문묘·학교·교량·산천·성곽·누정·봉수·역원·명승 등에서 부(部)·방...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북궐도형 北闕圖形창경궁을 함께 그린 「동궐도형(東闕圖形)」도 함께 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와는 달리 서궐(西闕)인 경희궁에 대해서는 묵선을 써서 회화적으로 그린 「서궐도안(西闕圖案)」(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만이 전해지고 있으며, 창덕궁·창경궁에 대해서는 채색까지 가한 회화로 「동궐도(東闕圖)」가 전해지고 있다...
- 시대 :
- 근대/개항기
- 창작/발표시기 :
- 19세기 말
- 성격 :
- 회화작품
- 유형 :
- 작품
- 크기 :
- 55×37㎝(1면), 280×432㎝(전체 펼친 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