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관음보살주경언해 천수경언해, 觀音菩薩呪經諺解내용 1권 1책. 『관음보살주경』은 천수관음의 삼매(三昧)를 표시한 다라니를 실은 불경인데, 원래의 책명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碍大悲心陀羅尼經)』으로서 때로는 『천수경』·『천수다라니』·『대비심다라니』·『화천수(畵千手)』로도 불린다. 이 언해본...
- 시대 :
- 조선 전기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476년(성종 12)
- 성격 :
- 언해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책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금서밀교대장경 金書密敎大藏經大藏經)』은 이제현(1287~1367)의 ‘금서밀교대장서(金書密敎大藏序)’에 보인다. 번역자나 편집자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재조대장경이나 전래하는 경에서 다라니만 따로 떼서 실담자 1행과 한자 1행을 병행해서 조성한 사경이다. 원래는 『밀교대장』 90권이 목판본으로 먼저 조성되었고 이어서 40권이 추가되어...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9 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經)』, 『원각경(圓覺經)』,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과 함께 사교과(四敎科)로 채택될 만큼 한국불교 전통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며, 특히 경문에 포함된 다라니(陀羅尼), 곧 능엄주(楞嚴呪)는 참선 수행자에게 수행 중의 마(魔)를 쫓는 수단으로서 적극 권장되었다. 제목의 ‘불정(佛頂)’, 곧 부처의 정수리는 가장...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산청 율곡사 목조 아미타삼존불 좌상 山淸 栗谷寺 木造 阿彌陀三尊佛 坐像중에 복장을 개봉하였는데, 아미타상의 경우 복장물을 도난당해 남아 있지 않았으나, 관음보살상에서는 후령통 · 오보병(五寶甁) · 오방경(五方鏡) · 다라니가 발견되었고, 대세지보살상에서는 후령통 일괄과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그리고 다량의 다라니가 수습되었다. 또한 본존인 아미타상의 상대 대좌 윗면...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탑다라니 塔陀羅尼내용 법사리(法舍利)라고도 한다. 후대에는 불경을 다층탑 형태의 도형(圖形) 내부에 절묘하게 배치한 것을 일반적으로 탑다라니라고 하였다. 본래 다라니(陀羅尼, dha-rani)란 총지(總持)·능지(能持) 등으로 번역되며, 통칭하면 진언(眞言)으로 신주(神呪)를 의미한다. 7세기 전반 인도를 순례한 당나라 현장(玄奘)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학림사 석조약사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鶴林寺 石造藥師如來三佛坐像 ─ 服藏遺物묘법연화경』권4∼7, 조선 후기에 간행된 『묘법연화경』권5, 1531년에 간행된 『비로자나총귀진언(毘盧遮那摠歸眞言)』 2점 등이다. 또한 조선 후기의 다라니가 수습되었는데, 즉 『일체제불전신사리진언범서약초다라니(一切諸佛全身舍利眞言梵書略抄陀羅尼)』, 『즉설모다라니(卽說姥陀羅尼)』, 한글로 인쇄된 『즉셜...
- 문화재 지정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36호
- 건립시기 :
- 조선후기
- 성격 :
- 불상및복장유물
- 유형 :
- 유물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 3·4동 산1번지 학림사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규모 :
- 석조불상 3점 및 복장물 일괄
-
밀교 진언문(眞言門), 密敎다양한 지역에서 그만큼 다채로운 종교성과 문화를 수용하면서 유포됐기 때문이다. 외형적으로는 범신적인 불타관(佛陀觀) 하에서 이들 제존(諸尊)의 진언, 다라니와 의례 절차, 만다라 등의 종교적 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성격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그것을 통한 종교 체험을 통해 궁극적인 종교적 성취를 이룰 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밀교대장 권61 密敎大藏 卷616건으로 ① 금강정경유가수습비로차나삼마지법(金剛頂經瑜伽修習毗盧遮那三摩地法), ② 대위력오추슬마명왕경 권하(大威力烏樞瑟摩明王經卷下), ③ 부동사자다라니비밀법 권일(不動使者陀羅尼秘密法卷一), ④ 천수천안관세음보살대신주본(千手千眼觀世音菩薩大身呪本), ⑤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남원 선국사 건칠 아미타여래 좌상 및 복장유물 南原 善國寺 乾漆 阿彌陀如來 坐像 및 腹藏遺物개설 200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선국사 대웅전에 봉안되었던 건칠아미타여래좌상으로 불상 내부에서 다라니, 묘법연화경 등의 복장물이 발견되었다. 대의를 입은 방법이나 승각기, 금구장식, 군의를 묶은 매듭 표현을 통해 고려후기에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현재 금산사 성보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내용 건칠...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대한 추복(追福)과 정토왕생, 재앙을 없애고 복을 부르는 것, 병의 치료, 장수 등 다양한 공덕을 설하고, 공덕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오래된 탑을 중수, 다라니의 서사와 소탑 제작과 같은 구체적인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8세기 초 황복사 탑을 이 경의 내용에 따라 조성한 이후 이 경에 영향을 받아...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및 복장유물 光州紫雲寺木造阿彌陀佛坐像─腹藏遺物3)의 중수원문도 함께 발견되었다. 복장에서 나온 유물은 1388년에 쓰여진 기문(記文), 1611년에 쓰여진 중수원문(重修願文), 1184년(명종 14)에 제작된 다라니와 같은 해 간행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1∼6, 1215년(고종 2)에 간행된 『주금강반야바라밀경(註金剛般若波羅密經)』, 고려시대의 「삼신진언다라니...
- 시대 :
- 고려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507호
- 성격 :
- 불상, 복장유물
- 유형 :
- 유물
- 크기 :
- 불상 높이 85㎝, 어깨너비 38㎝, 무릎폭 60㎝
- 재질 :
- 목재(불상)
- 제작시기 :
- 고려 후기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소장/전승 :
- 자운사(불상), 송광사성보박물관(복장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