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조선 후기 실학의 선구자인 유형원의 행적을 기록한 책.
1775년(영조 51)안정복(安鼎福)이 유형원의 증손 발이 초록해 두었던 것을 수집(修輯)·증보했다. 1권 1책. 이 연보를 통해 〈반계수록 磻溪隨錄〉의 부록인 홍계희의 〈전 傳〉과 오광운(吳光運)이 지은 〈행장〉에 비해 유형원의 행적을 보다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이 책은 그가 출생한 1622년(광해군 14) 정월부터 그가 죽은 1673년(현종 14) 3월까지 면학·과거응시·학문생활 등의 행적을 자세하게 연도별로 기술했다.
현재 그의 저작으로 〈반계수록〉 26권 13책과 〈군현제 郡縣制〉만 전해오지만, 이 책을 통해 그의 전(全) 저작체계를 알 수 있다. 이 책에 기술된 그의 방대한 저작들은 부안으로 은퇴하기 2년 전인 1652년(효종 3)부터 죽기 3년 전인 1670년(현종 11)까지 약 19년간에 걸쳐 고금의 전적(典籍)과 깊은 사색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보에 따르면, 〈반계수록〉 외에 성리학 및 경학에 관한 것으로 〈이기총론 理氣總論〉·〈논학물리 論學物理〉·〈경설문답 經說問答〉·〈주자찬요 朱子纂要〉,언어학 방면으로 〈정음지남正音指南〉, 역사·지리 방면으로 〈동국사강목조례 東國史綱目條例〉·〈동국가고東國可考〉·〈속강목의보 續綱目疑補〉·〈여지지 與地志〉·〈지리군서 地理群書〉,병법서로 〈무경사서초 武經四書抄〉·〈기효신서절요 紀效新書節要〉가 있으며그외에 〈참동계초參同契抄〉·〈동국문초 東國文~〉·〈도정절집陶靖節集〉·〈기행일록 紀行日錄〉·〈서설書說〉·〈서법 書法〉 등의 저술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방대한 저술의 궁극적인 목적은 양란 후 최대의 국가적 위기를 맞이한 조선왕조를 농민적인 입장에서 국가를 새롭게 일으키려는 데 있었다. 이 연보를 통해 그의 학문체계의 윤곽을 알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