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세열 金世烈
    김충식(金忠植)이다. 형 김흥렬(金興烈)은 3・1운동 당시 수원 지역 천도교 최고지도자였다. 천도교인으로 1919년 4월 15일 발생한 수원군 제암리(堤巖里) 및 고주리 학살사건 당시 일본군에게 피살되었다. 만세 운동 소식은 한적한 시골에도 전해져서 3월 말부터 고향 인근 지역에서 시위가 잇달았다. 먼저 3월 31일...
    출생 :
    1875년 10월 3일, 경기도 수원(水原)
    사망 :
    1919년 4월 15일
    관련 사건 :
    3・1운동, 제암리사건
    주요활동 :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수원군에서 일제 군경에 의해 자행된 제암리사건으로 사망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김덕용 金德用
    시위가 전개되자 일본군 아리타(有田) 중위와 부대원 20여 명이 제암리로 출동하였다. 이들은 제암리 ・ 고주리를 발안장터 만세 시위의 주요 거점으로 파악하고...제암리 교회당에 출석하라며 모이게 하고, 형식적인 질문을 한 이후 본격적인 학살과 방화를 하였다. 이 과정에서 21명의 마을 남성은 물론 이들을 구하러...
    출생 :
    1900년 1월 6일, 경기도 수원(水原)
    사망 :
    1919년 4월 15일
    관련 사건 :
    3・1운동, 제암리 학살
    주요활동 :
    1919년 4월 5일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 발안장터 만세운동 참여, 4월 15일 제암리 학살로 순국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김주남 金周男
    계속 가혹한 고문을 당하다가, 가족들에게 인계되어 집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후 일제는 보복에 나서 4월 15일 제암리에서 학살을 자행하고 옆 마을인 고주리로 이동하였다. 학살 소식을 알고 있던 고주리 주민들은 대부분 산 속으로 피신하였다. 죄 없는 사람들을 마음대로 죽이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 김흥렬과...
    출생 :
    1895년 10월 20일, 경기도 수원(水原)
    사망 :
    1919년 4월 15일
    관련 사건 :
    경기도 수원(水原)
    주요활동 :
    1919년 3월 31일 경기도 수원군 팔탄면 발안장터 만세시위 참가, 제암리학살사건에서 피살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김흥복 金興福
    수비대가 향남면 제암리 소재 제암리교회에서 주민 약 20명을 학살하였다. 이어 수비대는 옆 마을인 고주리로 이동하였다. 당시 고주리 주민들은 제암리에서 있었던 집단학살 소식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수비대가 오기 전에 산속으로 숨었다. 그러나 김흥렬이 죄 없는 사람들을 함부로 죽이지 못할 것이라며 그대로 집에...
    출생 :
    미상, 경기도 수원(水原)
    사망 :
    1919년 4월 15일
    관련 사건 :
    향남면 만세시위
    주요활동 :
    1919년 3월 31일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 발안장터 만세시위 참여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김주업 金周業
    김성열은 마을 청년을 규합한 항일조직인 구국동지회를 조직한 인물이다. 1919년 3월 31일 향남면 발안장터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 4월 15일 일본군이 제암리에서 학살을 자행한 이후 옆 마을인 고주리로 이동하여 만행을 저질러 그를 포함한 일가족 6명이 희생되었다. 3월 31일 오전 고주리 만세시위를 주도한...
    출생 :
    미상, 경기도 수원(水原)
    사망 :
    1919년 4월 15일
    관련 사건 :
    수원군 팔탄면 만세운동, 제암리학살사건
    주요활동 :
    1919년 3월 31일 경기도 수원군 팔탄면 발안장터 만세 시위 참가, 1919년 4월 15일 제암리학살사건에서 피살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3·1 운동 March First Movement, 三・一運動
    제암리제암리교회에 성인 남자들을 모아놓고 불을 질러 수십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일시: 1919년 3월 6일 장소: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 경과: 곽산 그리스도교회를 중심으로 봉기하여 점차 수천명이 시위에 동참하자, 일제는 독립운동가 박지협(朴志協)을 주동 혐의로 체포 직후 타살(打殺)하고, 체포한 시위군중...
    도서 위키백과
  • 김흥렬 金興烈
    남양주에 나가 있어서 붙잡힘을 면할 수 있었다. 4월 15일 오후 2시, 일본군 중위 아리타 도시오(有田俊夫)가 인솔한 부대가 제암리에 도착하여, 제암리 교회에서 주민들을 집단 학살하였다. 이 부대는 곧바로 10분 거리의 고주리로 이동하였다. 소식을 들은 고주리 주민 대부분은 산 속으로 피신하였다. 그러나 당시...
    출생 :
    미상, 경기도 수원(水原)
    사망 :
    1919년 4월 15일
    관련 사건 :
    팔탄면 만세시위
    주요활동 :
    1919년 3월 31일 수원군 팔탄면 발안장터 만세시위에 참여함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김정헌 金正憲
    오후 아리타가 인솔하는 일본군과 일본인 순사 1명, 한국인 순사보 1명이 제암리로 왔다. 이들은 마을의 15세 이상의 모든 천도교도 ・ 기독교도 성인 남성들을...만행을 저질렀다. 이날 교회에 갇혀 있다가 다른 마을 주민 22명과 함께 학살당하였다. 당시 경기도경찰부 자료에 따르면, 4월 2일부터 15일 사이 향남면과...
    출생 :
    1876년 2월 7일, 경기도 수원(水原)
    사망 :
    1919년 4월 15일
    관련 사건 :
    제암리 학살 사건
    주요활동 :
    1919년 4월 5일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 발안장터 만세시위 주도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김성열 金聖烈
    진압하였다. 아리타는 한국인 순사보 조희창(趙熙彰)으로부터 제암리의 기독교도 및 천도교도들이 만세 시위와 관련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제암리(提岩里)로 들어가서 집단 학살을 자행하였고, 곧바로 10분 거리의 고주리로 이동하였다. 수비대가 온다는 소식을 들은 고주리 주민 대부분은 산속으로 피신하였다. 그러나...
    출생 :
    1871년 11월 3일, 경기도 수원(水原)
    사망 :
    1919년 4월 15일
    관련 사건 :
    3・1운동, 제암리사건
    주요활동 :
    1919년 3월 31일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 발안장터 만세운동 주도, 4월 15일 제암리사건 때 피살 순국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강태성 姜泰成, 姜太成
    토시오有田俊夫 중위가 인솔한 10여 명의 군경이 제암리에 도착하였다. 이들은 주민들에게 전달할 사항이 있다고 속이고 주민 약 20여 명을 제암리교회로...시켜 불을 놓아 교회를 태워버렸다. 이러한 만행으로 23명이 교회 안에서 학살, 희생되었다. 이때 부인과 함께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유해는 군경의 방해로 가족...
    출생 :
    미상, 경기도 수원(水原)
    사망 :
    1919년 4월 15일
    관련 사건 :
    제암리 학살
    주요활동 :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에 의해 희생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제암리학살사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