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정약용 조선 후기의 실학자을 주장하면서 주자 성리학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각종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했다. 수원 화성의 건축을 주도했으며, 거중기를 고안하여 근대적 건축기술을 선보이기도 한, 조선이 낳은 천재였다. 초기 생애 1762년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 마재리(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 출생 :
- 1762(영조 38), 경기 광주
- 사망 :
- 1836(헌종 2)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본관 :
- 나주(羅州)
- 호 :
- 사암(俟菴), 여유당(與猶堂)
-
전통 시대의 건축 傳統 時代의 建築모두 일본에서 가져왔고, 왜 목수가 쓰는 연장도 함께 가져왔다. 이렇게 200여 년간 21차례에 걸친 초량 왜관 공사는 조선 목수는 일본 건축을 경험하고 왜 목수는 조선 건축을 경험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양국의 건축 기술과 법식은 물론 건축 자재와 연장, 기술 등이 상호 교류되는 계기가 되었다...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르네상스 건축, 프랑스 르네상스 건축고전 유적을 직접 답사, 측량, 연구했으며 세를리오와 비뇰라 등과 교류하며 비트루비우스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이런 배경에 아버지에게 배운 돌 다루는 기술을 더해 자신만의 프랑스 르네상스를 완성했다. 들로름의 건축은 이탈리아 고전주의는 되도록 줄인 대신 프랑스 전통을 최대한 살렸다. 세를리오나 다른 프랑스...
-
고대 로마의 서민아파트 인술라 영광의 그늘에 가려진 서민들의 애환살았겠지만. 날림공사와 조악한 주거환경 고대 로마의 건축을 얘기할 때, 우리는 먼저 신전, 궁전, 경기장, 고가수로, 도로, 교량 등 대규모의 건축이나 고도의 시공기술을 발휘한 건축물을 연상하게 된다. 그리고 그 실용성과 견고함을 보고 우리는 경탄해 마지않는다. 그런데 서민들이 사는 인술라는 어땠을까? 경탄이...
- 시대 :
- 로마제국 전성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