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강 霜降
    지며, 말후(末候)에는 겨울잠을 자는 벌레들이 땅속으로 들어간다고 설명하고 있다. 상강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 칠정산외편 七政算外篇
    授時曆)』을 만들었으며, 당시 중국에는 계통이 다른 두가지의 역법이 시행되었던 셈이다. 따라서 회회력을 해설한 『칠정산외편』은 수시력을 해설한 『칠정산내편』과는 그 계통이나 방법에 큰 차이가 있다. 『칠정산외편』은 각 도의 단위는 그리스의 전통을 따라 오늘날처럼 원주를 360°로 하여 60진법(進法)이...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제가역상집 諸家曆象集
    내용 4권 4책. 활자본. 이 책은 세종이 서운관(書雲觀)의 제도와 기구를 정비하고 역법(曆法)을 정리하여 ≪칠정산내외편≫을 편찬하게 하고 나서, 다시 이순지에게 명하여 고금의 천문·역법·의상(儀象)·구루(晷漏)에 관한 개요를 편찬하도록 한 것이다. 제1권에 천문, 제2권에 역법, 제3권에 의상, 제4권에 구루를...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순지(李純之)
    창작/발표시기 :
    1445년
    성격 :
    천문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4책
    분야 :
    과학/과학기술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대설 大雪
    중후(中候)에는 호랑이가 새끼를 가지며, 말후(末候)에는 여주가 돋아난다고 기록했다. 대설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춘분 春分
    중후(中候)에는 우레 소리가 들리며, 말후(末候)에는 새해들어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 춘분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12시 100각법 十二時 百刻法
    확인되는 시기는 조선 초이다. 세종(世宗) 대 역산(曆算) 연구 사업이 진행되어 『수시력(授時曆)』을 교정하고 완벽한 수준으로 습득하였다. 연구 성과는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으로 집대성되는 한편, 『수시력』에 따른 시제를 정리한 지침서인 『누주통의(漏籌通義)』가 편찬되어 12시 100각법에 근거한 시간...
    시대 :
    조선전기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이은성 李殷晟
    따라 응용물리학과 창설에 동참하여 그곳의 교수로 전임했고, 한국 최초의 〈천문학개론〉(1962)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높이 평가받았다. 1972~73년 〈칠정산내편 七政算內篇〉·〈칠정산외편 七政算外篇〉을 번역하여 발표했고, 1977~78년 역작인 〈한국의 책력〉을 발간하여 동양역학의 권위자로서 위치를 굳혔다...
    출생 :
    1915, 충남 천원
    사망 :
    1986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천세력 千歲曆
    3권 3책. 목판본. 세종 때에 〈칠정산내외편 七政算內外篇〉을 편찬하면서 자주적인 역법체제를 확립했다. 그러나 이는 중국의 수시력과 대통력을 기초로 한 것으로 시간이 지나면 역과 천상(天象) 간의 오차가 커지므로 개력(改曆)해야 하며 일월식의 추산이 부정확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1664년(인조 22) 김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선시대의 한국과학사
    제작되고 밤마다 하늘을 관측했다. 이 시기의 천문기상학 연구는 간의를 비롯한 천문기구의 제작과 사용, 측우기와 수표 등, 그리고 1442년에 완성된 칠정산(七政算) 등으로 대표된다. 세종 때의 과학기술 발달상을 보여주는 다른 예로는 〈농사직설 農事直說〉·〈향약집성방 鄕藥集成方〉·〈의방유취 醫方類聚...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한로 寒露
    中候)에는 참새의 수가 줄어들며, 말후(末候)에는 국화가 노랗게 핀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로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정초 열지(悅之), 鄭招
    합격하였다. 이조판서·대제학을 지냈다. 세종 초의 과학사업에 중요한 소임을 맡아 정인지(鄭麟趾)·정흠지(鄭欽之)와 함께 대통통궤(大統通軌)를 연구,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을 편찬하고, 간의대(簡儀臺)를 제작, 설치하는 일을 관장하였다. 그밖에도 왕명에 의하여 『농사직설(農事直說)』·『회례문무악장...
    시대 :
    조선 전기
    출생 :
    미상
    사망 :
    1434년(세종 16)
    경력 :
    이조판서, 대제학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칠정산내편, 농사직설, 회례문무악장, 삼강행실도
    성별 :
    분야 :
    과학/과학기술
    본관 :
    하동(河東)
  • 곡우 穀雨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뽕나무를 좋아하는 여름 철새인 후투티가 뽕나무에 날아든다. 곡우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6건

칠정산내편
칠정산내편
칠정산내편
칠정산내편
칠정산내편
칠정산내편 / 세종
목성 / 칠정산내편
세종시대 최첨단 역법서 - 칠정산
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내편』, 142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칠정산내편 권상 / 기후에 관한 부분
칠정산내편 권상 / 기후에 관한 부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