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헌법정신, 기본권 보호 원리기본법보호규정의 의미는 반감되므로 일부 기본권은 개인 간에도 직접 효력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근로자의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등입니다. 대부분의 기본권 규정은 직접 개인간에 적용되지는 않으며 민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적용된다는 주장이 대세입니다. 이를 기본권의 간접적...
-
전국체신노동조합 전국우정노동조합, 全國遞信勞動組合동시에 공무원의 쟁의행위를 금지하고 있는 노동쟁의조정법 제12조 제2항에 대한 헌법소원을 제기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얻어냄으로써 공무원노조의 단체행동권을 회복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조합원의 조합 의식 고취와 일선 조합간부 양성을 위한 교육사업도 지속적으로 실시하였고, 각종 회의와 대회를 통한 조직...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시 종로구 종로 6(서린동 154-1)
- 설립 :
- 1958년 3월 24일
- 성격 :
- 노동조합
- 유형 :
- 단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전국섬유·유통·건설노동조합연맹 전국섬유노동조합연맹, 全國纖維·流通·建設勞動組合聯盟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령 제6호에 의거 잠시 해산되었다가, 1961년 8월 7일전국섬유노동조합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산업별 노동조합으로 재편성되어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을 행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그 뒤 1980년 12월 노동관계법 개정에 따라 다시 기업별 노동조합의 연합체인 전국섬유노동조합연맹으로 개편...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근로자의 노동 3권•단결권 : 근로조건의 유지·개선을 목적으로 사용자와 대등한 교섭력을 가진 단체를 자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권리 •단체 교섭권 : 근로자 단체가 근로조건에 관하여 사용자와 교섭할 수 있는 권리 •단체 행동권 : 노동쟁의가 발생한 경우에 쟁의행위를 할 수 있는 권리
-
-
-
저임금정책 低賃金政策신장하고 노동권을 제약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특히 1970년 전태일 분신사건 이후 노동운동이 활성화되자 정부는 이에 대처하기 위해 1971년 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의 행사를 주무관청에 조정 신청하도록 규정한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 1973년 3월과 1974년 12월의 노동법 개악, 긴급조치에 의한 노동3권...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