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국시대의 한국 건축삼국시대에는 한층 더 발달된 건축문화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건축문화는 고분과 그 벽면에 그려진 벽화 등을 통하여 수준을 엿볼 수 있다. 안악 제3호분에 보이는 3개의 팔각석주(전실과 주실)의 주두, 동측실의 부엌칸·차고·외양간 등을 보면 이미 원시시대의 원시성을 탈피한 상당 수준의 건축문화를...
-
삼국시대의 한국미술4세기말 불교의 전래와 더불어 시작되어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까지 약 10세기에 걸쳐 한국의 미술의 흐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조형물의 규모를 대형화하고 사실적인 양식을 진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회화·조각·건축·공예 전분야에 걸쳐 동시에 진행된 이러한 불교미술의 영향은 한국의...
-
통일신라시대의 한국 건축접은 것으로, 윗면에는 소로 놓일 자리에 소로와의 결구를 위한 쐐기홈이 패어 있다. 소로는 굽받침이 없고 굽은 곡면으로 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일반건축양식은 삼국시대와 거의 같은 양식이었다고 생각되나 점차 당(唐)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사찰건축으로는 사천왕사지(679)·감은사지(682...
-
음악 音樂살펴보면, 삼국시대에 서역으로부터 유입된 공후(箜篌)라는 악기가 고대 이집트의 악기와 관련있는 것이라든지, 고려시대에는 원나라를 통하여 서양악기의 존재가 고려에 알려졌다는 기록이 있어 서양음악과의 접촉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후기에 이르면 청나라와의 빈번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삼국시대 한국 주택삼국시대에 들어가기에 앞서 1~300년경에는 여러 부족들이 성읍국가를 이루고 있었는데, 당시의 주택은 집터와 중국의 문헌을 통해 주택의 형태를 대강 추정해볼 수 있다. 김해 조개더미 등과 같은 유적을 통해 이 시기의 사람들은 구릉지를 중심으로 생활하다가 점차 강어귀의 삼각주지방으로 진출하여 농경과 목축생활...
-
신라 사로(斯盧), 新羅장보고는 한국 서남해안에 출몰하는 해적을 퇴치한 뒤 중국 · 일본과의 사무역에 종사해 단기간 내에 거대한 해상왕국을 건설할 수 있었다. 장보고는 견당매물사(遣唐買物使)의 인솔하에 교관선(交關船)을 당나라에 파견했으며, 일본에는 회역사(廻易使)라는 이름의 무역사절단을 파견해 신라 · 당나라 · 일본 사이의...
- 유형 :
- 지명/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고구려 구려, 高句麗기간은 삼국시대의 대부분을 점하는 기간이었다. 이 기간 동안 고구려국은 작은 성읍국가에서 한반도와 만주지역을 아우르는 큰 영역국가로 성장하였고, 그 영역 내의 예(濊) · 맥(貊) · 한(韓)계의 여러 집단들과 일부 한인(漢人)과 말갈인들을 융합하여 고구려인이라는 보다 큰 단위의 족속을 형성하였다. 그와 함께...
- 유형 :
- 지명/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꽃꽂이시각적으로는 삼국시대부터 보이고 있으며 그릇으로서는 병과 수반이 동시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상들은 병꽃을 더욱 사랑하였음을 시대가 내려오면서 여러 작품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향가 중 <헌화가 獻花歌>에서 “짙붉은 바윗가에 잡은 암소 놓게 하시고 나를 아니...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주생활
-
-
공포 栱包포작을 발전시킬 전조로서의 발달된 포작을 사용하였다. 이상 기술한 삼국시대의 공포의 특징은 간결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견실하여 안정된 건축미를 보였다고...자료로 보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초적 공포의 형식은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더욱 발전하여 건축의장적 미와 구조적 기능을 동등히 조화시켜 상호 순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