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타력 他力
    隨信行)과 수법행(隨法行)이 있다. 수신행은 믿음을 따르는 수행이며, 수법행은 스스로 지혜를 갖추는 수행이다. 대승불교 중 수신행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 정토사상과 법화사상이라고 할 수 있고, 수법행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 반야사상, 화엄사상, 선불교이다. 대승불교는 붓다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는 점에서...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염불 念佛
    잡행염불(雜行念佛)로 나누어진다. 관상염불(觀像念佛)은, 일심으로 한 부처의 불상을 관하고 생각하는 방법으로, 이 염불을 닦는 이는 죽은 뒤에 그 부처의 정토에 왕생한다고 한다. 실상염불은 자신과 아울러 일체 법의 진실한 자성(自性)인 법신(法身)을 관하는 것이다. 관상염불은 단정히 앉아 한결같은 마음으로 한...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미타신앙 彌陀信仰
    내용 정토신앙(淨土信仰) 또는 아미타불신앙이라고도 하며,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이 세계의 서쪽에 위치하는 청정불국토(淸淨佛國土)의 극락에 태어나기를 원하는 신앙이라고 한다. 10겁(劫) 이전에 국왕의 자리를 버리고 출가한 법장비구(法藏比丘)가 가장 완전무결한 이상세계를 이룩하고자 48원(願)을 세우고 가지가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안양 安養
    본 뜻 불교에는 극락세계를 가리키는 말에 여러 가지가 있다. 안락(安樂), 안양(安養), 서방(西方), 정토(淨土), 서찰(西刹), 서방정토,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등이 바로 그것이다. 안양은 안양계(安養界), 안양보국(安養寶國), 안양세계(安養世界), 안양정토(安養淨土) 등으로도 쓰인다. 바뀐 뜻 불교에서는 여전히...
    유형 :
    한자어
  • 원왕생가 願往生歌
    광덕은 짚신을 삼아서 살았는데 아내는 분황사 종이었고 광덕의 친구 엄장은 농사를 짓고 살았다. 광덕이 죽어 서방정토로 가자, 엄장은 광덕의 아내를 차지하려 했다. 그러자 광덕의 아내는 광덕이 평소 정좌하고 불도를 닦으며 한번도 동침하지 않았다 하며 엄장을 꾸짖었다. 엄장은 크게 뉘우치고 원효에게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무량수경 無量壽經
    개설 한국불교 정토신앙(淨土信仰)의 근본 경전이다. 『대무량수경(大無量壽經)』 또는 『대경(大經)』이라고도 한다. 이 경과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 『아미타경』을 합하여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이라고 하며, 이들은 불교신앙사적 측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었던 경전이다. 편찬/발간...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선도 善導, Shantao
    經〉을 읽고서 염불에 온 마음을 쏟았다. 641년에 서하 현중사에 가서 도작을 만나보고 그를 스승으로 모시게 되었으며, 도작의 〈관무량수경〉 강의를 듣고 정토에 대한 믿음이 더욱 독실해졌다. 뒤에 장안의 광명사에 들어가 '정토법문'을 전파하고 염불에 전심할 것을 가르쳤으며, 사람들을 이끌었다. 나중에는...
    출생 :
    613
    사망 :
    681
    국적 :
    중국, 당(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저승
    있다. 극락은 안양(安養)·안락(安樂)·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 등으로도 불린다. 그것은 이 사바세계에서 서쪽으로 십만억불토(佛土)를 지나서 있다는 정토(淨土)이다. 모든 일이 원만구족(圓滿具足)하여 즐거움만 있고 괴로움이 없는 자유롭고 안락한 이상향으로 믿어진다. ≪무량수경 無量壽經≫과 ≪아미타경 阿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아미타경소 阿彌陀經疏
    1권. 〈아미타경〉은 〈무량수경 無量壽經〉·〈관무량수경 觀無量壽經〉 등과 함께 정토삼부경이라 일컬어지는 경전으로 미타정토사상의 소의경전이다. 원효는 정토사상에 대해 많은 저술을 했으나 이 책과 〈무량수경종요 無量壽經宗要〉·〈유심안락도 遊心安樂道〉만이 현존하고 있다. 이 책은 전체를 대의·종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자수용토 자수용신토(自受用身土), 自受用土
    앞의 법성토나 자수용토와는 달리 크기나 우열의 차이가 있다. 변화토는 부처님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변화하여 나타난 세계를 가리킨다. 변화토는 정토(淨土)와 예토 모두에 통하지만, 앞서의 3가지 토는 정토이다. 의의와 평가 유식학파의 4토설은 반야경 계통의 불신관(佛身觀)을 정교하게 구분한 3신설에 정토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관경소기 관무량수경소기(觀無量壽經疏記), 觀經疏記
    義通)과 지반(志磐)이 편찬한 『불조통기(佛祖統紀)』 권8 「16조사보운의통(十六祖寶雲義通)」에도 의통의 대표 저술로 기록되어 있다. 내용 『관경소기』는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의 하나인 『관무량수불경』에 대한 주석서이다. 후대 정토신앙의 근본 경전으로 중시된 이 경전은 정토에 가기 위한 방법으로 극락정토...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왕생 往生
    개설 정토세계에 태어나는 것에는 왕생(往生) 및 상생(上生)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서방 극락정토 및 동방 유리정토에 태어나는 것을 왕생이라 하고, 도솔천에 태어나는 것을 상생이라고 한다. 그러나 보다 보편적인 의미로 말하자면 왕생과 상생은 모두 왕생이라는 말속에 포함되기도 한다. 내용 왕생이라는 말은 기본...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국조정토록
정토의범
정토의범
정토의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