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화성 제암리 삼일운동 순국 유적(華城 堤岩里 三一運動 殉國 遺蹟)은 1919년 4월 15일 일본군이 화성 제암리 지역민을 교회에 모이게 한 후 학살한 사건이 발생한 장소이다. 1982년 사건 발생 주변을 발굴 조사하여 수습된 희생자들의 유해는 교회 뒤편 합동 묘지에 안장되었다. 1982년 12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근대사
-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1919년의 3·1 운동은 개신교가 한국민족주의 운동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계기가 됐다. 개신교는 천도교-불교와 함께 3·1 운동에서 지도적 역할을 담당했으며,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크고 작은 독립만세시위 중 상당 부분이 개신교신자들에 의해 주도됐다. 그만큼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에 의한 피해도...
- 위치 :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암길 50
- 문화재 지정 :
-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사적 제299호(1982.12.21 지정)
-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문화재 정보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華城 堤岩里 3·1運動 殉國 遺蹟)은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에 있는, 3·1운동때 일제가 독립운동을 가장 잔인한 방법으로 탄압한 학살현장이다. 1982년 12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99호로 지정되었다. 3·1운동때 일제가 독립운동을 가장 잔인한 방법으로...도서 위키백과
-
화성시의 유물·유적·관광남양동의 화성봉림사목아미타불좌상(華城鳳林寺木阿彌陀佛坐像, 보물 제980호) 등이 대표적이다. 용주사범종은 고려시대 때 제작된 종으로 우리나라 종의 양식을 충실히 갖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밖에 사찰로는 만의사(萬儀寺)·봉래사·봉림사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남양동 남양리의 남양향교(南陽鄕校...
-
안종락 安鍾樂이끌어 갔던 주동자들이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현재 사적(史蹟)으로 지정된 화성 제암리 3 · 1운동 순국 유적(華城 堤巖里 3 · 1運動 殉國 遺蹟)에 있는 삼일운동순국기념탑(三一運動殉國纪念塔)에는 안종환을 비롯한 천도교인과 기독교인을 포함하여 23명이 명기...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화성시 華城市2001년 3월 21일에는 화성군이 시로 승격되었으며, 남양면이 시에 속하게 되면서 면이 폐지되었다. 2003년 6월에 우정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2006년 1월 1일...행정동으로 분리되고 태안읍은 없어졌다. 2007년 1월 29일 향남면이 향남읍으로 승격되었다. 유물 · 유적 팔탄면 율암리, 양감면 용소리, 동탄면 중리...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대한민국의 사적 (1980년대)지정, 2011년 7월 28일 명칭변경 298호 남원읍성(南原邑城)(Namwoneupseong Walled Town) 전북 남원시 동충동 464-1 남원시 1982년 11월 3일 지정 299호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華城 堤岩里 3·1運動 殉國 遺蹟)(Historic Site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Jeam-ri, Hwaseong) 경기 화성시 향남읍...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