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고등교육 高等敎育내용 제3단계 교육 또는 중등 후 교육(中等後敎育)이라고도 한다.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의 정의에 의하면 고등교육의 공통된 성격은 ① 중등교육을 수료하고 대개의 경우 어떤 형태의 선발시험을 거쳐 진학하는 18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② 종합대학·단과대학·전문교육을 실시하는 연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
조선교육심의회 교육심의회(敎育審議會), 朝鮮敎育審議會제1차 전체 회의에는 한국인 교육자 · 언론인 · 정치인 및 군정청 직원 1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 회의에서 교육이념, 교육제도, 교육행정, 초등교육, 중등교육, 직업교육, 사범교육, 고등교육, 교과서, 의학교육 등 10개의 분과위원회를 두기로 결정하였다. 각 분과위원회는 매주 1~3회 회의를 열고 학무국에서 마련...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학교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학교 學校別學)을 하는 학교가 있다. 또한 성장발달의 단계에 따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치원 · 보모학교가 있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초등교육의 학교, 중등교육의 학교, 고등교육의 학교가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사회교육기관도 있다. 둘째로, 학교의 설립과 운영의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 유형 :
- 제도
- 분야 :
- 교육
-
표준중등말본 중등 우리 말본개설 『표준중등말본』은 정인승이 국어 문법에 관하여 지은 첫 번째 문법서이다. 내용이 간명하게 서술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지적 사항 1책, 국판, 반양장, 108쪽. 1949년 9월 15일 서울 아문각에서 발행하였다. 표지 상단에는 “문교부 인정”, 속표지에는 “문교부 인정됨”이 인쇄되어 있다. 판(版)을 거듭하면서...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정인승
- 창작/발표시기 :
- 1949년
- 성격 :
- 교과서, 문법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아문각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회교육 社會敎育그 가운데 공민학교·고등공민학교·기술학교·고등기술학교 및 각종 학교의 업적이 컸다. 이들은 모두 성인이나 미취학 청소년들에게 초등교육 또는 중등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계학제의 학교로 발전하였다. 이 가운데 공민학교와 고등공민학교는 1950년대 중반까지 학생수가 계속 증가하여 각각 약 26만 명과 7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
중등말본法)』이라 하여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1947년에 다시 이를 바탕으로 고등 중학교용 교재로 쓰기 위한 『나라말본』을 탈고하고 1948년 5월에 발행하였다. 『중등말본』은 『나라말본』에서 내용을 가려 뽑아 1948년 1월에 탈고하고 7월에 발행한 것이다. 내용 『나라말본』에서 내용을 추려 뽑았고 체재도 『나라말본...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윤경(金允經)
- 창작/발표시기 :
- 1948년
- 성격 :
- 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동명사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