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노 (카드 게임) Uno (card game), UNO (ゲーム)또, "wild"와 "wild draw four"는 네 장씩 있어 모두 합하면 108 장의 카드를 갖고 놀이를 하게 된다. 놀이를 시작하기 위해, 각 참여자에게 일곱 장씩의 패가 주어지며, 남은 패 더미(가져가는 패 더미)의 맨 윗 장은 내(버리)는 패 더미를 위해서 옆에 젖혀 놓아 둔다. 만약 젖혀진 패가 특별한 기능이 있는 것이라면...도서 위키백과
-
수상전 (바둑용어) 수싸움, 手相戰바둑에서, 흑과 백의 미생마가 서로 얽혀 상대방의 돌을 잡지 않으면 자신의 돌이 죽는 상황에서 벌어지는 수싸움. 상대방의 돌을 단수로 몰아 잡기 위해 벌어지는 치열한 전투로, 두 말 사이의 공배(空排)를 줄여 어느 순간 먼저 단수를 치는 쪽이 살아남게 된다. 때로 패가 발생하여 빅이 되는 경우도 있다.
-
정득만 鄭得晩최창남(崔昌南) · 황용주(黃龍周)가 장학생으로 지정되었다. 「선소리 산타령」은 매년 정월 벌어지던 ‘담교놀이’의 한 마당으로, 보통 7∼8명의 소리패가 연창하던 노래다. 그들은 선소리패를 이루어 함께 익히고 놀음놀이에도 무리지어 다니곤 했다. 당시 유명했던 소리패들로는 뚝섬패 · 방아다리패 · 과천패...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선패 패초(牌招), 宣牌내용 대소인원(大小人員)은 길에 선패가 지나갈 때에는 향축(香祝)·교서가 지나갈 때와 같이 하마(下馬)하여 국궁(鞠躬)하도록 하였다. 패는 붉은칠[朱塗]을 하였고, 표면에는 ‘명(命)’자를, 그 뒷면에는 불러들이는 신하의 성명을 기록하여 승정원의 하례(下隷)로 하여금 송달하게 하는데, 이를 패초(牌招)라고...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거창 갈계리 임씨고가 居昌 葛溪里 林氏古家맞배지붕의 솟을대문으로 중앙에 출입문 양측에 각각 방 한 개씩을 두었다. 임훈의 덕행을 추모하여 나라에서 정려문(旌閭門)을 내렸으며 지금 사용하는 대문에 합문(閤門)해 두었다. 이 정려문의 특징은 주춧돌이 거북모양으로 조각되었고, 정려문 윗부분에 이조판서를 추증하였다는 내용의 정려패가 걸려 있다. 참고문헌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
왔다본 뜻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은어나 속어 중에는 노름판에서 나온 말들이 많은데 ‘왔다’도 그중의 하나이다. 노름판에서 자기가 원하는 끗수의 패가 왔을 때 “옳거니, 드디어 바라던 것이 왔구나!” 하며 탄성을 지르는 말이다. 바뀐 뜻 오늘날 이 말은 기분이 좋거나 또는 어떤 사물이나 사람이 마음에 쏙 들...
- 유형 :
- 은어
-
대궁소궁 (바둑용어) 大宮小宮큰 궁도와 작은 궁도 안의 눈의 수와 위치, 큰 궁도와 작은 궁도 사이의 공배의 수, 큰 궁도 바깥의 상황에 따라 사활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궁소궁 사이에서 패가 발생했을 때에는, 일방적으로 잡으러 갈 수 있는 쪽이 이기며, 잡으러 갈 수 없는 쪽이 지는 것으로 바둑규칙에 정하고 있다.
-
파리대왕 파리大王, Lord of the Flies불시착하면서 시작된다. 고립무원의 장소에 갇힌 5세에서 12세 사이의 소년들은 나름대로 생존의 방법을 강구하지만, 성글게 부딪치는 이해와 욕망 때문에 패가 나뉘고 위기는 고조된다. 투표를 통해 랠프가 지도자로 선출되고 그는 나름의 규칙을 정해 질서를 유지하고자 애쓴다. 하지만 잭을 중심으로 한 소년들과의...
- 저작자 :
- 윌리엄 골딩
- 창작/발표시기 :
- 1954년
- 수상 :
- 노벨 문학상(1983년)
- 국가 :
- 영국
- 원제 :
- Lord of the F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