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청원경찰법 請願警察法
    더 신설하여 보수를 상향조정하도록 개정했다. 이 법은 개정과 동시에 시행되었다. 2018년 9월 18일에는 법률 제15765호로 청원경찰에 대하여, 단체행동권은 제외하고 단결권과 단체교섭권을 인정하도록 관련 규정을 정비했으며, 개정과 동시에 시행되었다. 주요 내용 <청원경찰법>은 전체 12조와 부칙으로 구성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헌법정신, 기본권 보호 원리
    기본법보호규정의 의미는 반감되므로 일부 기본권은 개인 간에도 직접 효력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근로자의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등입니다. 대부분의 기본권 규정은 직접 개인간에 적용되지는 않으며 민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적용된다는 주장이 대세입니다. 이를 기본권의 간접적...
  • 단결권
    임금노동자가 노동조건의 유지 ・ 개선과 기타 경제적 지위향상을 위해 단결하는 권리로, 단체행동권단체교섭권과 함께 노동자의 경제적 기본삼권에 속한다. 단결권은 노동자가 자주적 단체인 노동조합을 통해 집단적 압력을 행사함으로써 사용자와 대등한 위치에서 교섭을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 한국의 노사관계
    정치사회면의 독재적·권위주의적 체제로 인한 지배복종적 관계로 일관되어왔다. 1971년말 '국가보위에 관한 임시조치법'으로 노동3권 중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이 제약받아 노사관계에 있어 거의 사용자 독주의 시기가 다시 10년간 계속되었다. 이와 같은 근로자와 노동조합의 무권리상태는 임금상승의 최대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전국체신노동조합 전국우정노동조합, 全國遞信勞動組合
    동시에 공무원의 쟁의행위를 금지하고 있는 노동쟁의조정법 제12조 제2항에 대한 헌법소원을 제기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얻어냄으로써 공무원노조의 단체행동권을 회복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조합원의 조합 의식 고취와 일선 조합간부 양성을 위한 교육사업도 지속적으로 실시하였고, 각종 회의와 대회를 통한 조직...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시 종로구 종로 6(서린동 154-1)
    설립 :
    1958년 3월 24일
    성격 :
    노동조합
    유형 :
    단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전국섬유·유통·건설노동조합연맹 전국섬유노동조합연맹, 全國纖維·流通·建設勞動組合聯盟
    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령 제6호에 의거 잠시 해산되었다가, 1961년 8월 7일전국섬유노동조합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산업별 노동조합으로 재편성되어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을 행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그 뒤 1980년 12월 노동관계법 개정에 따라 다시 기업별 노동조합의 연합체인 전국섬유노동조합연맹으로 개편...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외국인연수제도
    법안을 상정, 연내 국회에서 처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고용허가제는 기본적으로 상여금·퇴직금·연월차수당 등 급여의 측면은 물론이고 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의 보장 등 내국인과의 동등한 대우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한편 고용허가제의 실시 여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는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경영
  • 근로자의 노동 3권
    •단결권 : 근로조건의 유지·개선을 목적으로 사용자와 대등한 교섭력을 가진 단체를 자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권리 •단체 교섭권 : 근로자 단체가 근로조건에 관하여 사용자와 교섭할 수 있는 권리 •단체 행동권 : 노동쟁의가 발생한 경우에 쟁의행위를 할 수 있는 권리
  • 단결권 團結權, right to organize
    임금노동자가 노동조건의 유지 ・ 개선과 기타 경제적 지위향상을 위해 단결하는 권리로, 단체행동권단체교섭권과 함께 노동자의 경제적 기본삼권에 속한다. 단결권은 노동자가 자주적 단체인 노동조합을 통해 집단적 압력을 행사함으로써 사용자와 대등한 위치에서 교섭을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 무노동무임금 無勞動無賃金, no work no pay
    측의 무노동무임금논리는 노동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즉, 노동자측에서는 서구에서 실시되고 있는 파업기간중의 무임금 적용은 파업기금을 적립할 수 없도록 법적인 규제를 받고 있는 한국과 같은 기업별 노조체제에서는 적용될 수 없는 것이고, 단체행동권을 실질적으로 봉쇄하는 수단이라고 주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피케팅 picketing
    단결권·쟁의권이 헌법에서 보장되지 않고 언론의 자유를 확대하여 피케팅을 보호하는 미국에서는 평화적 설득만 가능하다 하겠으나, 헌법에서 단결권·단체행동권을 생존권의 일환으로 보장하고 있는 일본과 한국에서는 기본권 행사를 불법으로 침해하는 사용자나 제3자의 행위에 대하여 방어적 스크럼을 하는 것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저임금정책 低賃金政策
    신장하고 노동권을 제약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특히 1970년 전태일 분신사건 이후 노동운동이 활성화되자 정부는 이에 대처하기 위해 1971년 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의 행사를 주무관청에 조정 신청하도록 규정한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 1973년 3월과 1974년 12월의 노동법 개악, 긴급조치에 의한 노동3권...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현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