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천3·1운동 모락장유혈투쟁, 사천삼일운동
    1919년 3·1운동 때 평안남도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개설 일명 모락장유혈투쟁〔沙川場市流血鬪爭〕이라고도 한다. 독립 만세 운동이 강서군 반석면에서 전개되었지만, 발단은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경과와 결과 2개 군 사이에 위치한 모락장은 장날에는 서로 내왕이 ...
    시대 :
    근대
    발생 :
    1919년 3월 4일
    성격 :
    독립운동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반석교회, 모락장교회
    관련 장소 :
    평안남도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
  • 사천 3·1운동 모락장유혈투쟁, 沙川三..
    1919년 3·1운동 당시 평안남도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시위운동. 선두에 선 사람들은 상사리와 원장리 두 마을의 기독교 지도자들이었다. 이들은 시위운동을 준비하다가 일부가 검거되었음에도 계획대로 시위를 진행했는데, 진행 도중 동료를 구하려 모락장교회으로 행진하다가 일본 경찰에 의해 50...
  • 사천3·1운동 사천삼일운동, 泗川三一運動
    1919년 3·1운동 때 경상남도 사천시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내용 1919년 3월 18일의 진주의거에 참여하였던 황순주(黃順柱)·박기현(朴基玄)·김종철(金鍾喆) 등 3명은 강달영(姜達永)으로부터 독립선언서를 얻어와서, 3월 21일의 사천공립보통학교졸업식이 끝나는 시간에 의거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이윤조(...
    시대 :
    근대
    발생 :
    1919년 3월
    성격 :
    독립운동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황순주, 박기현, 김종철, 유승갑, 손계묵, 박종실, 김우열, 송찬홍, 이주효
    관련 장소 :
    경상남도 사천시
  • 3·1 운동 March First Movement,..
    손상케 하는 일이 없도록 상호 자제케 함'을 목적으로 한다면서, '소요(3·1 운동)를 진압하고 불령한 무리를 배제'하는 것임을 천명하였다. 이후 경북도 참여관...자제단 지부가 조직되었다. 5월에는 경상남도에도 부산, 밀양, 창원, 사천, 통영 등지에 자제단이 구성되었으며, 6월에는 청주, 충주, 천안, 아산, 제천...
    도서 위키백과
  • 3·1운동 三一運動
    같은 일제의 무력 탄압은 나날이 더욱 극렬해져 강서군 사천 · 맹산 · 곽산, 황해도 수안, 전라북도 이리 · 남원, 경상남도 함안 등지에서도 많은 희생자를...심한 지역으로는 정주와 천안, 수원 제암리 등을 들 수 있다. 정주에서는 3월 31일 기독교도와 천도교도의 연합 주체로 약 4,000명의 군중이 만세시위운동을...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31운동
    하고 경찰서장이나 분견소장 및 분대장의 즉결 처분으로 30~90도(度)의 태형을 당했다. 무력 진압 다음으로 태형은 직접적이고 즉각적 탄압 효과로 31독립운동을 약화시키는 주요 수단이었다. 검찰의 기소로 재판에 회부된 사람들은 사법적 탄압을 받았다. 이러한 일제의 탄압 행태로 인해, 3월 4일 평남 원장-사천...
  • 사천초등학교 泗川初等學校, Sachon Elementary School
    고등과 1학급을 포함하여 24학급으로 운영하였다. 광복 후 교명을 사천국민학교로 개칭하였고, 1950년 6·25사변으로 교사가 소실되어 1952년 3월 8개 교실의...1964년 각각 13개 교실과 15개 교실을 증축하였다. 1996년 3월에 사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현황 2008년 3월 현재 28학급에 학생 1,038, 교원은...
