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세국어 中世國語
    로, 'ㅗ→'로 이동하여 ''가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그결과 15세기 말엽에는 ''가 그 음가를 잃어버리는 ' 〉 ㅡ'로의 비음운화 현상이 나타났다. 이중모음체계에는 많은 공백이 존재한다. ㅚ, ㅐ, ㅟ, ㅔ는 이중모음이었다. 'ㅣ'는 [i]와 [ij] 모두를 표시했다. [jʌ]와 [jɨ]는 방언에만 존재했다. [ij]와 [wi...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음절 音節, syllable
    우·으'가 순서대로 음절의 성절음이 된다. 성절음은 모든 음절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서 음절의 핵을 구성한다. 음절의 핵은 모음만으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모음과 반모음의 결합인 이중모음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음절의 핵 앞뒤에는 자음이 덧붙을 수 있다. 이때 음절의 핵을 중성, 핵 앞에 덧붙는 자음을 초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알파벳 alphabet
    알파벳의 각 문자는 여러 개의 자음과 모음 혹은 음절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단모음이나 이중모음 또는 하나의 자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알파벳이라는 용어가 음절문자표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알파벳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재현할 수 있는 일련의 기호들로 한 언어의 소리를 표현하는 방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둥샹어 東鄕語, Tunghsiang language
    壩]·왕자지[汪家集]·쓰자지[四甲集]의 3개 토착어가 있을 뿐이다. 전난바 지역에서 쓰는 둥샹어의 어음 특징은 다음과 같다. 모음에 장음·단음의 대립이 없고 이중모음이 비교적 많다. 모음조화는 이미 소실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목젖 폐쇄음 G·q와 연구개 폐쇄음 g·k가 서로 대립한다. 현재 음절 끝에 올 수 있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자음 子音, consonant
    경구개음 또는 구개음이라 하며 'ㅈ·ㅉ·ㅊ'이 여기에 속한다(다만 평안도 방언에서는 이들이 치조음으로 발음됨). 'ㄴ·ㅅ·ㅆ·ᄙ' 도 모음 '이'나 '이'로 시작되는 이중모음 '야·여·요·유' 등의 앞에서는 각각 구개음 [ɲ,∫,∫',ʎʎ]로 발음된다(시늉[∫iɲuŋ], 알려[aʎʎə]). 혓바닥 뒷부분과 연구개로 만들어지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음소 音素
    할 때에는 〈표 2〉와 같은 4계열 3단계의 체계를 가지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표 2〉에서 중부방언의 젊은 층은 이미 단모음 /위/와 /외/를 각기 이중모음으로 발음하고 있고, 또한 /에/와 /애/의 구별을 상실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동남방언(경상도방언) 등에서는 /으/와 /어/의 대립을 상실...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고대국어 古代國語
    k'는 'ㄱ'으로 반영되었다. 중국 한자의 유성음인 전탁(全濁) 계열은 무성음으로, 복잡한 운두(韻頭)와 운복(韻腹)은 간략화되어 단모음이나 이중모음으로 받아들여졌다. 어휘 신라어의 어휘는 중세국어와 많이 일치한다. 그러나 중세국어에서 확인되지 않는 어휘도 많이 있다. '福, 卜, 巴, 伏' 등으로 표기되어 '아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대치
    오는 비음에 동화되어 비음으로 바뀌는 비음화와 같은 자음동화도 음운의 대치에 포함된다. 또한 '이'나 '이'로 시작되는 이중모음 앞에서 후설모음(後舌母音)이 전설모음(前舌母音)으로 바뀌는 ‘ㅣ’모음 역행 동화(umlaut)나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만나는 모음조화도 음운의 대치에 포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한글소리본 ─本
    가르치기 전에 소리부터 가르치고, 자음과 모음의 다양한 결합을 통해 소리를 들려주면서 글자와 연계하여 기억하기 좋도록 연습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이중모음은 단모음을 교수한 후에 가르치고 유열이 지은 “한글 닿소리 홀소리 입꼴 그림”이란 큰 그림을 교실에 걸어 놓고 지도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시대 :
    현대
    저작자 :
    정인승·류열
    창작/발표시기 :
    1947년 8월 1일
    성격 :
    교재, 아동교육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정음사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음운의 종류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은 단모음(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과 발음을 할 때의 입술 모양이 혀의 위치가 변하는 이중모음(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으로 나뉜다. 단모음은 혀의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으로, 입술의 모양으로 원순모음과 평순모음...
    도서 다음백과
  • 구개음 口蓋音
    포함하는 점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ㅈ, ㅉ, ㅊ’은 현대국어에서 순수한 구개음이기 때문에 동일한 조음점에서 발음되는 활음(滑音)을 포함하는 이중모음 ‘ㅑ, ㅕ, ㅛ, ㅠ’와의 결합인 ‘쟈, 져, 죠, 쥬 ; 쨔, 쪄, ○, 쮸 ; 쨔, 쪄, 쬬, 쮸’ 등은 각각 짝이 되는 ‘자, 저, 조, 주 ; 쨔, 쪄, 쬬, 쮸 ; 차, 처...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서울말
    모음은 다르다. 서울말에서 사용되는 단모음(單母音)은 ‘ㅣ, ㅔ, ㅐ, ㅟ, ㅚ, ㅡ, ㅓ, ㅏ, ㅜ, ㅗ’ 10개이다. 이 중 ‘ㅟ, ㅚ’는 환경에 따라서는 이중모음 [wi, we]로 실현되는 경우도 있다. ‘ㅔ, ㅐ’는 어두에서만 구별되고 비어두에서는 구별되지 않는다.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데에 자음, 모음뿐 아니라 소리...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