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둥샹어

다른 표기 언어 Tunghsiang language , 東鄕語

요약 중국 둥샹족의 언어.
(병). Dongxiang. (웨). Tunghsiang language.

알타이어족 몽골어군에 속한다. 주요분포지는 중국 간쑤 성[甘肅省] 린샤후이족 자치주[臨夏回族自治州] 둥샹족 자치현이다. 둥샹어에는 방언이 없고 단지 전난바[鎭南壩]·왕자지[汪家集]·쓰자지[四甲集]의 3개 토착어가 있을 뿐이다.

전난바 지역에서 쓰는 둥샹어의 어음 특징은 다음과 같다. 모음에 장음·단음의 대립이 없고 이중모음이 비교적 많다. 모음조화는 이미 소실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목젖 폐쇄음 G·q와 연구개 폐쇄음 g·k가 서로 대립한다. 현재 음절 끝에 올 수 있는 자음은 n 1개뿐이다. 말의 첫 음절에 있는 모음 i·u는 일반적으로 파열음·파찰음·무성마찰음 뒤에서 모두 무성음화된다.

둥샹어에는 28개의 단자음과 7개의 단모음, 11개의 이중모음이 있고 보통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있다. 또한 풍부한 어형변화를 한다. 명사에는 수(단수·복수)·격(주격·목적격·위치격·방향격 등)·비인칭명사·인칭명사 등의 문법적 범주가 있고, 동사에는 태(상호태·능동태·사동태)·식(式:진술식·명령식)·체(진행체·완성체·미완성체) 등의 문법적 범주가 있다. 동사 이외의 실사(형용사도 포함)가 술어로 쓰일 경우에는 반드시 조동사를 대동한다. 문장의 주어는 술어 앞에, 보어는 동사 앞에 놓인다. 수식어는 피수식어 앞에 둔다. 어휘는 중국어 단어를 많이 차용했으며 그 방식도 비교적 다양하다. 이 언어의 사용인구는 27만 명 정도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둥샹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