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북한] 2000년 > 남북관계ㆍ통일 > 국민의 정부 대북정책 > 임진강 수해 공동방지 제의 남한 당국은 99년 8월 11일 임진강 수계의 남북 공동 수해방지사업 추진을 위한 남북당국간 실무접촉을 북측에 제의했다. 정원식(鄭元植) 대한적십자사 총재는 북한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장재언 위원장 앞으로 대북서한을 보내 “지난 7월말부터 8월초에 걸쳐 한반도에는 집중폭우와 해풍 등으로 인해 막대한 재산과 인명...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1년 > 경제 > 대내경제 주요동향 > 임진강 1ㆍ2호 댐 준공 북한은 2001년 3월 15일 임진강 중ㆍ하류 지점인 개성시 장풍군과 황북 토산군에 발전용 2개의 댐을 준공했다. 이들 임진강 1ㆍ2호 댐은 지난 1999년 4월 착공, 조선인민군 제567군부대 장병들이 약 2년만에 공사를 완료됐다. 임진강 댐 준공과 관련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양형섭 부위원장, 한성룡 당중앙위...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3년 > 남북회담ㆍ합의문ㆍ법률 자료 > 남북 임진강수해방지사업 실무협의회 > 제2차회의 공동보도문 (2002.11.2) 남과 북은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2차회의 합의에 따라 2002년 10월30일부터 11월 2일까지 평양에서 임진강 수해방지 실무협의회 제2차회의를 진행하였다. 쌍방은 임진강지역의 수해를 방지하는 것이 갖는 의의와 중요성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임진강유역과 한강하류에 대한 현지조사, 기상수문자료...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0년 > 남북관계ㆍ통일 > 북한의 대남정책 > 대북제의 반응 > 임진강 수해 공동방지 제의 반응 남한 당국의 임진강 수해 공동방지 제의(99.8.11)에 대해 북한의 조선중앙방송과 평양방송은 99년 8월 17일 “임진강 수계에서 일어난 수해는 남북공동수해대책의 부재로 일어난 것이 아니다”면서 공동 수방대책 마련에 거부감을 나타냈다. 북한방송은 “남조선 당국이 수해와 관련하여 임진강 치수대책을 위한 기획단...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6년 > 남북교류ㆍ협력 > 경제분야 회담 > 제1차 임진강 수해방지실무접촉 남북은 2006년 6월 열린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12차 회의에서의 합의에 따라 제1차 임진강수해방지 실무접촉을 6월 26~27일 출퇴근 방식으로 개성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에서 개최했다. 남북은 전체회의 1회, 수석대표접촉 4회, 전문가접촉 1회, 대표접촉 2회 등 총 8차례의 접촉을 가졌다. 남측은 미진한 단독조사...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09년 > 자료편 > 주요 자료 > 한국의 주요 강 > 임진강 배가 다녔고, 작은 배는 안협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었다. 예로부터 신라, 백제, 고구려의 국경으로 분쟁이 잦았던 지역인데, 기록에 따르면 삼국시대는 임진강을 칠중하(七重河)라 하였고, 경기도 연천군에 고구려 칠중현의 치소인 파주 칠중성(城)이 있었다. 유역 안에는 봉래호, 죽대저수지, 신당저수지, 감둔저...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5년 > 정치 > 국방 > 주요 사건사고 > 북한군 임진강 침투사건 한편 군기사고와는 차원이 다르나 10월에 북한군이 임진강을 통해 침투하려다 우리 병사에 의해 사살당한 것은 95년의 군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일대 사건이었다. 당시 침투하려던 북한군 1명을 사살한 1사단 소속 정인제(鄭仁諸) 상병(21)과 이종훈(李鍾勳) 이병(20)은 철야근무 도중 적의 침투 기미를 포착, 적이...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5년 > 남북한 분야별 회담ㆍ합의문ㆍ법률규정 > 임진강수해방지 > 임진강 수해방지와 관련한 합의서 남과 북은 6.15 공동선언의 기본정신에 따라 민족공동의 이익을 도모하는 견지에서 임진강 수해방지와 관련한 당면 대책을 문서교환으로 협의한 데 따라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1. 남과 북은 임진강 유역의 수해방지를 위한 쌍방지역의 현지조사를 2004년 4월부터 진행한다. ① 현지조사는 단독조사와 공동조사로...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남북한 분야별 회담ㆍ합의문ㆍ법률규정 > 임진강수해방지 > 임진강수해방지 실무협의회 제3차 회의 공동보도문 남과 북은 2004년 4월 8일부터 10일까지 개성에서 임진강 수해방지실무협의회 제3차 회의를 진행하였다. 회의에서 쌍방은 6.15 공동선언의 기본정신에 맞게 민족의 화해와 단합, 민족공동의 번영을 이룩해 나가기 위하여 임진강 수해방지를 위한 현지조사와 관련한 실무적 문제들을 협의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1...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3년 > 남북회담ㆍ합의문ㆍ법률 자료 > 남북 임진강수해방지사업 실무협의회 > 제1차 회의 공동보도문 (2001.2.24) 제 1차 남북 임진강 수해방지 실무협의회가 2001년 2월 21일부터 24일까지 평양에서 진행되였다. 회의에서 쌍방은 임진강 수해방지문제가 6.15남북공동선언의 정신에 맞게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나라의 국토환경을 개선하는데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는데 대하여 견해를 같이하고 공동조사를 비롯하여...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4년 > 남북교류ㆍ협력 > 남북회담 > 경제분야 회담 > 남북 임진강 수해방지 실무협의회 2004년 4월8일부터 10일까지 임진강수해방지실무협의회 제3차 회의를 개성에서 열었다. 회의에서는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8차 회의에서 채택한 ‘임진강 수해방지와 관련한 합의서’ 후속조치로 단독조사항목, 북측의 사전자료 제공목록, 남측의 현지 조사용 기자재 제공 목록, 홍수예보시설 설치와 관련한 통보체계...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09년 > 자료편 > 주요 자료 > 2009년 100대 뉴스 > 69. 北 예고없는 황강댐 방류..6명 사망 이어졌다. 북한의 댐 방류로 어구가 떠내려가는 등의 물적 피해는 여러 차례 있었지만 인명피해로 이어지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9월 6일 새벽 경기도 연천군 임진강 수위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강가에서 한가롭게 주말을 보내던 야영객 등 6명이 실종되는 사고가 났다. 참게와 민물고기 등을 잡기 위해 어민들이 설치한...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