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의 풍자
    임제의 〈수성지 愁城誌〉, 이옥의 〈남령전 南靈傳〉, 김무옹의 〈천군전 天君傳〉 등이 있다. 또 사물을 의인화한 의인류에는 남성중의 〈화사 花史〉, 안정복의 〈여용국전 女容國傳〉 등이 있고 동물을 의인화한 〈장끼전〉·〈별주부전〉 〈서동지전 鼠同知傳〉 등이 있다. 꿈의 형태를 빌려 역사적 현실에 대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극
  • 권철신 주어사 강학소 주어절, 權哲身 走魚寺 講學所
    읍지의 사찰 항목이나 고지도에 수록되지 못했다고 생각된다. 권철신의 강학과 주어사 근기 남인 실학자인 성호의 만년 제자이기도 한 권철신은 광주의 순암 안정복(順庵安鼎福)의 문하에서도 수학하고, 1768년부터는 덕산의 정산 이병휴(貞山李秉休)의 문하에도 드나들며 학문을 닦으면서 그의 제자인 이기양(李基讓...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권철신 녹암, 權哲身
    천주교도로서 신유박해 때 순교했다. 본관은 안동. 호는 녹암. 교명은 암브로시오. 아버지는 관찰사 흠이며, 일신(日身)의 형이다. 안정복의 문인이다. 이승훈의 소개로 천주교 서적을 접하게 되었고, 1777년(정조 1)부터 경기도 천진암·주어사에서 정약전(丁若銓)·정약용(丁若鏞)·이벽(李蘗)·김원성(金源星...
    출생 :
    1736(영조 12)
    사망 :
    1801(순조 1)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동사강목 Tongsa kangmok, 東史綱目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다. 중국 남송(南宋) 주자(朱子)의 《강목》(綱目)의 체제를 따라 중국 은(殷) 왕조의 기자(箕子)가 주(周)에서 고조선(古朝鮮)으로 망명한 시점으로 알려진 기원전 1122년(주 무왕 13년, 기묘년)부터 고려...
    도서 위키백과
  • 권일신 성오, 權日身
    프란시스 사비에르(Francis Xavier). 아버지는 관찰사 흠이며, 형은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중국인 신부 주문모(周文謨)와 함께 처형당한 철신(哲身)이다. 안정복의 사위이다. 남인에 속한 학자로 양명학을 연구하다가 1782년(정조 6) 이벽(李蘗)의 권유로 천주교에 입교했다. 1785년 서울에 있는 역관 김범우(金範禹)의...
    출생 :
    1751(영조 27)
    사망 :
    1791(정조 15)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사학 邪學
    또한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서양의 학문과 종교가 일부 지식인과 서민들에게 수용되자 주로 종교적 측면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었다. 이익(李瀷)의 제자였던 안정복(安鼎福)은 〈천학고 天學考〉·〈천학문답 天學問答〉 등에서, 신후담(愼後聃)은 〈서학변 西學辨〉을 지어 천주교를 비판했다. 이외에도 많은 유학자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교 , 종교
  • 반계선생연보 磻溪先生年譜
    1775년(영조 51)안정복(安鼎福)이 유형원의 증손 발이 초록해 두었던 것을 수집(修輯)·증보했다. 1권 1책. 이 연보를 통해 〈반계수록 磻溪隨錄〉의 부록인 홍계희의 〈전 傳〉과 오광운(吳光運)이 지은 〈행장〉에 비해 유형원의 행적을 보다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이 책은 그가 출생한 1622년(광해군 14) 정월부터 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편년체 編年體
    고려사절요』, 신숙주 등의 『삼국사절요』, 서거정 등의 『동국통감』 등 관찬(官撰) 사서와, 박상의 『동국사략』, 유희령의 『표제음주동국사략』, 안정복의 『동사강목』 등도 모두 편년체 역사서이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일본서기(日本書紀)』와 『고사기(古事記)』도 편년체이다. 특징 편년체 사서...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계몽전의 啓蒙傳疑
    내용 목판본과 안정복(安鼎福)의 수택본이 있으며, 『퇴계집』 속집에도 1책으로 수록되어 있다. 권수에는 저자의 소서(小序)가 실려 있으며, 차례는 본도서(本圖書), 원괘획(原卦畫), 명시책(明蓍策), 고변서(考變書)로 되어 있다. 본도서와 원괘획은 주로 동자(董子)와 소자(邵子) 및 호씨(胡氏)에 대하여 주희와 비교...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황
    창작/발표시기 :
    1557년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근기남인 近畿南人
    이은 한강 정구(鄭逑)에서 비롯된다. 한강의 제자가 미수(眉叟) 허목(許穆)이요, 허목을 사숙(私淑)한 이가 이익이다. 이익의 학통은 다시 순암(順庵) 안정복(安鼎福)을 거쳐 성재(性齋) 허전(許傳)에 이른다. 그런데 이익의 학통은 따로 소장층의 급진주의자들에게도 이어진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녹암(鹿菴) 권철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정구 鄭逑
    一)·유성룡(柳成龍)·장현광(張顯光)의 문하와 함께 영남 남인학파를 이루었다. 한편 그의 사상 가운데 경세론 분야는 허목 등 근기학파(近畿學派)에 속한 학자에게 계승되어, 이익(李瀷)·안정복(安鼎福)·정약용(丁若鏞) 등에 의해서 더욱 심화·발전되었다. 당대의 명문장가로서 글씨도 잘 썼다. 시호는 문목(文穆...
    출생 :
    1543(중종 38)
    사망 :
    1620(광해군 1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방이설화 금추설화, 旁이說話
    유양잡조 酉陽雜組〉에 신라의 이야기로 소개되어 전한다. 그뒤 〈유양잡조 속집〉 권1, 〈태평어람 太平御覽〉 권481 등에 거듭 실렸고, 우리 문헌에는 안정복의 〈동사강목 東史綱目〉에 인용되어 있다. 비슷한 이야기가 국내 여러 곳에서 구전되고 있다. 옛날 가난한 형 방이와 부자인 동생이 살고 있었다. 방이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5건

임관정요 / 안정복
임관정요 / 안정복
안정복의 글씨
이익이 안정복에게 보낸 편지
임관정요 / 안정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