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봉선홍경사사적갈비, 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通化院)이라 불렀다 한다. 글은 당대의 유명한 유학자 최충(崔沖)이 지었으며, 글씨는 백현례(白玄禮)가 썼다. 글씨는 자경 3㎝의 해서로 용필과 짜임새가 엄정하다. 구양순(歐陽詢)의 「황보탄비(皇甫誕碑)」에 가까우며 고려시대 해서로는 제1급이다. 방비원갈(方碑圓碣: 네모난 비석은 ‘비’라하고 둥근 비석은 ‘갈...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청도 용천사 영산회상도 淸道 湧泉寺 靈山會上圖각각 합장인, 보검, 용과 여의주, 보탑을 들고 있는 사천왕 배치는 「통도사 영산전 영산회상도」(1734년)의 형식과 비슷하다. 이외에도 많은 권속을 엄정하고 세밀한 묘사로 짜임새 있게 표현하였다. 중심 색인 붉은색과 녹색을 낮은 채도로 사용하고 광배와 옷에 세밀한 꽃무늬 장식을 하여 장엄한 부처의 세계를 구현...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서화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충주시 교육과 문화書院)·하강서원(荷江書院) 등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896년에 설립된 충주공립소학교(지금의 교현초등학교)와 1908년 설립된 사립명신학교(지금의 엄정초등학교)가 있다. 유치원 47개소, 초등학교 38개교, 중학교 17개교, 고등학교 11개교, 전문대학 1개교가 있으며, 대학교는 한국교통대학교와 건국대학교...
-
이정보 李鼎輔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1763년(영조 39) 예조판서·대제학·지성균관사에 이어 판중추부사로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승진하였다. 성품이 엄정하고 강직해 바른 말을 잘해 여러 번 파직되었다. 글은 주의(奏議)에 능했으며 생각하는 일은 반복해 상소하고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나 시조 78수의 작품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93년(숙종 19)
- 사망 :
- 1766년(영조 42)
- 경력 :
- 봉교, 정언, 지평, 교리, 이조정랑, 병조참의, 수원부사, 대사성, 함경도관찰사, 비변사제조, 도승지, 형조판서, 우참찬, 공조판서, 이조판서, 지성균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