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회주의국가의 교육보육원 및 유치원, 초등학교(1~4학년), 중등학교(5~9학년), 고급중등학교(10~11학년) 등 일반학교와 고등교육기관인 대학교(17~22세)로 구분되며, 이외에도 중등교육단계에 직업학교와 특수학교 등이 있다. 중국은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이 세워진 이래, 사회주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부문에서도 마르크스...
-
중등조선말본토씨[助詞]’의 10개 품사를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특히 토씨[조사]와 잡음씨[지정사] ‘이다’를 품사로 인정하는 것이 주목된다. 의의 및 평가 『중등조선말본』은 일제 강점기뿐만이 아니라 광복 직후 해방 공간에서 학교 교육에서 중요한 문법 교과서로 역할을 하였으며, 2016년 현행 학교 문법 교과서에도...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최현배
- 창작/발표시기 :
- 1934년, 1938년, 1945년
- 성격 :
- 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194쪽), 1책(176쪽)
- 간행/발행 :
- 동광당서점, 동광당서점, 정음사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중등 새 말본내용 『중등 새 말본』은 장하일이 국어 문법에 관하여 지은 첫 번째 문법서이다. 이 책의 체계는 대체로 정열모(鄭烈模, 1895~1967)의 『신편고등국어문법』(1946)을 쫓았다. 이 책은 총 12장으로 구분되는데, “첫째 가름 모두풀이[總說], 둘째 가름 임자씨[體詞], 세째 가름 임자자리[主位], …… 열둘째 가름 월의...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장하일
- 창작/발표시기 :
- 1947년
- 성격 :
- 교과서, 문법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교재연구사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교육과정 敎育課程담당하는 곳이었다. ② 사학: 후기로 갈수록 양반 계급의 증가로 교육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여 사대부와 유학자들이 운영하는 사학이 번창하였다. 중등교육을 담당한 서원은 전통적인 유교경전과 문장 공부가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각각의 서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개 소학, 사서‧오경, 가례(家禮...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중등국어문법내용 『중등 국어 문법』은 총설, 제1편 음성학, 제2편 품사론, 제3편 문장론으로 구성되고, 각 장마다 연습 문제를 둔 문법 교과서의 기본 형태를 충실히 따른다. 문법 체계는 용언의 활용이 없다고 확신하는 학설을 좇는다고 전제하거나 시간은 오로지 토에서만 다룬다고 하였으나, 대체로 아버지인 백야(白夜) 이상춘...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이영철
- 창작/발표시기 :
- 1948년
- 성격 :
- 교과서, 문법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을유문화사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교육소학교의무교육법'을 발표하여, 일제의 황국신민화정책에 저항하기도 했다. 1952년 9월 3일 연변조선족자치주가 공식적으로 인정되면서, 1950년대에는 초·중등교육의 확대보급, 단일민족학교 설립, 교원양성과 교과서편찬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정책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1965년 소학교는 1,274개교, 중학교 278...
-
교육 敎育배경을 근거로 한 조선시대의 교육제도는 고려의 교육제도를 이어받아 서울에 국립고등교육기관으로 성균관(成均館)이 있어 최고 학부의 구실을 하였고, 중등교육 수준으로는 중앙의 사학(四學)과 지방의 향교가 있었으며, 사립 교육기관으로 서원(書院)과 초등 사설 교육기관인 서당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교육기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초등교육 初等敎育개설 중등교육·고등교육에 대한 개념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초등학교 교육을 뜻한다. 초등교육은 국가에 따라 입학연령·수업연한·교육내용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공교육 제도상 기초 단계의 교육으로 의무교육화되어 있다. 초등교육 대상 아동의 연령을 과학적 근거에 의하여 결정하기란 어려운 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보통교육 普通敎育말은 두 가지 개념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전문교육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일반 교육을 의미하며, 또 하나는 고등교육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중등 이하의 교육, 즉 초·중등교육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누구나가 다 받는 보통의 교육으로, 전문교육이나 고등교육과 같이 좁은 영역을 깊이 있게 다루는 교육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교육개혁 敎育改革발전과 쇄신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계획은 10개 항에 달하는 기본방향을 설정한 뒤, 횡적으로 초등교육·중등교육·고등교육·실업교육·교원교육·취학 전 교육·해외교육·특수교육, 학교외 교육 및 통일교육 등 10개 부문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종적으로 학생교원교육 프로그램시설행정재정 등 6개 분야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전문교육 專門敎育교육 등의 용어를 주로 후기 중등교육 이하의 수준에서 사용하고, 전문교육은 고등교육 수준의 전문화된 교육에 적용하는 사람도 있으나 이 역시 정설은 아니다. 앞에서 시사한 바와 같이, 중등교육에서도 전문교육을 부분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므로, 직업에 대비하는 전문화된 교육은 모두 전문교육이라고 함이 타당하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