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산근대미술관 역사와 예술이 만나는 군산 여행
    여행지는 근대 역사를 기반으로 삼고 있으니 무작정 출발하기보다 그 역사와 배경을 알아두면 유용하다. 군산근대역사박물관에서 군산 미리 보기 1899년에 개항하기 이전부터 군산항에는 인근 7개 읍의 쌀이 모이는 군산창이 있었다. 조선 3대 시장 중 하나였던 강경과 접한 항구이기도 했다. 일본은 호남평야의 쌀을...
    위치 :
    전라북도 군산시 해망로 230
  • 개항장 開港場
    개항장은 기본적으로 서양세력이 세계로 진출함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즉 동아시아에서 근대의 개항장을 살펴 보면, 1840년에 발발한 아편전쟁으로 개항이 이루어진 중국의 홍콩 · 상하이 등 5개 항구 및 1854년 미국 페리 제독에 의한 흑선(黑船) 내항을 계기로 개방된 일본의 시모다[下田] · 하코다테[函館...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역사/근대사
  • 한국자본주의사연구 韓國資本主義史硏究
    신체제적 식민지개발사의 동태 그것이다.”라고 서술하였다. 제2권 ‘봉건지대의 근대화 기구분석’에서는 한말의 전기적 생산양식론고(前期的生産樣式論考), 개항과 토착경제의 피지배구조, 지대(地代)의 경제사학적 의의, 개항 이후의 지대사적 단계규정, 개항과 봉건적 지대구조, 동학혁명과 지대의 분화, 일본 자본...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준보(金俊輔)
    창작/발표시기 :
    1970년(제1권), 1974년(제2권), 1977년(제3권)
    성격 :
    학술서, 자본주의사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3책
    간행/발행 :
    일조각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인천광역시 仁川廣域市
    대한민국 북서부 서해 연안에 있는 광역시. 개항과 함께 서울의 관문역할을 하면서 항만 관련 산업 및 교역 중심지로서 성장한 대한민국 제2의 항구도시이다. 특히 1960년 이후 경제개발계획으로 경인공업지대의 중심을 이루면서 제조업이 발달하여 항만도시일 뿐만 아니라 중공업도시로써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수출입...
    위치 :
    대한민국 북서부
    인구 :
    3,000,454 (2024)
    면적 :
    1,063.26㎢
    행정구역 :
    8개구 2개군 1개읍 19개면 129개동
    사이트 :
    http://www.incheon.go.kr/index.do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청주국제공항 CJJ, Cheongju International Airport
    개요 충청북도에 있는 국제공항. 1978년 개항한 공군 비행장이 기반으로, 민항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92년 건설공사에 착공해 1997년 개항했다. 부지 면적은 673만 9,778m2, 두 개의 활주로가 있다. 국제공항의 기능을 갖춘 중부권 거점공항으로, 인천국제공항이나 김포국제공항이 기상악화 등으로 착륙이 어려울...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설립 :
    1978년
    대륙 :
    아시아
    국가 :
    한국
    사이트 :
    https://www.airport.co.kr/cheongju/main.do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교통
  • 인천국제공항공사 IIAC, 仁川國際空港公社
    건설은 수도권 신공항건설공단이 맡고 있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001년 3월 총 공사비용 56억 달러가 들어간 1단계 건설 사업을 완료하여 인천국제공항을 개항했다. 2008년 6월 완공된 제 2단계 확장공사는 길이 4,000m, 폭 60m의 활주로 1본과, 지하 2층, 지상 5층, 연면적 16.6만 ㎡의 탑승동 1동이 추가로 건설...
