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꼬리만 남은 제국의 흔적한국 근대소설에 등장하는 조선호텔은 조선의 처절한 실상과 너무도 이질적이다. 1941년 발간된 이효석(李孝石, 1907~1942)의 『벽공무한(碧空無限)』에는 러시아 댄서 ‘나아자’와 조선인 문화사업가 ‘일마’가 하얼빈에서 기차를 타고 경성에 도착, 조선호텔에 여장을 푼다. 둘은 결혼을 약속한 사이다. ‘나아자...
- 건립시기 :
- 1914년 10월 10일 개관(기네스북에 오른 한국 최초의 호텔)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87번지
-
-
-
정동 옛 러시아 공사관 우리 역사의 개기일식 아관파천, 고종은 통치권을 스스로 약화시켰다건물의 건축을 맡긴 것이다. 사바틴은 그해 9월 조선에 도착했고 처음 설계한 작품이 러시아공사관 건물이다. 을미사변으로 민비가 시해되자 고종은 신변의 위협을 느꼈다. 틈을 노리던 고종은 세자(순종)와 함께 궁녀로 변장하고 경복궁을 빠져나와 러시아공사관에 숨어들었다. 두 대의 가마는 1896년 2월 12일 새벽...
- 문화재 지정 :
- 사적 제253호
- 건립시기 :
- 1890년 준공
- 면적 :
- 1,102㎡(총면적)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15-1 정동공원 내
-
윤일주 尹一柱, Yoon, Il-joo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대부분의 건축인들이 현대건축을 향해 앞을 다투던 시절, 그는 한국의 근대건축역사를 수집 정리했다. 건축사에 대한 인식이 대체로...그들이 건축사에 끼친 영향을 부각시켰다. 또 하나의 업적은 한국 근·현대건축의 통사적(1880∼1978) 체계를 수립했다는 것으로, 관련한 여러 논문들을...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7년
- 사망 :
- 1985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건축사가, 시인
- 대표작 :
- 한국양식건축80년사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본관 :
- 파평(坡平)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