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혜공주 조선 문종의 적장녀
    세종의 후궁인 혜빈 양씨나 문종의 후궁인 귀인 홍씨, 사칙 양씨 등에게는 애초에 섭정의 자격이 없었다. 할아버지 세종은 일찍이 이런 상황을 예측하고 김종서와 황보인을 비롯해 집현전 출신 신료들에게 단종을 부탁했던 것이다. 그때부터 영의정 황보인과 우의정 김종서가 단종을 보위하며 황표정사(黃票政事)를 통해...
    출생 :
    1436년
    사망 :
    1473년
    본관 :
    전주(全州)
    아버지 :
    문종
    어머니 :
    현덕왕후 안동 권씨
    능묘 :
    경혜공주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 정분 鄭苯
    좌참찬으로 숭례문 건축공사를 감독했다. 1450년(문종 즉위) 우찬성으로 충청도·전라도·경상도 도체찰사를 겸했다. 1452년(단종 즉위) 우의정에 올라 김종서(金宗瑞)·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단종을 보필했다. 1453년 수양대군이 주도한 계유정난으로 낙안에 안치되었다가 관노가 되었으며, 이듬해 사사되었다...
    출생 :
    미상
    사망 :
    1454(단종 2)
    국적 :
    조선, 한국
  • 세종실록 世宗實錄
    大王實錄〉이다. 1418년 8월부터 1450년 2월까지의 기록이다. 세종 사후 1452년(문종 2) 3월부터 편찬을 시작했다. 처음의 편찬책임자는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정인지(鄭麟趾)였으나 1453년(단종 1) 계유정난으로 황보인과 김종서가 피살되어 총감수는 정인지 혼자 맡게 되었다. 6방의 책임감수관은 허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계유정난 발생 수양대군이 권력을 쥐다
    선왕 문종의 동생인 수양대군이 반란을 꾀했다는 명목으로 우의정 김종서의 집을 기습해 그를 죽이고, 조카인 단종을 윽박질러 영의정 황보인, 이조판서 조극관 등을 대궐 문에서 죽였다. 수양대군은 야심만만한 왕족으로서 김종서, 황보인 등이 13세에 불과한 단종을 보필하며 지나친 권세를 누린다며 불만을 품어 왔다...
    시대 :
    1453년
    국가/대륙 :
    한국
  • 점복설화 복술설화(卜術說話), 占卜說話
    풀이로 진범 이름을 밝히는 삽화(揷話) 등이 고전소설 『정수경전』에 수용되어 있다. ⑤ 파자점: 「암행어사와 거지」 · 「이성계와 거지」 · 「수양대군과 김종서」는 이에 해당한다. 파자점을 하는 복술가가 똑같은 글자를 가지고도 짚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한다는 이야기이다. 「암행어사와 거지」에서는 암행어사...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조선 7대 왕, 세조 이유, 世祖
    세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문종이 재위 2년 3개월 만에 죽고 12세의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세종 때의 안정된 왕권과 정치는 크게 약화되어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 의정부 대신들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초래되었다. 수양대군은 권람(權擥)·한명회(韓明澮) 등을 모사로 삼고, 1453년 10월 홍달손(洪達孫...
    출생 :
    1417(태종 17)
    사망 :
    1468(세조 14)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1455년~1468년
    시호 :
    혜장승천체도열문영무지덕융공성신명예흠숙인효대왕(惠莊承天體道烈文英武至德隆功聖神明睿欽肅仁孝大王)
    능묘 :
    광릉(光陵)
  • 정인지 백저(伯雎), 鄭麟趾
    을 증수(增修)하는 데 참여하였다. 한편으로는 전라도에 파견되어 전품을 다시 상정하였다. 1449년 공조판서를 거쳐 1450년(문종 즉위년) 좌참찬이 되고, 1451년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고려사』를 개찬(改撰)하였다. 그리고 이듬해김종서 등과 함께 다시 『고려사절요』를 편찬하였다. 1452년(단종 즉위년...
    시대 :
    조선
    출생 :
    1396년(태조 5)
    사망 :
    1478년(성종 9)
    경력 :
    병조판서, 좌의정, 영의정부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계유정난
    직업 :
    문신
    대표작 :
    학역재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하동(河東)
  • 단종 조선 6대왕, 端宗
    것과 승정원은 왕명출납을 맡고 있으므로 신하들의 사사로운 일은 보고하지 말도록 교서를 내렸다. 문종의 고명을 받은 영의정 황보인, 좌의정 남지, 우의정 김종서 등이 측근에서 보좌하고 집현전 학사 출신인 성삼문·박팽년·하위지·신숙주·이개·유성원 등은 지난날 세종으로부터 보호를 부탁받았으므로 이들이...
    출생 :
    1441년
    사망 :
    1457년
    재위 :
    1452년 5월~1455년 윤6월, 3년 2개월
  • 단종 端宗
    출납을 맡고 있으므로 신하들의 사사로운 일은 보고하지 말도록 교서를 내렸다. 문종의 고명을 받은 영의정 황보인(皇甫仁), 좌의정 남지(南智), 우의정 김종서(金宗瑞) 등이 측근에서 보좌하였다. 또한 집현전 학사 출신인 성삼문(成三問) · 박팽년(朴彭年) · 하위지(河緯地) · 신숙주(申叔舟) · 이개 · 유성원 등...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박팽년 인수, 朴彭年
    되었다. 1438년 삼각산 진관사에서 사가독서를 했고, 1447년 문과중시에 급제했다. 문종이 왕위에 오른 지 2년 만에 죽으면서, 그를 비롯하여 황보인·김종서·성삼문 등에게 어린 단종의 보필을 당부했다. 1453년(단종 1) 우승지·부제학을 거쳐 1454년 좌승지·형조참판을 지냈다. 1455년 충청도관찰사로 나가 있을 때...
    출생 :
    1417(태종 17)
    사망 :
    1456(세조 2)
    국적 :
    조선, 한국
  • 양정 楊汀
    본관은 청주. 무예에 뛰어난 장사로서, 단종대에 한명회의 천거로 수양대군의 휘하에 들어갔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김종서(金宗瑞)·황보인(皇甫仁) 등 단종의 측근 세력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할 때 김종서와 아들 승규를 죽이는 데 참가하는 등 적극적으로 가담하여, 정난공신 2...
    출생 :
    미상
    사망 :
    1466(세조 12)
    국적 :
    조선, 한국
  • 세종실록 世宗實錄
    1, 1451년)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문종 2, 1452년)가 완성된 뒤 곧이어 시작되었다. 1452년(문종 2) 2월 22일에 왕명을 받아 황보인(皇甫仁) · 김종서(金宗瑞) · 정인지(鄭麟趾) 등이 총재관(總裁官)으로서 감수의 일을 맡았다. 그리고 허후(許詡) · 김조(金銚) · 박중림(朴仲林) · 이계전(李季甸...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김종서 장군 묘
김종서(金宗瑞)
김종서 장군의 묘
북관유적도첩-야연사준도
〈야연사준도〉
김종서 생가터
김종서 유묵
김종서유허지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김종서 vs 세조
김종서장군묘
김종서장군묘
김종서 장군의 묘역
비해당소상팔경시첩 김종서 시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