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랑포 장단도(長湍渡), 高浪浦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에 있었던 나루터.|개설 면의 서쪽 임진강 북안에 있다. 고려 시대에는 장단도(長湍渡)라 불리었고, 두기진(頭耆津) · 고랑진(高浪津)이라고도 불렸다. 예로부터 임진강을 통하여 농산물을 운반하는 나루터의 기능을 하였다. 이 지역 북쪽에는 바로 휴전선이 있어 휴전선 지대로 간주되...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장남면 (관련어 고랑포)
    대한민국 읍면동 정보 장남면(長南面)은 경기도 연천군 서남부에 위치한 면(面)이다. 본래 장단도호부 장현내면(長縣內面) 지역으로 판부리(板浮里), 자작리(自作里), 고읍리(古邑里) 3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고남면(古南面)의 원당리(元堂里)와 장서면(長西面)의 관송리(貫松里), 반...
    도서 위키백과
  • 고랑포이야기
    고랑포이야기는 고랑포구의 역사 및 안보 체험을 할 수 있는 연천 고랑포구 역사공원과 연천을 대표하는 고구려 3대 성 중 하나인 연천 호로고루의 중간에 있는 카페이다. 카페 입구에 들어서면 카운터를 지나 넓은 정원이 펼쳐진다. 작은 분수와 텃밭을 중심으로 강변을 따라 설치한 야외 테라스 등이 조성된 아름다운...
    위치 :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장남로 205
  • 고랑포 전투 Battle of Gorangpo, 高浪浦戰役
    전쟁 정보전역상자 제1차 서울 전투 고랑포 전투(高浪浦戰鬪)는 한국 전쟁 초기 고랑포-청단 간의 사부 38도 분계선 지역에서 경비 임무를 수행하던 사단장 대령 백선엽이 이끄는 제1사단이 1950년 6월 25일 미명에 사단장 소장 최광이 이끄는 북한군 제1사단과 사단장 소장 방호산이 이끄는 제6사단으로부터 개성과...
    도서 위키백과
  • 백학초등학교 고랑포분교
    백학초등학교 고랑포분교는 대한민국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678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다. 1919. 4. 1. 고랑포공립보통학교로 개교 1938. 4. 1. 고랑포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1941. 4. 1. 고랑포공립국민학교로 개칭 1950. 6. 25. 6.25전쟁으로 휴교 1963. 6. 1. 노곡국민학교 원당분교로 개교 1965. 10. 27...
    도서 위키백과
  • Battle of Gorangpo 고랑포 전투
    The Battle of Gorangpo was one of a series of coordinated attacks beginning on 25 June 1950 that marked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Order of battl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st Infantry Division - Brigadier General Choe Gwang 1st Infantry Regiment - Colonel Hwang Seok 2nd...
  • 장단군 長湍郡
    그 뒤에도 강기동(姜基東)·서상렬(徐相烈)·연기우(延起雨)·김진묵(金溱默)·하상태(河相泰)·이능곤(李能坤)·유진부(柳振敷) 등의 의병장들이 장단·고랑포를 중심으로 계속 기의(起義)함으로써 구국 투쟁의 선봉 역할을 하였다. 3·1운동 때에는 진남면에서 500명, 장단면에서 700명이 참가한 만세운동이 3월 26일...
    성격 :
    행정구역, 군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724㎢
    소재지 :
    경기도 서북부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임진강 이진매, 臨津江
    있다. 강원도 북부를 흐르면서 고미탄천(古味呑川)과 평안천(平安川)을 합류하고, 경기도 연천군에서 철원 · 평강 등을 흘러온 한탄강(漢灘江)과 합류한다. 고랑포를 지나 문산 일대의 저평지를 흐르는 문산천과 합치고 하구에서 한강과 합류하여 황해로 흘러든다. 국토가 분단되기 이전까지는 고랑포까지 배가 다녔고...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땅굴
    이에 따라 북한에서는 각 군단별로 땅굴작전이 수행되었으며, 현재까지 약 20여 개의 땅굴이 굴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북한의 땅굴은 1974년 11월 15일 고랑포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후 1975년 3월 19일 철원에서, 1978년 10월 17일 판문점부근에서 차례로 발견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북한의 땅굴은 서부와 중서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장남면 長南面
    었으며, 민통선 지역에서는 인삼이 재배되고 있다. 유적으로 신라시대 경순왕릉(사적 제244호)이 고랑포리에 있으며, 예로부터 고호8경이라 하여 임진강과 고랑포 일대의 자연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했다. 행정구역은 원당리·자작리·판부리·반정리·고랑포리 등 5개리가 있다(법정리 기준, 행정리 기준 4개리...
    인구 :
    729 (2019)
    면적 :
    56.17㎢
    행정구역 :
    4개리 12개반 (법정리 5개리)
    소재지 :
    경기도 연천군
    사이트 :
    https://www.yeoncheon.go.kr/index.yeoncheon?contentsSid=1160&cpath=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임진강 臨津江
    ㎜로서 홍수의 피해가 잦다. 이 강에는 어름치·열목이·붕어·잉어·메기·뱅어·숭어 등의 물고기가 서식하고 있다. 국토 분단 전에는 농산물의 집산지였던 고랑포(지금의 경기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 일대)까지 강을 따라 배가 다녔으며, 유량이 많을 때는 소형선박이 안협(지금의 강원[북한] 철원군 중북부 일대...
    위치 :
    강원도 법동군, 황해북도 판문군, 경기도 파주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 감악산 紺岳山
    산 서쪽 자락에는 범륜사와 운계폭포가 자리잡고 있고, 임꺽정이 관군의 추격을 피해 숨어 있었다는 임꺽정굴과 임꺽정봉이 있다. 한국전쟁 때 치열한 격전지(고랑포 전투)였으며, 설마계곡 입구에 영국군 참전기념비가 있다. 등산코스로는, 제1코스 범륜사 입구→만남의 숲→임꺽정봉→감악산 정상(3.9㎞), 제2코스...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고랑포
고랑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