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개리 천연기념물 제325-1호, Swan Goose유역, 대만, 일본에서 월동한다. 일부 제한된 지역에서 흔한 나그네새이며 드문 겨울철새다. 10월 초순에 도래하며 4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이동시기에 한강-임진강 하구에서 1,000여 개체가 관찰된다. 주요 월동지는 한강-임진강 하구와 금강 하구이며, 그 외 천수만, 주남저수지, 낙동강 하구에서 소수가 월동한다...
- 분류 :
- 오리과(Anatidae)
- 문화재 지정 :
- 천연기념물 325-1호
- 서식지 :
-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몽골, 중국 헤이룽장성 자룽습지보호구, 사할린 북부 등 매우 제한된 지역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양쯔강 유역, 대만, 일본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81~94cm
- 학명 :
- Anser cygnoides Swan Goose
-
이천군 伊川郡있다. 이 밖에도 중앙에 석봉(石峯, 809m), 남쪽에 문박산(文泊山, 797m)이 있다. 동부 · 서부 · 북부의 산지 사이를 고미탄천(古味呑川)과 그 지류인 임진강(臨津江)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며, 연안일대를 침식해 깊은 계곡과 깎은 듯한 절벽을 이루기도 하고, 평지나 분지를 형성시켜 주요 경작지와 거주지로...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연천 호로고루 자미성자연이 제공한 천혜의 요새, 호로고루 호로고루(사적 제 467호)는 북동쪽에서 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임진강에 접한 현무암 천연절벽 위에 있는 강안평지성(강가 언덕 위의 평지에 세워진 성)이다. 호로고루는 남한지역에 얼마 되지 않는 고구려 유적으로서 발견 당시부터 주목을 받았다. 이 성은 고구려가 남진을 하기...
- 시대 :
- 고구려
- 소재지 :
-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1257-1 일대
- 종류 :
- 석성
-
장단군 長湍郡山, 760m) 등이 솟아 비교적 높지만, 남부는 구릉성 산지를 이루어 평탄하다. 북동부의 사미천(沙尾川)이 장남면에서, 남부의 사천(砂川)이 장단면에서 각각 임진강으로 유입, 그 유역에는 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임진강은 곡류하며 흐르는데, 장단면의 하안(河岸)은 가파른 절벽을 이루어, 좁은 하안 평야가 발달되어...
- 성격 :
- 행정구역, 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724㎢
- 소재지 :
- 경기도 서북부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유극량 중무(仲武), 劉克良신할(申硈)의 밑에 들어가 그 부장이 되었다. 대장 신할과, 마침 1,000명의 군졸을 이끌고 그 곳에 달려온 도순찰사 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임진강을 방어하였다. 이때 임진강 남안에 이른 적병이 감히 강을 건너지 못하자, 대장 신할이 강을 건너 적을 공격하자고 하였다. 그러자 “적이 우리 군사를 유인하고...
- 시대 :
- 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1592년(선조 25)
- 경력 :
- 전라좌수사, 조방장(助防將), 병조참판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임진왜란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
파주 덕진산성 덕진산성, 坡州 德津山城장방형 성돌을 바른층쌓기로 보다 견고하게 축조하였다. 9세기 이후에 기존 성벽에 보축 성벽을 덧붙여 보강하였다. 이러한 수개축 과정을 통해 신라가 북쪽 임진강 일대 방어에서 덕진산성을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사용 여부는 확인되지 않는다. 조선시대에 다시 이용하였는데, 광해군 대에는 내성벽을 보수...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추가령 구조곡 楸哥嶺 構造谷이른바 철원 · 평강 용암대지를 형성하였으며, 이 용암은 열곡을 따라 북쪽으로는 남대천을 따라 북한의 강원도 고산군 북부일대까지, 남쪽으로는 한탄강과 임진강을 따라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일대까지 흘러내렸다. 이 용암 분출로 인하여 이 구조곡을 따라 북동쪽으로 흐르는 안변 남대천과 임진강의 지류 평안천...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양주 대모산성 楊州 大母山城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성벽의 기본 축조 기법과 출토된 유물로 볼 때, 양주 대모산성은 6세기 중반 이후 한강 유역을 점령한 신라가 임진강 남안까지 그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변천 양주 대모산성의 성벽과 성 내부의 집수지에서 산성을 수축(修築)하고 개축(改築)한...
- 시대 :
- 고대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파주 오두산성 오도성(烏島城), 坡州 烏頭山城위치 파주 오두산성은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서해에서 한강 혹은 임진강을 따라 내륙으로 들어가는 관문에 해당하여 일찍부터 군사 · 지리적 요충지로 인식되어 왔다. 오두산 정상의 조망권은 아주 좋다. 북쪽으로 임진강 건너 개풍군 장단면 일대가 눈앞에 펼쳐져 있고, 서쪽 한강 너머로 김포...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