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칠정산외편 七政算外篇授時曆)』을 만들었으며, 당시 중국에는 계통이 다른 두가지의 역법이 시행되었던 셈이다. 따라서 회회력을 해설한 『칠정산외편』은 수시력을 해설한 『칠정산내편』과는 그 계통이나 방법에 큰 차이가 있다. 『칠정산외편』은 각 도의 단위는 그리스의 전통을 따라 오늘날처럼 원주를 360°로 하여 60진법(進法)이...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제가역상집 諸家曆象集내용 4권 4책. 활자본. 이 책은 세종이 서운관(書雲觀)의 제도와 기구를 정비하고 역법(曆法)을 정리하여 ≪칠정산내외편≫을 편찬하게 하고 나서, 다시 이순지에게 명하여 고금의 천문·역법·의상(儀象)·구루(晷漏)에 관한 개요를 편찬하도록 한 것이다. 제1권에 천문, 제2권에 역법, 제3권에 의상, 제4권에 구루를...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순지(李純之)
- 창작/발표시기 :
- 1445년
- 성격 :
- 천문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4책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12시 100각법 十二時 百刻法확인되는 시기는 조선 초이다. 세종(世宗) 대 역산(曆算) 연구 사업이 진행되어 『수시력(授時曆)』을 교정하고 완벽한 수준으로 습득하였다. 연구 성과는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으로 집대성되는 한편, 『수시력』에 따른 시제를 정리한 지침서인 『누주통의(漏籌通義)』가 편찬되어 12시 100각법에 근거한 시간...
- 시대 :
- 조선전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선시대의 한국과학사제작되고 밤마다 하늘을 관측했다. 이 시기의 천문기상학 연구는 간의를 비롯한 천문기구의 제작과 사용, 측우기와 수표 등, 그리고 1442년에 완성된 칠정산(七政算) 등으로 대표된다. 세종 때의 과학기술 발달상을 보여주는 다른 예로는 〈농사직설 農事直說〉·〈향약집성방 鄕藥集成方〉·〈의방유취 醫方類聚...
-
정초 열지(悅之), 鄭招합격하였다. 이조판서·대제학을 지냈다. 세종 초의 과학사업에 중요한 소임을 맡아 정인지(鄭麟趾)·정흠지(鄭欽之)와 함께 대통통궤(大統通軌)를 연구,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을 편찬하고, 간의대(簡儀臺)를 제작, 설치하는 일을 관장하였다. 그밖에도 왕명에 의하여 『농사직설(農事直說)』·『회례문무악장...
- 시대 :
- 조선 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1434년(세종 16)
- 경력 :
- 이조판서, 대제학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칠정산내편, 농사직설, 회례문무악장, 삼강행실도
- 성별 :
- 남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본관 :
- 하동(河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