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격에 의한 자원의 최적배분기업으로 공급해 생산물을 늘리고 그것을 다시 가계로 옮기는 과정, 혹은 그 반대의 과정을 가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가계효용을 늘리려면 한계대체율에 차이가 있어야만 가능하다. 따라서 최소한 가계와 기업 간에는 완전경쟁하에서 자원배분이 이루어질 때 최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기업과 기업...
-
-
파레토최적있어야 한다. 교환 측면에서는 어느 소비자의 효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른 소비자의 효용을 감소시킬 수밖에 없는 상태에 있어야 한다. 이 두 가지...파레토 최적이라 한다. 그러나 파레토 최적은 소득분배에 대해서는 설명을 할 수 없으며, 파레토 최적의 상태 또한 유일하지 않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
객관가치설과 주관가치설 objective-subjective theory of value가치가 결정된다고 보는 입장으로, 어떤 재화를 소비할 때 발생되는 개인적 만족도, 즉 효용에서 가치의 요인을 찾는다. 이 학설은 멩거·제번스·발라등의 한계효용학파와 뵘 바베르크·비저등에 의해 이론적 체계가 구축되었다. 특히 파레토는 무차별곡선이론으로 효용의 가측성(可測性)이라는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
마르크스의 경제이론제기되었다. 노동가치론을 기반으로 한 고전경제학 자체도 곧 이어 등장한 영국의 신고전학파 경제학자 앨프리드 마셜(Alfred Marshall)의 수요와 공급, 한계효용 이론에 의해 반박되었다. 하지만 마르크스의 경제이론은 자본주의의 속성에 대한 과학적 사회주의의 입장에서 이루어진 세밀하고 심층적인 분석이라는 점...
-
제번스 William Stanley Jevons그는 1871년에 저술한 〈정치경제학이론 Theory of Political Economy〉에서 최종(한계)효용가치이론을 전개했다. 제번스의 업적은 1871년에 빈의 칼 멩거와 1874년에 스위스의 레옹 발라에 의해 이루어진 유사한 발견과 더불어 경제사상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1854년에 런던에 있는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자연...
- 출생 :
- 1835. 9. 1, 잉글랜드 리버풀
- 사망 :
- 1882. 8. 13, 잉글랜드 서식스 헤이스팅스 근처
- 국적 :
- 영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