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인사 동종 해인사 대적광전 홍치사년명 동종, 海印寺 銅鐘文)이 새겨졌을 뿐, 당좌(撞座)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색이다. 유곽 바로 아래에는 일렬로 돌린 해서체의 돋을새김 명문(銘文)이 있다. 그 내용은 “弘治四年 辛亥成海印寺大寂光殿鐘(홍치4년 신해성 해인사대적광전종)”이라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동종은 1491년(성종 22)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곡성 태안사 동종 태안사천순명동종, 谷城 泰安寺 銅鍾개설 200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불교 사찰에서 사용한 범종이며, 명문을 통해 1581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및 특징 동종의 몸체는 곡선을 이루면서 구연부가 안으로 오므라드는 형태를 지니고 있다. 한 마리의 용으로 만들어진 종뉴와 음통이 있고 천판에는 입상화문대를 갖추었다. 또한 몸체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
의정부 망월사 건륭51년명 동종 議政府 望月寺 乾隆五十一年銘 銅鐘개설 동종은 1786년(정조 10)에 주성되었다. 2012년 6월 26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의정부 망월사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동종의 고리는 한 마리의 용으로 형상화했고 음통이 있다. 천판은 낮게 솟아 있고 몸체는 종의 입구로 갈수록 살짝 벌어지는 형태이다. 천판 아래에는 범자문...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
안동광흥사동종 安東廣興寺銅鍾등이 알려져 있다. 17세기에 들어오면서 이 혼합형 종과 전통형 종은 두 가지 커다란 양식으로 정착되어 조선후기 범종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광흥사 동종은 전통형을 따른 범종으로서, 중국 종을 따르면서도 한국 종 양식이 가미되어 적절히 혼합을 이루는 갑사종과 함께 16세기 범종의 과도기적 경향을 보이는 대표...
- 시대 :
- 조선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645호
- 성격 :
- 불교의식법구
- 유형 :
- 유물
- 크기 :
- 높이 60㎝
- 제작시기 :
- 조선시대, 1573년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소장/전승 :
- 경상북도 안동 광흥사
-
남해 화방사 건륭32년 동종 南海 花芳寺 乾隆三十二年 銅鍾개설 동종은 1767년(영조 43)에 제작되었고, 원래는 경상도 성주 쌍사(雙寺) 내원암(內院庵)에 봉안되었던 유물이다. 2010년 3월 11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남해군 화방사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및 특징 종의 몸체는 완만하게 곡선을 이루면서 종구가 좁아지는 형태로 만들었다. 종...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개암사 동종 開岩寺 銅鐘내용 1689년(숙종 15) 제작. 총고 88㎝, 종신고 74㎝, 종구경 62㎝. 1986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동종의 형태를 보면 정상의 용뉴(龍鈕 : 종의 꼭지부분 장식)는 단룡(單龍)의 용체로 감싼 용통(甬筒)을 갖고 있으며, 네 발로 정상을 딛고 서 있는 형태이다. 용통의...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장흥 신흥사 소장 정방사명 동종 長興 新興寺 所藏 井方寺銘 銅鐘개설 동종은 1751년(영조 27)에 제작되었고 원래는 해남 정방사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009년 12월 31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장흥 신흥사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종의 고리는 한 마리의 용을 형상화했고 음통이 있으며, 천판(天板)에는 입상화문대(立狀花文帶)가 장식되어...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송광사 동종 松廣寺 銅鐘있는데, 이 위패형에는 ‘主上三□壽萬歲(주상삼□수만세)’라는 자구가 양주되어 있다. 하대인 구연대 역시 연주문대와 연당초문으로 장식하고 있다. 동종의 종복 하단면에 양주된 명문이 있어 주조연대가 확실한 동종이다. 명문을 보면, ‘康熙五十五年丙申四月 全羅□道 光州無等山 □□寺大鐘……(강희55년병신4...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안심사 동종 安心寺 銅鍾내용 이 동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맨 윗부분에는 용뉴와 음통이 있는데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과 음통 장식은 조선 시대에 주조한 종 가운데 신라적 전통을 잘 계승한 사례이다. 상대에는 범어가 새겨져 있고 가운데에는 보살상이 부조되어 있다. 연곽도 네 군데가 완벽하게 남아 있다. 하대에는 종의 주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