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컵자리 Crater (constellation), コップ座
    컵자리(Crater IPA)는 바다뱀자리에 인접한 작은 별자리이다. 술잔자리라고도 한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익수의 앞부분에 해당된다. 4등급 이상 되는 별이 없다. 컵자리 γ : 반규칙적인 SRb형 변광성이며, 스펙트럼형은 M7이다. 밝기는 9.8 ~ 11.2 등급으로 변하며, 주기는 160일이다. 컵자리 SZ 1060 은하단에...
    도서 위키백과
  • 콩팥 잔 Renal calyx
    콩팥 잔은 오줌이 통과하는 콩팥의 통로이다. 작은 콩팥잔(minor calyx, 소신배)은 콩팥 피라미드(renal pyramid)의 정점 주위에 컵 모양의 배수구를 형성한다. 콩팥에서 형성된 오줌은 정점에 있는 콩팥 유두(renal papilla)를 통과하여 작은 콩팥잔으로 들어간다. 4~5개의 작은 콩팥잔이 모여 큰 콩팥잔(major calyx...
    도서 위키백과
  • 석전 釋奠
    신위, 맹자 신위 순으로 세 번 분향하고 폐백을 드린 뒤 자기 위치로 돌아온다. 이때 당상악(堂上樂)을 연주하고 문무를 춘다. ③ 초헌례(初獻禮):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예로서, 초헌관이 공자 신위 앞으로 가면 당상악과 문무가 시작된다. 공자 신위에 술잔을 올리고 조금 물러서서 꿇어앉으면 대축이 축문을 읽는다...
    성격 :
    유교의례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봄 2월(음력)과 가을 8월(음력)의 상정일(上丁日)
    장소 :
    성균관, 지방 향교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스키타이, 그리핀의 나라 사라진 고대 문명 미스터리
    그 위에 나무 막대기를 걸치고 다시 멍석을 덮는다. 묘지에는 왕의 후궁 한 명과 시중드는 소년, 요리사, 마부, 말 등을 교살하여 황금 술잔(스키타이인들은 은제나 청동제 술잔을 사용하지 않았다)과 재보의 일부를 선택하여 묻는다. 일 년이 지나면 다시 모여 의식을 거행하는데 이번에는 죽은 왕을 모셨던 시종 50명...
  • 육조 시대의 문화, 왕희지 서성, 王羲之
    시인 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구력 3월 3일은 이 지방 고유의 명절이었다. 353년 3월 3일 왕희지는 사안(謝安) 등 41명의 명사들을 난정에 초대하여 술잔을 주고 받으며 시를 짓는 향연을 벌였다. 술잔에 술을 가득 부어 시냇물 상류에서 술잔을 띄워 내려 보내면 각기 냇가의 돌 위에 걸터앉아 술잔이 흘러내려...
  • 신장피라미드 renal pyramid
    세관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세관은 소변이 만들어지는 부분인 신장 피질로부터 소변이 수뇨관을 거쳐 방광으로 가기 전에 모이는 컵 모양의 공동인 신장술잔(renal calyx)으로 소변을 운반하는 관이다. 각 신장피라미드의 끝점은 신장유두(renal papilla)라고 하며 신장술잔 쪽을 향해 뻗어 있다. 신장유두의 표면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신장의 구조와 기능
    신장엽(腎臟葉)이라 한다. 신장동은 깔때기 모양으로 늘어난 수뇨관의 가장 윗부분인 신장깔때기와 신장 내부에서 이 깔때기에 연결되는 큰 술잔 모양의 공간인 큰신장술잔 2,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큰신장술잔은 다시 4~12개의 작은신장술잔으로 나누어진다(→ 신장술잔). 작은신장술잔은 신장유두와 바로 연결되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소변의 축적과 배출
    형성된 소변은 마지막으로 15~20개의 집합관으로 들어가는데 이들은 수질에 있는 신장유두로 열려 있고 이어서 작은신장술잔으로 열려 있다. 작은신장술잔은 다시 2, 3개의 큰신장술잔에 연결되고 끝으로 신장깔때기로 이어지면서 요관으로 들어서게 된다. 소변은 신장작은술잔·신장큰술잔·요관에 고였다가 평활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배(盃)와 배(杯), 잔, 상, 작, 굉 盃와 杯, 盞, 觴, 爵, 觥
    본 뜻 배(盃) - 배(杯)의 속자(俗字). 배(杯) - 나무로 만든 술잔. 잔(盞) - 낮고 작은 잔. 상(觴) - 물소나 쇠뿔로 만든 잔. 작(爵) - 쇠로 만든 발이 달린 술잔으로 보통 한 되들이 정도의 큰 잔. 굉(觥) - 소의 뿔로 만든 술잔. 바뀐 뜻 모두 술잔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보기글 ㆍ대통령배라면 대통령이 술잔을 상...
  • 짐작 斟酌
    본 뜻 침(斟) - 술잔을 서로 주고받다. 작(酌) - 술을 따르다. 고대에는 술잔을 주고받고 술을 따라주는 일이 매우 중요한 의례였다. 왕이나 높은 사람에게 ‘침작’할 수 있는 기회도 드물었지만, 주로 엄격한 격식에 따르는 자리이긴 하나 이 과정에서 서로의 감정이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바뀐 뜻 왕이나 높은 사람...
  •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라는 대사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건배!’입니다. 그러나 건배라는 말은 일본어 ‘간파이’를 표기하는 한자 ‘乾杯’를 우리 식으로 읽은 것입니다. 또 모임에 참석한 사람들이 모두 술잔을 들면 윗사람이 ‘건배!’ 하고 선창하고, 아랫사람들이 이어 ‘건배!’ 하고 화답하며 단숨에 술잔을 비우는 일사불란한 모습도 일본의 간파이에서 유래했습니다...
  • 작위 爵位
    본 뜻 제후가 천자를 조근(朝覲)할 때 천자가 제후들의 직급에 따라 내린 술잔을 말한다. 이 술잔의 재질은 옥(玉), 각(角), 금(金), 은(銀), 동(銅)이었다. 이 술잔이 곧 직급을 가리키게 되었다. 서양의 작(爵)은 중세 및 근대에 귀족의 서열을 나타내던 칭호로서, 중세 초기 서유럽의 대국이었던 프랑크 왕국에서...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