    설립 :
    1999-02-01
    국가 :
    대한민국
    기업형태 :
    공기업
    업종 :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취급품목 :
    인천국제공항의 건설, 관리, 운영, 유지, 보수
    사이트 :
    http://www.cyberairport.kr/co/ko/index.jsp?lang=ko
    본사 주소 :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424번길 47
    도서 기업사전 | 태그 항공 , 기업 , 공공기관
  • 최익현 찬겸, 崔益鉉
    대원군 탄핵으로 말미암아 골육 간에 이간을 부추겼다는 죄목으로 1875년 3월까지 1년 3개월 동안 제주도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 이후 1876년 1월 개항 반대 상소를 올릴 때까지 몇 달간 고향 포천에 머물러 있었다. 그 뒤 1876년 개항 여부를 둘러싸고 국론이 분분할 때, 개항 절대 불가를 주장하는 상소를 올려...
    출생 :
    1833년 12월 5일(음력), 경기 포천(抱川)
    사망 :
    1907년 1월 1일
    관련 사건 :
    을사늑약 반대투쟁, 중기의병
    본관 :
    경주(慶州)
    주요활동 :
    을사늑약 파기 및 오적 처단 상소, 1906년 노성 궐리사 강회, 태인의병장, 대마도 피수 후 옥중 순국. 1906년 중기의병 시기에 태인 ・ 정읍 ・ 순창 등 호남지방에서 활동했던 의병장.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태인의병, 화서학파
  • 삼포 三浦
    부산포·내이포·염포를 말한다. 조선은 건국 후 무질서하게 입국하는 왜인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1407년(태종 7) 부산포와 제포를 개항하고, 1426년(세종 8)에는 또다시 염포까지 개항하여 이른바 삼포개항을 단행했다. 이 삼포의 개항장에는 왜관을 설치하여 교역 및 접대의 장소로 삼았다. 그리고 여기에 거류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양양국제공항 襄陽國際空港
    구간에 터널(강릉터널)이 개통되면서 영동지역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그 결과 양양국제공항은 이용객의 급속한 감소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개항 초기 하루 7회까지 운항되었던 양양국제공항의 국내 항공노선은 이용실적 저조로 2004년 7월 이후 대부분 중단되었고, 국제 항공노선 또한 중국, 일본 등지...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경제·산업/교통
  • 레오나르도다빈치 국제공항 FCO, Leonardo da Vinci Fiumicino Ai..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코드는 FCO,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코드는 LIRF이다. 1961년 개항했으며, 예전 이름인 로마피우미치노 국제공항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탈리아 국적기인 알리탈리아항공의 허브 공항이다. 공항 면적은 1,457만 5,000m2...
    위치 :
    이탈리아 피우미치노
    설립 :
    1961년
    대륙 :
    유럽
    국가 :
    이탈리아
    사이트 :
    www.adr.it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항공 , 교통
  • 인천광역시의 인구와 도시
    인구 개항 이후 급속히 성장한 도시로서 현재 인구규모에서 서울·부산에 이은 한국 제3위의 대도시이다. 인천의 인구증가는 농촌인구의 도시유입이라는 사회적 증가가 주요인이다. 개항 후인 1897년의 인구는 외국인 5,337명을 포함하여 총 1만 4,280명이었으나, 1910년 3만 1,011명, 1940년 17만 1,000명으로 증가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항만 항구, 港灣
    지역 간의 교역량이 증가하면서 증기선, 유조선, 컨테이너선 등의 규모가 큰 선박이 등장하면서 인공적인 항만시설이 필요해져 그 규모가 크게 되었다. 고대 개항 전까지 우리나라에는 항만과 항구도시의 발달이 미약하였으나, 경기만 · 태안반도 · 남해안 · 울산 등 전략적 요충지나 정치 중심지 부근에는 포구가...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8건

개항
목포항(개항)
부산항(개항 초기)
부산 초량 일본인촌
인천항(개항 직후)
원산항(개항 이후)
인천항(개항 직후)
제물포 부두(개항)
부산항(개항 초기)
개항 직후 부산항
조선의 개항
우리나라 개항 연대
개항 당시의 제물포
목포 개항100주년 기념탑
▲ {개항 후 일본과의 무역액 변화}
목포개항 100주년기념 - 낱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