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사상 상지(尙之), 姜士尙해 좌승지가 되고, 이듬해 도승지와 예조참의 등을 거쳐 1561년 왕의 특별 명령으로 형조참판이 되었다. 그해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다시 부제학이 되어 권신(權臣) 이량(李樑)의 불법을 주장하다가, 오히려 이량의 미움을 받아 부호군(副護軍)으로 좌천되었으며, 1564...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19년(중종 14)
- 사망 :
- 1581년(선조 14)
- 경력 :
- 병조판서, 형조판서, 이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진주(晉州)
-
이갑 신경(信卿), 李𡊠주는 글)하는 의식에서 선교관(宣敎官)으로 임명되었으나, 대령하지 않아 변방의 권관(權管)으로 좌천되었다. 1773년(영조 49) 도승지로 승진하고, 대사간·대사헌, 비변사당상 등을 거쳐, 1775년 황해도관찰사로 나갔다가 다음해 뇌물죄의 보고를 여러 달 지체시킨 일로 파직되었다. 다음해 동지 겸 진주사(冬至兼陳...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37년(영조 13)
- 사망 :
- 1795년(정조 19)
- 경력 :
- 예조판서, 공조판서, 병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
이익상 필경(弼卿), 李翊相사관을 겸직해 『효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어 대교·사간·필선 등을 거쳐 1672년 대사간과 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675년(숙종 1) 한성부우윤·대사헌 등을 맡아보면서, 숙종 초년 예론(禮論)을 중심으로 한 당시의 국정에 대해 서인(西人)의 입장에서 활발한 언론활동을 하였다. 1679년 도승지 때 송시열...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25년(인조 3)
- 사망 :
- 1691년(숙종 17)
- 경력 :
- 한성부우윤, 대사헌, 이조판서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경신대출척, 기사환국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매간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이직보 유종(維宗), 李直輔자는 유종(維宗), 호는 중주(中洲)·돈암(遯庵). 이정구(李廷龜)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도신(李度臣)이다. 본명이 이성보(李城輔)인데, 1801년(순조 1) 대사헌에 올라 이름의 '성'자가 정조의 어휘(御諱)를 범하기 때문에 소를 올려 직보(直輔)로 개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김양행(金亮行)에게 수학해 크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38년(영조 14)
- 사망 :
- 1811년(순조 11)
- 경력 :
- 공조참판, 도승지, 대사헌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윤은보 상경(商卿), 尹殷輔문제를 점검하였다. 이어 직제학·부제학·대사간을 거쳐 황해도관찰사로 나갔다. 1519년에 이조참판으로서 반정공신의 녹훈 개정을 주청했고, 1521년에는 대사헌으로서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공조판서로서 강원도 양전순찰사(量田巡察使)로 파견되었고, 이어 예조판서·대사헌·이조판서·평안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68년(세조 14)
- 사망 :
- 1544년(중종 39)
- 경력 :
- 병조판서, 영의정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해평(海平,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
-
김찬 숙진(叔珍), 金瓚나가 군적(軍籍)을 정리했으며, 다음 해에는 평안도 순무어사로 활약하였다. 1584년 이후로는 전한(典翰)·직제학(直提學)·승지·좌참찬·동지중추부사·대사헌·대사간·대사성·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임금의 파천을 반대했으며, 임금 일행이 개경에 이르자 동인(東人) 이산해...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43년(중종 38)
- 사망 :
- 1599년(선조 32)
- 경력 :
- 검열, 교리, 좌참찬, 경기도관찰사, 이조판서, 우참찬, 대사헌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임진왜란, 정유재란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안동(安東)
-
이근필 여해(汝諧), 李根弼와 같은 옷을 입고 있다고 보고해서 당시 일본에 대한 지식이 없던 국왕과 정부 관리를 당황하게 하였다. 이 해 이조참판·형조판서를 역임하고 이듬해 사헌부대사헌에 임명되었다. 1875년 한성부판윤·우참찬을 지내고 이듬해에는 예조판서를 맡았다. 1876년 황해도관찰사가 된 뒤, 이듬해 전국이 흉년인데 황해도 지방...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16년(순조 16)
- 사망 :
- 1882년(고종 19)
- 경력 :
- 사헌부대사헌, 예조판서, 황해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예문관제학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전의(全義)
-
홍수보 군실(君實), 洪秀輔鎭)의 서족(庶族) 조카이던 공산(公山)의 업유(業儒) 권홍징(權泓徵)의 흉소(凶疏)로 사판(仕版: 벼슬아치의 명단)에서 삭제당하는 불운을 겪었다. 1785년 대사헌에 임명되었다가 대론의 문제로 한차례 파직 후 복직되고, 이어 대사간, 비변사제조 등을 두루 거쳤다. 이듬 해 형조참판을 거쳐 대사헌으로 재직할 당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3년(경종 3)
- 사망 :
- 미상
- 경력 :
- 형조판서, 의정부좌참찬, 판의금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풍산(豊山)
-
이현일 익승(翼昇), 李玄逸경연(經筵)에 참석하였다. 이어 예조참판 겸 좨주 · 원자보양관(元子輔養官)에 제수되어 거듭 사임의 뜻을 표했으나 윤허되지 않았다. 8월에는 겸직과 함께 대사헌에 올랐고, 9월에는 인현왕후를 위한 소를 올렸으나 윤허를 얻지 못하고 11월에는 분황(焚黃)을 이유로 고향으로 돌아갔다. 1690년 이조참판 · 세자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송영중 군옥(君玉), 宋瑩中파직되어 유배당하였다. 1763년 승지로 다시 기용되었고, 이어 대사간을 거쳐 도승지에 올랐다. 그리고 강원도관찰사로 일시 외보(外補)되었다가 돌아와 대사헌과 호조참판을 지냈다. 1770년 동지부사(冬至副使)로 연경(燕京)을 다녀와 다시 대사헌을 제수받았고, 종실인 학성군(鶴城君) 이유(李楡)의 비리(非理)를 탄핵...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1년(경종 1)
- 사망 :
- 1786년(정조 10)
- 경력 :
- 사간원정언, 의주부윤, 대사간, 도승지, 강원도관찰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여산(礪山)
-
조석윤 윤지, 趙錫胤되었다가 다시 이조참의가 되었다. 1649년(효종 1) 김상헌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양관 대제학이 되어 『인조실록』 편찬의 책임을 맡았다. 이어 대사간 · 대사헌을 여러 차례 지냈는데, 1650년 이경억(李慶億)이 왕에게 여색을 멀리하라고 건의하다가 미움을 사자 이를 적극 신구(伸救)하다가 파직되어 임천(林川)으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