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래나무순차 영양정보
    1회 제공량 :
    100g
    칼로리 :
    1kcal
  • 키위 (과일) Kiwifruit, キウイフルーツ
    경작되며, 골드키위나 레드키위같은 과육의 색이 다른 종도 있다. 키위란 이름은 뉴질랜드의 나라새인 키위와 닮았다 해서 붙여졌다. 공식 명칭은 중국다래인데 보통 키위로 많이 알려져 있고 일부 지방에서는 양다래(洋-)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귀도(鬼桃), 등리(藤梨)라고도 한다. 빽이 이 나지만 늙은 가지에는...
    도서 위키백과
  • 다래나무과 Actinidiaceae, マタタビ科
    다래나무과 Clematoclethra (Franch.) Maxim. Saurauia Willd.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전거 통제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Actinidia arguta 다래나무, サルナシ
    Actinidia arguta (hardy kiwi) is a perennial vine native to Japan, Korea, Northern China, and Russian Siberia. It produces a small fruit resembling the kiwifruit.Fruit Facts. 1996, California Rare Fruit Growers, Inc.The fruit are referred to as Hardy kiwifruit, kiwi berry, arctic kiwi, baby kiwi...
  • 목화 木花, cotton
    지 80~100일 내에 식물체는 흰색 꽃을 피우는데, 이 꽃은 불그스레한 색으로 변한다. 수일이 지나 꽃은 떨어지고 3각형의 작은 녹색 꼬투리가 맺히는데, 이를 다래라 하며 55~80일이 지난 뒤 성숙한다. 이 기간 동안, 상당히 커지는 다래 안에서 씨와 씨에 붙어 있는 솜털이 발달한다. 다래는 성숙하면 3~5실로 나누어진...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아욱목 > 아욱과 > 목화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식질양토
    크기 :
    약 60cm ~ 2m
    학명 :
    Gossypium indicum
    꽃말 :
    어머니의 사랑
  • 목화 면화, 木花
    1개의 암술 및 약 130개의 수술이 있다. 수정은 대부분 자가수정을 한다. 수정 후 내부의 종자가 커짐에 따라 자방이 발육하여 과실이 되는데 이것을 다래라고 한다. 다래는 녹색 또는 진한 녹색을 띠며 모양은 둥글거나 달걀모양을 나타내고 표면에는 홈모양으로 된 무늬가 있다. 개화 후 다래가 성숙하여 면모를 노출...
    분류 :
    아욱과
    원산지 :
    인도
    성격 :
    식물, 일년생 초본식물
    유형 :
    동식물
    크기 :
    90㎝
    학명 :
    Gossypium indicum LAM.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7월 하순∼8월 하순
  • 설피 살피, 雪皮
    내용 살피라고도 하는데 이것을 신으면 눈에 깊어도 빠지지 않으며 비탈에서도 미끄러지지 않는다. 설피는 10년쯤 자란 다래덤불이나 노간주나무 또는 물푸레나무로 만든다. 다래덤불이나 노간주나무는 껍질을 벗겨 다듬은 다음 뜨거운 물에 넣고 천천히 힘을 주어가며 타원형으로 구부린다. 물푸레나무는 워낙 악지가...
    시대 :
    조선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우레나 urena
    5장의 분홍색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다. 씨는 조그맣고 갈고리 같은 돌기가 달려 있으며,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 종류들은 엄청나게 많은 씨를 만든다. 넓은다래는 무덥고 눅눅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데, 특히 해가 바로 비치고 물이 잘 빠지며 기름진 땅에서 잘 자란다.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일대와 온대지방...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아욱목 > 아욱과
    원산지 :
    아시아, 남아메리카
    서식지 :
    배수가 잘되는 양지바른 곳
    크기 :
    약 1m ~ 2m
  • 호두산채비빔밥
    식재료 쌀 360g(2컵), 취나물 40g, 다래순 40g, 고사리 40g, 표고버섯 40g(3장), 당근 20g, 도라지 20g, 쇠고기 100g, 달걀 50g(1개), 호두 80g(8개), 밥 짓는 물 470mL(2 1/3컵), 고추장 4큰술, 호두기름 적량, 식용유 적량 부재료 <양념> 간장 1큰술, 다진 파 1큰술, 다진 마늘 1작은술, 설탕 1큰술, 후춧가루 약간...
    분류 :
    주식류 > 밥류 > 비빔밥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양봉 산물의 생산과 이용, 벌화분 꽃가루
    밀원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탄수화물이 40∼60%로 가장 많고, 단백질 20∼40%, 지방 4∼12% 등이다. 2) 지방 성분 도토리화분, 다래화분, 잡화분에는 정상적인 발육과 체력 유지에 필수적이지만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는 필수 지방산 리놀레산(Linoleic acid)과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
    도서 양봉 | 태그 산업
  • 영동 매천리 미선나무 자생지 永同 梅川里 미선나무 自生地
    나무·상수리나무·신갈나무·복자기·졸참나무 등이 있고, 관목류에는 까마귀밥여름나무·광대싸리·국수나무·보리수·분꽃나무·생강나무·소태나무·숫명다래나무·조팝나무·쥐똥나무 등이 있으며, 덩굴식물류에는 다래나무·복분자딸기·으름덩굴·인동덩굴·줄딸기·찔레나무·청가시나무 등이 있다. 초본류는...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미후등식장탕 獼猴藤植腸湯
    저두강(杵頭糠)은 방아공에 묻은 겨로, 목구멍이 막힌 것을 열어준다. 이 처방은 우리나라의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첫 기록이 보이며, 처방은 다래덩굴인 미후등 15g, 목과(木果) · 포도근(葡萄根) 각 8g, 노근(蘆根) · 앵도 · 오가피 · 송화 각 3.75g, 저두강 반 수저의 양으로 구성된다. 원래는...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의약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6건

다래
다래
다래 종자
다래나무
다래나무
물치다래
다래나무
다래나무
다래나무
다래나무
털다래
다래도
다래도
다래도
다래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