    시대 :
    현대
    위치 :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읍내로 59(선인리 577)
    설립 :
    1905년 7월
    성격 :
    초등학교, 공립초등학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오재규, 이병철
    분야 :
    교육/교육
  • 강서3·1운동 강서삼일운동, 江西三一運動
    4일에도 기독교인 등 5백여 명의 군중이 모여 독립선포식을 거행하고 만세시위운동을 벌였다. 이 때 일본 헌병대가 이를 해산시키려고 하자, 군중이 헌병주재소...헌병보조원 3명을 죽이고 헌병보조원의 집을 불태웠다. 반석면의 사천장터에서는 3월 4일 일본 헌병의 총격에 맞선 투석전이 벌어져, 13명이 죽고 40여 명...
    시대 :
    근대
    발생 :
    1919년 3월 3일
    성격 :
    독립운동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최승택, 박상현, 박의현, 이진식, 김병주, 홍석찬, 황재호 등
    관련 장소 :
    평안남도 강서군
  • 부산 일신여학교의 3・1운동을 도운 호주 여선교사들, 마가렛 센더먼 데이비스 ・ 이사벨라 멘지스 ・ 데이지 호킹 代瑪嘉禮 ・ 閔之使 ・ 許大是, Margaret Sandeman Davies ・ Isabella Menzies ・ D..
    하동 ・ 합천 ・ 진주, 19일에는 함안, 20일에는 거창 ・ 산청, 21일에는 사천, 24일에는 창원, 27일에는 양산, 28일에는 함양, 30일에는 고성, 31일에는 김해...전개되었다. 일신여학교의 31운동은 교사와 학생들이 주도한 대표적인 31운동에 해당했다. 사실 이 운동을 주동했던 교사 박시연 등도 여학교를 갓...
    출생 :
    마가렛 센더먼 데이비스 1887년이사벨라 멘지스 1856년데이지 호킹 1888년
    사망 :
    마가렛 센더먼 데이비스 1963년이사벨라 멘지스 1935년데이지 호킹 1971년
    포상훈격 :
    마가렛 센더먼 데이비스 2022년 건국훈장 애족장이사벨라 멘지스 2022년 건국포장데이지 호킹 2022년 건국포장
  • 사천 목씨 泗川睦氏
    시위운동을 일으키기로 작정하였다. 이곳은 서울과 교통이 비교적 빈번하였기 때문에 서울과 연락·정보가 빨랐던 이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하여 이들은 서울...인쇄하는 한편, 태극기를 제작하면서 거사준비를 추진하였다. 거사 당일인 3월 11일, 목준상 등은 평택 장날 평택역 앞에서 독립만세를 부르며 군중들을...
    도서 위키백과
  • 윤봉길 우의, 尹奉吉
    개국 사천이백육십일년 이월 십오일 오시”라는 단기를 적어 강력한 민족의식을 명시하였다. 이 시기 그는 격조 높은 한시를 지어 읊었는데, 『대나무를 노래함(詠竹)』이라는 칠언절구에서는 자신의 의지와 기개를 대나무에 빗댔다. 대나무를 노래함(詠竹) 그대는 꼿꼿이 서 있어 굽힐 줄을 모르는데 此君挺立不許回...
    출생 :
    1908년 6월 21일, 충남 예산(禮山)
    사망 :
    1932년 12월 19일
    본관 :
    파평(坡平)
    주요활동 :
    고향에서 농민운동, 부흥원 설립, 월진회 조직,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망명, 임시정부의 김구가 지휘하는 한인애국단 가입,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일제의 상해 점령군 총사령관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등 군정 수뇌 7명에게 폭탄을 던져 섬멸한 의열 특공작전에 성공하여 임시정부 독립운동에 최대의 전과 쟁취 순국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월진회, 한인애국단
  • 이규승 이규승(李奎承), 李奎昇
    국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만세운동이 전개되었고, 인근의 사천(沙川) 지역에서도 장로교 계통의 반석교회, 원장교회, 사천교회, 산수리교회 등에서 만세운동을 준비하기 위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31일, 우연히 평양에 들렀던 반석교회 장로 조진탁(曺振鐸)은 평양의 만세운동을 목격하고 돌아와 반석교회의 최능현...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