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안류 離岸流, rip current
    긴 연안지역에서 형성된다. 얕은 바다에서 정상적인 파도의 궤도운동과 너울은 각각의 파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물입자를 짧은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러한 질량수송은 파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한다. 큰 파의 주기 동안 물은 해변에서 누적되며, 해안에 비스듬히 접근해오는 파도가 없으면 연안류로 흘러나가지 못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북한 핵무기, 진짜? 가짜?
    모르는 어떤 원리와 기술이 숨어있기 때문일까?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등의 방사능 물질은 자연 상태에서 스스로 질량을 잃으며 에너지를 방출한다. 여러 질량수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구분하기 위해 우라늄235, 플루토늄239 등 질량수를 붙여 부른다. 이들은 중성자를 흡수해서 원자핵이 2개 이상으로 쪼개지며...
  • 프랑슘 Francium
    악티늄 붕괴 계열의 일원인 프랑슘 동위원소(프랑슘-223, 223Fr)가 된다. 수명이 가장 긴 프랑슘 동위원소라 해도 그것의 반감기는 단지 21분에 불과하다. 질량수가 204~224인 동위원소는 인공적으로 합성되는데, 천연 프랑슘은 농축될 수 없기 때문에 중성자로 라듐을 포격시켜 악티늄을 만든 후에 이것을 붕괴하여...
    분류 :
    알칼리 금속
    원자번호 :
    87
    원소기호 :
    Fr
    상태 :
    고체
    원자량 :
    가장 안정한 동위원소 223
    녹는점 :
    27℃
    끓는점 :
    677℃
    원자가 :
    1
    전자배열 :
    2-8-18-32-18-8-1 또는 (Rn) 7s 1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뢴트게늄 Roentgenium
    것으로 추정된다. 2006년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이 이 원소의 이름을 뢴트게늄(roentgenium)으로 명명하고 주기율표에 반영했다. 특징 뢴트게늄의 질량수는 272. 화학적 성질이 구리, 은, 금과 유사할 것으로 보인다. 1994년 말 독일 헤센주 다름슈타트에 있는 중이온연구소(GSI)의 호프만, 니노프, 헤스베르거...
    원자번호 :
    111
    원소기호 :
    Rg
    상태 :
    고체
    원자량 :
    280
    전자배열 :
    2.8.18.32.32.18.1 또는 [Rn].5f 14.6d 10.7s 1(금에 기반한 추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핵종 核種, nuclide
    와는 다른 핵종이다. 양성자와 중성자 수는 같지만 에너지 양과 방사능이 다른 핵이성질체도 서로 다른 핵종이다. 핵종은 흔히 양성자와 중성자의 총 수(질량수)를 나타내는 왼쪽 위첨자와 양성자 수(원자번호)를 나타내는 왼쪽 아래첨자를 지닌 원소기호로 나타낸다. 37Cl은 염소-37을 나타낸다. 흔히 동위원소라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바륨 Barium
    138Ba(71.66%), 137Ba(11.32%), 136Ba(7.81%), 135Ba(6.59%), 134Ba(2.42%), 130Ba(0.101%), 132Ba(0.097%) 등 7개의 안정한 동위원소의 혼합물이다. 또한 질량수 126~143 사이에 약 14개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다. 화합물에서 바륨의 산화수는 +2이며, Ba2+ 이온 용액에 탄산이온(CO32-)·황산이온(SO...
    분류 :
    알칼리 토금속
    원자번호 :
    56
    원소기호 :
    Ba
    상태 :
    고체
    원자량 :
    137
    녹는점 :
    725℃
    끓는점 :
    1,640℃
    원자가 :
    2
    전자배열 :
    2-8-18-18-8-2 또는 (Xe)6s 2
    비중 :
    3.5(2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북한 원심분리기 공개, 원자폭탄의 위험성은?
    어떤 원리와 기술이 숨어있기 때문일까?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등의 방사능 물질은 자연 상태에서 스스로 질량을 잃으며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들은 여러 질량수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 우라늄-235, 플루토늄-239 등 이름 뒤에 질량수를 붙여 부른다. 이들은 중성자를 흡수해서 원자핵이 2개 이상...
  • 보륨 Bohrium
    1976년 소련(현 러시아) 두브나에 있는 핵물리학연합연구소의 연구진이 크롬(Cr)-54 이온을 비스무트(Bi)-209에 충돌시켜 원소 107을 합성했는데, 그 결과 질량수가 261이고 반감기가 0.001~0.002초인 이 원소의 동위원소가 만들어졌다고 보고했다. 이 원소는 1981년 다름슈타트에 있는 중이온연구소(GSI)의 독일...
    분류 :
    전이 금속
    원자번호 :
    107
    원소기호 :
    Bh
    상태 :
    고체
    원자량 :
    270
    밀도 :
    37g/cm 3(고체상태, 추정)
    산화수 :
    +7
    전자배열 :
    2.8.18.32.32.13.2 또는 [Rn].5f 14.6d 5.7s 2(레늄에 기반한 추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코페르니슘 Copernicium
    추정된다. 2010년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이 이 원소의 이름을 코페르니슘(Copernicium)으로 명명하고 주기율표에 반영했다. 특징 코페르니슘의 질량수는 277. 1996년 2월 9일 독일 헤센주 다름슈타트에 있는 중이온연구소(GSI)의 호프만, 니노프, 헤스베르거, 아름브루스터 등의 연구원들은 중이온가속기인...
    분류 :
    전이 금속
    원자번호 :
    112
    원소기호 :
    Cn
    원자량 :
    285
    전자배열 :
    2.8.18.32.32.18.2 또는 [Rn].5f 14.6d 10.7s 2 (수은에 기반한 추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페르미온 fermion
    이 용어는 이들의 거동을 설명하는 페르미-디랙 통계에서 유래했다. 페르미온은 경입자류(전자·뮤온 등)와 중입자류(중성자, 양성자, 람다 입자 등), 홀수의 질량수를 갖는 핵자(삼중수소, 헬륨-3, 우라늄-233 등)를 갖는 입자를 포함한다. 페르미온은 에너지로부터 생성이 되며 이들은 항상 입자-반입자 쌍으로 소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더브늄 Dubnium
    과학자 사이에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소련은 1967년 두브나의 핵물리학 연합연구소에서 아메리슘-243(243Am)을 네온-22(22Ne)의 이온으로 포격하여 각각의 질량수가 260과 261이고 반감기가 0.1초와 3초인 원소 105의 동위원소들을 만들었다. 두브나 연구진은 그들의 예비 자료를 발표했을 때 이 원소의 이름을 제안...
    분류 :
    전이 금속
    원자번호 :
    105
    원소기호 :
    Db
    상태 :
    고체
    원자량 :
    268
    전자배열 :
    2-8-18-32-32-11-2 또는 (Rn)5f 146d 37s 2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마이트너륨 Meitnerium
    주기율표에 반영했다. 특징 마이트너륨은 이리듐과 화학적 성질이 유사할 것이라고 예측된다. 1982년 독일 다름슈타트에 있는 중이온연구소(GSI) 물리학자들이 질량수가 266인 원소 109의 동위원소를 합성했다. 페테르 암브루스터가 이끄는 GSI 연구원들은 고에너지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약 10일간 철(Fe)-58 이온 빔...
    원자번호 :
    109
    원소기호 :
    Mt
    상태 :
    고체
    원자량 :
    278
    전자배열 :
    2.8.18.32.32.15.2 또는 [Rn].5f 14.6d 7.7s 2 (이리듐에 기반한 추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